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유통포럼] 김민수 배민 실장 "미래 무인 솔루션 네트워킹...심리스한 자동화 이룰 것"
기사 읽기 도구
공유하기
기사 프린트
글씨 크게
글씨 작게
2025.08.29 금요일
흐림 서울 27˚C
맑음 부산 24˚C
맑음 대구 26˚C
흐림 인천 28˚C
흐림 광주 24˚C
흐림 대전 25˚C
흐림 울산 24˚C
강릉 26˚C
맑음 제주 26˚C
생활경제

[유통포럼] 김민수 배민 실장 "미래 무인 솔루션 네트워킹...심리스한 자동화 이룰 것"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호영 기자
2022-03-30 14:12:40

30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22데일리동방 유통산업포럼에서 김민수 우아한형제들 서빙로봇사업실장이 서빙로봇의 현 주소와 전망이라는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남궁진웅 기자, timeid@ajunews.com]

 김민수 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 서빙로봇사업실장은 30일 데일리동방 유통산업포럼에서 서빙 로봇을 활용한 미래 매장에 대해 "서빙 로봇뿐 아니라 태블릿 오더, 키오스크 등 매장 내 무인 솔루션을 다양하게 도입 중"이라며 "향후엔 이들 매장 솔루션 간 기술적 네트워킹이 이뤄지고 심리스하게 자동화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날 김민수 실장은 "미래 매장에서는 서빙 로봇 간 협업이 늘 것"이라며 "로봇 도입은 궁극적으로 매장 운영 효율화로 더 좋은 서비스를 좋은 가격대에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현재는 음식을 운반하는 자동 카트 활용이 중심이지만 로봇을 크게 업그레이드 시키지 않고도 소프트웨어 개발로 서빙 로봇 역할 확장 시도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로봇이 도착하면 음식 추천 등 매장 홍보가 일례다. 일행 도착 인원을 알리고 테이블까지 안내하는 기능도 예상된다. 

서빙 로봇은 우아한형제들이 2019년 국내 처음 서비스 상용화를 진행했다. 글로벌 시장은 2014년 서빙 로봇이 출시된 이후 점진적으로 성장해왔다. 국내 서빙 로봇 시장 규모는 작년 기준 2000~3000대가 추정된다. 올해는 약 5000~7000대까지 성장이 전망된다. 

당초 배달의민족은 '배달 로봇'을 통해 라이더 부족 현상이나 라이더 사고 위험 방지를 위해 선제적으로 준비해오다가 현재는 '서빙 로봇'까지 확대, 운영하고 있다. 

이같은 서빙 로봇은 대중소 음식점에서 가장 많이 쓰고 있다. 이외 이동식 매대 겸 홍보 역할 등 몰이나 마트, 비대면 관심이 높은 클럽하우스, 브로셔 전달 등 미술관 전시회, 스마트 팩토리 물류 로봇 대신 무겁지 않은 상품 이동처럼 공장 물류 자동화 등에도 쓰인다.   

특히 배달의민족이 실제 서빙 로봇을 도입한 입점 점주들 의견을 취합해본 결과 ▲탄력적 인력 운용 ▲노동 피로도 감소 ▲비대면 서비스 면에서 만족도가 높다. 특히 로봇 도입으로 단순 반복 업무에서 벗어나 직원들은 서비스 등 고관여 업무, 고객 응대 등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동국제약
NH농협
농협
kb
SK증권
롯데
KB금융그룹_3
우리은행_1
NH농협은행
KB금융그룹_1
KB
kb_3
신한금융
삼성물산
DB그룹
우리은행
현대
KB_1
kb_2
KB금융그룹_2
부영그룹
농협
우리은행_2
IBK
kt
한미그룹
종근당
미래에셋
과실비율정보포털
한화
미래에셋자산운용
신한은행
컴투스
삼성자산운용
신한투자증권
국민카드
메리츠증권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