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33건
-
-
100대 기업 평균 근속 14년 돌파…여성 근속연수 늘었다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100대 기업의 평균 근속연수가 14년을 넘어서며 최근 늘고 있는 이직 트렌드와는 다른 흐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 직원들의 근속 연수가 큰 폭으로 증가하며 전체 평균 상승을 견인했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16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매출 상위 100개 기업 중 최근 5년간 근속연수를 공시한 80개 기업의 2023년 평균 근속연수는 14.03년이었다. 이는 3년 전인 2020년(13.55년) 대비 0.48년 늘어난 수치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0년 13.55년, 2021년 13.7년, 2022년 13.63년, 2023년 13.91년으로 완만한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여성 직원의 평균 근속연수는 같은 기간 11.38년에서 12.94년으로 1.56년 증가했다. 반면 남성의 경우 14.29년에서 14.41년으로 0.12년 늘어나는 데 그쳤다. 기업별로는 기아가 평균 21.8년으로 근속연수가 가장 길었다. 이어 KT(20.5년), SK인천석유화학(20년), 한국씨티은행(18.84년), SK에너지(18.68년), 한온시스템(18.64년), 대한항공(18.4년), SK지오센트릭(18년),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17.94년), 에스오일(17.80년) 순으로 근속연수가 긴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두산밥캣은 3.2년으로 가장 짧았다. 미래에셋캐피탈(4.2년), HD현대중공업(4.3년), 키움증권(6.58년), 다우기술(6.88년), GS리테일(7.2년), 네이버(7.4년), 메리츠증권(7.4년), LG에너지솔루션(7.75년), LG이노텍(8년) 등도 근속연수가 짧은 기업으로 꼽혔다. 근속연수 증가 폭이 가장 큰 기업은 SK네트웍스다. 2020년 9.05년에서 2024년 13.92년으로 4.87년 늘었다. 반면 현대자동차는 같은 기간 18.8년에서 15.80년으로 근속연수가 3년 줄며 가장 큰 감소 폭을 기록했다. SK에너지(2.31년↓), 고려아연(2.17년↓), 한화생명(1.7년↓), SK지오센트릭(1.63년↓), KG케미칼(1.3년↓), KT(1.1년↓)도 하락 폭이 두드러졌다.
2025-04-16 09:48:45
-
-
-
-
-
조선·해운사 손잡고 '선박용 3D프린팅 시스템' 실증…"최신 기술 개발에 적극"
[이코노믹데일리] 조선·해운 업계가 '선박용 3D프린팅 시스템' 실증을 본격화하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중공업은 운항 선박 내 긴급 유지·보수·정비(MRO)를 위한 3D프린팅 신기술 개발·실증을 마치면서 국적 해운사 HMM에게 바톤터치했다. 이에 HMM은 이 기술을 탑재한 실제 선박을 운항하며 성능을 평가할 계획이다. 선박용 3D프린팅 시스템은 선박 운항 중 필요 부품에 대해 3D프린팅을 활용, 자체 제작하는 기술이다. 선박의 다양한 운항환경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특수 제작됐으며 볼트, 너트부터 플렌지(연결 파이프)까지 350여 종의 다양한 중소 부품을 즉시 생산할 수 있다. 이 기술을 위해 지난 2023년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원을 받아 울산광역시 및 산하 기관들, 씨에스캠, HD현대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 HMM, 한국선급(KR) 등이 컨소시엄을 구성, '3D프린팅 디지털 워크샵' 과제에 착수한 바 있다. HD현대중공업은 이번 실증을 통해 실제 선상에서 3D프린팅 장비를 운용하는 것과 함께 선박 운동 및 진동 저감 장치에 대한 기술도 함께 검증했다. 물 위를 항해하는 선박은 연속적으로 움직임이 발생하기 때문에 3D프린터가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운동 및 진동을 저감하는 기술이 필수적이다. HD현대중공업은 향후 3D프린팅 기술에 대한 상업화를 본격 시작할 예정이다. 다양한 부품에 대한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항구와 선박 간 네트워킹을 구성해 필요한 부품을 원격으로 주문, 인근 항구에서 손쉽게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한 HD한국조선해양과 조선용 탄소강 분말소재 개발 등 소재의 다변화를 위한 기술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를 통해 3D프린팅이 가능한 부품의 폭을 확대하는 동시에 가격 절감 등의 효과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HD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이번 실증을 통해 조선산업에서의 3D프린팅 기술의 경쟁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선박 MRO 분야에서 혁신을 주도하겠다"고 말했다. HD현대중공업의 기술을 활용해 HMM은 이번 실증을 9000TEU급 컨테이너선 'HMM 그린호'에서 진행할 계획이다. HMM은 실제 운항 환경에서 시스템의 원활한 작동, 선박 부품 조달 가능 여부 등을 면밀히 점검한다. 특히 기존 선박용 3D 프린팅은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한 데 반해 이번 시스템은 금속분말을 사용해 스테인레스 소재의 부품을 생산할 수 있어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했다. HMM 관계자는 "최신기술의 다양한 연구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새로운 기술 도입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2025-03-17 15:35:52
-
-
-
-
-
-
-
-
조선업 타고 매출·영업이익 쾌속 질주하는 'HD현대'
[이코노믹데일리] HD현대의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했다. 조선·해양 부문에서 실적 개선이 큰 폭으로 이뤄진 가운데 전력기기 부문의 호조세가 지속되면서다. HD현대는 연결기준으로 지난해 연간 매출 67조7656억원, 영업이익 2조9832억원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매출은 10.5%, 영업이익은 46.8% 증가한 수치다. 먼저 조선·해양 부문의 HD한국조선해양은 고부가가치 친환경 선박의 수주량 확대와 생산 효율화를 통한 건조물량 증가에 힘입어 전년 대비 19.9% 증가한 25조5386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실적 개선을 주도했다. 영업이익도 수익성 위주의 선별 수주 전략으로 전년보다 408% 증가한 1조4341억원을 거뒀다. HD한국조선해양의 자회사인 HD현대중공업은 매출 14조4865억원, 영업이익 7052억원을 기록했다. HD현대삼호와 HD현대미포도 각각 매출 7조31억원과 4조6300억원, 영업이익 7236억원과 885억원을 기록했다. HD현대마린솔루션은 주력인 선박 부품서비스 사업(AM)의 수주 호조세와 스마트 선박 운영 관리·자동화 솔루션 등 디지털 제어 사업 확대로 전년 대비 22% 증가한 1조7455억원의 매출을 거뒀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34.8% 증가한 2717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그룹에 새롭게 편입된 HD현대마린엔진은 친환경 엔진 제품 확대 전략이 주효하며 전년 대비 각각 28.9%, 85.5% 증가한 3158억원과 332억원의 매출과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에너지 부문의 HD현대오일뱅크도 호실적을 기록했다. 친환경 연료 공급 확대, 공장 가동 효율화 등을 통해 매출은 전년 대비 8.4% 증가한 30조4686억원을 영업이익은 58.2% 감소한 2580억원을 기록했다. HD현대오일뱅크는 글로벌 석유제품 수요 증가 기조에 발맞춰 도입 원유 다양화, 공정 최적화 등을 통해 대외 변수에 선제적으로 대응해나갈 방침이다. HD현대일렉트릭은 글로벌 데이터센터 확충과 인공지능(AI) 기술의 확산으로 전력기기 수요가 증가한 가운데 선별 수주를 통한 수익 개선 효과가 더해져 매출 3조3223억원, 영업이익 6690억원을 거뒀다. 건설기계 부문의 HD현대사이트솔루션은 계열사 중 유일하게 역성장했다. 2023년 주요국들의 인프라 투자로 발생한 이례적인 호황의 역 기저효과 및 글로벌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1.1%, 40.3% 감소한 7조7731억원과 4324억원을 기록했다. HD현대사이트솔루션은 판로 다각화를 통한 잠재 수요 확보, 차세대 신모델 출시 등을 통해 해외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HD현대 관계자는 "대외 불확실성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올해는 안정적인 사업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전 사업 영역에서 수익성 위주의 전략을 추진해 나갈 방침"이라며 "조선 및 전력기기 부문의 양호한 실적 흐름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친환경 기술 개발과 생산 효율성 극대화를 통해 성장세를 이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5-02-06 15:5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