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6건
-
-
-
-
-
롯데건설, 이산화탄소로 굳히는 시멘트 현장 적용
[이코노믹데일리] 롯데건설은 정부가 추진하는 국책연구과제에 참여해 시멘트 산업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롯데건설이 시공하는 현장에 시범적용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7일 밝혔다. 롯데건설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이산화탄소 반응 경화 시멘트 및 건설용 2차 제품 제조기술 개발'에 공동연구사로 참여하고 있다. 해당 기술은 미국, 캐나다 등 해외에서 선도적으로 개발됐으며, 이번 연구는 이러한 기술의 국산화를 목표로 진행됐다. 시멘트의 주원료인 석회석은 약 1300℃ 이상의 높은 온도로 가열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며 이 과정에서 대량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 롯데건설이 개발한 기술은 일반 시멘트 대비 약 200℃의 낮은 온도로 시멘트 제조가 가능하고, 석회석 사용량을 30% 절감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할 수 있다. 또 이 기술을 통해 만들어진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시멘트’는 물에 의해 굳는 기존 시멘트와 달리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굳는 친환경 건설 재료로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시멘트에 혼합해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더불어 이를 활용해 만든 염해방지코팅제, 보도블록, 벽돌 등 콘크리트 2차 제품은 최대 70%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이 가능하며, 일반 콘크리트와 비슷한 수준의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염해 저항성 등 내구성은 더 우수하다. 롯데건설은 지난해 12월 부산 롯데타워 신축 현장에 개발 기술을 원료로 한 염해방지코팅제를 적용했으며, 오산 세마 트라움건설 현장에서는 개발 기술을 접목하여 제작된 보도블록을 조경 구간에 시공했다. 롯데건설 기술연구원 관계자는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시멘트로 제조된 콘크리트 2차 제품의 품질과 사용성을 검증함으로써 친환경 신건설재료의 건설 현장 도입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경쟁력 있는 제품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롯데건설은 지난해 11월 '이산화탄소 주입 바닥용 모르타르' 기술을 개발해 건설현장에 적용했다. 이 기술은 산업공정 과정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고농도로 포집하고, 모르타르(시멘트와 첨가제 등을 혼합해둔 건자재) 배합 시 주입하는 방식으로 시멘트 사용량이 줄어들어 탄소배출 저감의 효과를 낸다.
2025-02-07 15:05:00
-
SK텔레콤, MIT와 손잡고 생성형 AI 기반 산업 혁신 주도
[이코노믹데일리] SK텔레콤이 세계 최고 수준의 공과대학인 MIT와 협력하여 생성형 AI를 활용한 산업 혁신을 이끈다. SK텔레콤은 MIT가 2024년 2월 출범한 ‘MIT GenAI 임팩트 컨소시엄(이하 MIT GenAI 컨소시엄)’에 창립 멤버로 참여한다고 4일 밝혔다. 전 세계 통신사 중 유일하게 선정된 SK텔레콤은 이번 컨소시엄 참여를 통해 글로벌 AI 경쟁력을 한층 더 끌어올릴 계획이다. MIT GenAI 컨소시엄은 생성형 AI 기술이 사회와 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실질적인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발족된 산학 협력 기구다. 샐리 콘블루스 MIT 총장, 아난타 찬드라카산 MIT 공과대학 학장 등 저명한 교수진이 대거 참여하여 융복합적 생성형 AI 연구를 이끌어 나갈 예정이다. 이번 컨소시엄에는 SK텔레콤 외에도 오픈AI, 코카콜라, 인도 타타그룹, 미국 반도체 기업 애널로그 디바이시스, 글로벌 벤처 캐피탈 업체 TWG 글로벌 홀딩스 등 6개 글로벌 기업이 창립 멤버로 이름을 올렸다. 이들은 정기 회의를 통해 각 사의 AI 역량과 발전 방향을 공유하고 생성형 AI와 글로벌 사회의 상생을 위한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더불어 MIT와의 공동 연구뿐 아니라 오픈AI와의 생성형 AI 협력 강화, 애널로그 디바이시스와의 차세대 AI 반도체 개발 방향 논의 등 창립 멤버 간의 파트너십 강화를 통해 시너지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SK텔레콤은 그룹의 AI 기술 컨트롤타워인 'SK AI R&D 센터'를 중심으로 ICT, 반도체, 바이오, 에너지 등 그룹사의 역량을 결집하여 MIT와 공동 연구를 진행한다. 특히 △글로벌향 개인 AI 에이전트 △AI 데이터센터 △제조 AI △피지컬 AI △Bio AI 등 차세대 AI 분야를 중점 연구 과제로 삼고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일례로 SK텔레콤은 올해 3월 베타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인 글로벌향 개인 AI 에이전트 서비스 '에이닷'의 미국 시장 확대 전략을 MIT 연구진과 함께 검토한다. 에이닷은 단순 질의응답을 넘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계획을 세우고 완결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차별화된 AI 에이전트 서비스다. SK텔레콤은 MIT의 인문, 경영, 컴퓨터공학 등 다양한 학과와 협력하여 미국 소비자 니즈에 적합한 서비스 시나리오를 검증하고 AI 에이전트 사용성에 대한 비교 및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 서비스 고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AI 데이터센터 분야에서는 기술 요소 간 시너지 강화 및 차세대 기술 개발을 공동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제조 AI 분야에서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작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에이전트형 AI와 AI 물성 예측 등을, 피지컬 AI 분야에서는 시뮬레이션 등을 포함한 로봇 행동 최적화 연구 등을 중점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더불어 Bio 분야 AI 연구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아난타 찬드라카산 MIT 공과대학 학장 겸 MIT 최고 혁신 및 전략 책임자는 "SKT를 비롯한 각 산업 분야의 글로벌 리더들과 학계를 연결하는 이상적인 가교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며 "MIT GenAI 임팩트 컨소시엄은 여러 학문 분야의 장벽을 허물고 AI로 재편되고 있는 글로벌 사회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영상 SK텔레콤 CEO는 "MIT GenAI 임팩트 컨소시엄의 창립 멤버로 세계 최고 수준의 MIT 교수진 및 글로벌 초일류 기업들과 함께 연구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며 "최강의 글로벌 파트너십에 기반해 SK AI R&D 센터를 중심으로 SK 그룹의 AI 역량을 총결집하고 생성형 AI를 넘어 피지컬 AI, 제조∙Bio 분야에서의 AI 융합 등 버티컬 AI(Vertical AI)에 기반한 차세대 AI 연구과제 진행으로 산업 현장의 AI 혁신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5-02-04 09:2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