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7.20 일요일
흐림
서울 25˚C
맑음
부산 23˚C
안개
대구 23˚C
흐림
인천 26˚C
흐림
광주 25˚C
흐림
대전 25˚C
흐림
울산 24˚C
흐림
강릉 27˚C
맑음
제주 27˚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슈퍼베이비'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질병 없는 아이 vs 맞춤형 아기…'유전자 선택' 시대, 판도라의 상자 열리나
[이코노믹데일리]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배아 단계부터 1200여개 질병의 발병 가능성을 예측하는 유전체 검사 서비스가 등장하며 ‘슈퍼베이비’ 논란에 불을 지폈다. 난임 스타트업 '오키드헬스'가 제공하는 이 서비스는 단순히 유전 질환을 피하는 수준을 넘어 부모가 원하는 특성을 가진 아이를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현대판 우생학이라는 윤리적 비판에 직면했다. 오키드헬스의 기술은 기존의 유전자 검사와 차원을 달리한다. 현재 시험관 시술(IVF)에서 이뤄지는 검사는 다운증후군 등 특정 염색체 이상이나 단일 유전자 변이를 확인하는 수준에 그친다. 하지만 오키드헬스는 배아에서 채취한 단 5개의 세포만으로 30억 염기쌍의 전체 유전체를 분석해 조현병, 알츠하이머, 비만 등 1200여개 질병의 발병 가능성을 점수화해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예비 부모는 이 점수를 보고 가장 '건강한' 배아를 선택해 임신을 시도할 수 있다. 오키드헬스의 창업자 누르 시디키는 "오키드는 질병을 피할 수 있는 유전적 축복을 받는 세대를 만들고 있다"며 "섹스는 즐거움을 위한 것이고 아기를 위한 것은 배아 스크리닝"이라는 도발적인 말로 기술의 당위성을 설명했다. 그러나 비판론자들은 이 기술이 건강을 위한 선택을 넘어 사회적 불평등을 고착화하고 생명의 가치를 서열화하는 위험한 길을 열고 있다고 경고한다. 검사 비용은 배아 하나당 2500달러(약 347만원)에 달하며 시험관 시술 평균 비용까지 더하면 부유층만이 감당할 수 있는 가격이다. 논란은 일론 머스크와 그의 자녀 4명을 낳은 뉴럴링크 임원 시본 질리스가 이 서비스를 이용한 것으로 알려지며 증폭됐다. 오키드헬스는 공식적으로 "지적 장애는 선별하지만 지능 예측은 제공하지 않는다"고 밝혔지만 회사 관계자는 머스크 커플을 포함한 일부 고객에게 비공식적으로 지능 관련 선별 서비스를 제공했다고 시인했다. 이는 기술이 질병 예방을 넘어 인간 능력의 '설계'로 나아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앨리슨 브룩스 MIT 생명윤리학 교수는 "우리는 지금 아이들이 선택받은 이유와 선택받지 못한 이유를 아는 사회로 가고 있다"고 깊은 우려를 표했다. 기술의 과학적 신뢰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스베틀라나 야첸코 스탠퍼드대 교수는 "5개 세포로 전 유전체를 검사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오류가 발생한다"며 "특정 질병 유전자가 없다고 단언하는 건 사실상 러시안룰렛에 가까운 위험한 판단"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질병 없는 완벽한 아이를 낳고 싶은 부모의 희망을 자극하는 이 기술이 결국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불안 마케팅이자 돌이킬 수 없는 사회적 분열을 낳는 판도라의 상자가 될 수 있다는 경고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025-07-19 09:43:46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애플 아이폰 17, 9월 공개 전망…초슬림 '에어' 모델 추가, '전면 재설계'
2
정부, 카드사에 '민생쿠폰 수수료 인하' 요청했지만 또 무산
3
실적 성장세에도 中 수주량 절반인 K-조선, 돌파구는 친환경 전략
4
갤럭시 Z7 예판 돌입, 단통법 폐지 맞물려 통신사 '보조금 대란' 예고
5
사우디 '오일머니', T1 유니폼 입다…e스포츠-관광 첫 대규모 초대형 스폰서십
6
[편집인칼럼] 시진핑의 '문명대회', 일대일로를 잇는 새로운 세력 확장 전략인가
7
모듈러부터 UAM까지… GS건설, 미래 건설 패러다임 뒤흔든다
8
[기자수첩] 비보존제약, 성과도 소통 방식도 '일방통행'?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비보존제약, 성과도 소통 방식도 '일방통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