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8.03 일요일
맑음
서울 26˚C
흐림
부산 26˚C
맑음
대구 28˚C
맑음
인천 26˚C
흐림
광주 26˚C
흐림
대전 27˚C
흐림
울산 27˚C
흐림
강릉 27˚C
흐림
제주 27˚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감원'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AI의 '조용한 해고' 시작됐다…기업들은 왜 쉬쉬하나
[이코노믹데일리] 기업들이 인공지능(AI) 도입에 따른 인력 감축 규모를 의도적으로 축소하거나 다른 명분 뒤에 숨기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 경제매체 CNBC는 20일(현지시간) AI가 촉발한 해고가 기업의 공식 발표보다 훨씬 클 수 있다며 '조용한 해고'가 현실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최근 경제 지표 호조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이 잇따라 대규모 감원을 단행하는 배경에는 AI가 있지만 대부분의 기업은 이를 직접적인 이유로 밝히지 않는다. IBM이나 핀테크 기업 클라르나처럼 AI 챗봇 도입으로 인사팀 직원을 해고하거나 전체 직원 수를 줄였다고 인정한 곳은 소수에 불과하다. 대다수 기업은 '재편성', '구조조정', '최적화'와 같은 모호한 표현을 사용하며 AI의 역할을 감추고 있다. 크리스틴 잉 하버드대 교수는 "우리가 지금 목격하는 것은 공개적으로 드러나지 않은 AI 주도의 인력 재편성"이라며 "'우리는 AI로 사람을 대체한다'고 말하는 기업은 극히 드물지만 사실상 그런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기업들이 AI 감원을 쉬쉬하는 데는 전략적인 이유가 있다. 잉 교수는 AI로 인한 해고라고 명시할 경우 직원과 대중, 심지어 규제 당국의 거센 반발에 부딪힐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언어 학습 앱 듀오링고는 AI 도입으로 계약직을 줄이겠다고 발표했다가 거센 비판에 직면해 계획을 철회한 바 있다. 이런 사례를 본 기업들은 AI가 일자리를 빼앗는다는 부정적 인식을 피하기 위해 감원의 진짜 이유를 더욱 숨기려 한다는 것이다. '위험 회피' 측면도 있다. AI 기술이 아직 기대만큼의 성과를 내지 못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는 것이다. 인력 아웃소싱 기업 코넥스트 글로벌의 테일러 고처 세일러 부사장은 "AI가 전체 프로세스의 70~90%는 자동화할 수 있지만 마지막 10%는 여전히 인간의 판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AI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해 기업들은 기술 도입 실패라는 인상을 주지 않으면서 조용히 외주를 주거나 해외 인력으로 공백을 메우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문제는 이런 '조용한 해고'가 이제 시작 단계라는 점이다. 세계경제포럼(WEF)은 향후 5년 내 전 세계 고용주의 41%가 AI 자동화로 인력을 줄일 계획이라고 전망했다. 생성형 AI '클로드'를 개발한 앤스로픽의 CEO는 자사 모델만으로도 초급 사무직의 절반을 대체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AI로 인한 고용 시장의 지각 변동이 눈앞에 닥친 것이다. 잉 교수는 기업들이 AI로 인한 고용 변화를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는 지금의 상황을 방치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그는 "AI가 일자리를 대체하고 있다는 사실을 외면하면 나중에는 돌이킬 수 없을 것"이라며 "그때가 되면 해고 규모는 매우 커질 것이고 개인이 할 수 있는 유일한 일은 '적응'하는 것뿐일 것"이라고 우려했다.
2025-07-21 08:03:27
한국화이자제약, 코로나19 특수 끝나자 지난해 매출 반토막
[이코노믹데일리] 한국화이자제약이 코로나19 팬데믹 종료 이후 백신과 치료제 매출이 급감하면서 실적 부진에 시달리고 있다.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반 토막 났고, 영업이익도 급감했다. 이러한 실적 악화로 한국화이자제약은 2년 연속 감원을 계획하고 있다. 1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한국화이자제약은 지난해(2023년 12월~2024년 11월) 매출 7837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51.7% 감소한 수치다. 영업이익은 272억원으로 같은 기간 57.4% 줄었다. 코로나19 엔데믹에 따른 백신과 치료제 매출 감소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화이자제약의 매출은 2022년 3조2254억원으로 정점을 찍었지만, 이후 코로나19 특수가 끝나면서 급감하고 있다. 2023년에는 1조6018억원을 기록했고, 지난해는 1조원 아래로 떨어졌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특수를 누렸던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 등의 한국 법인 매출 급감은 어느 정도 예상된 일"이라며 "특히 화이자의 경우 코로나19 기간 동안 매출이 크게 성장했던 만큼, 감소 폭도 더 큰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실적 악화에 따라 한국화이자제약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감원을 계획하고 있다. 감원 규모 등 구체적인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한국화이자제약의 매출 급감으로 국내 외국계 제약사들의 순위 변동도 예상된다. 2023년 기준 한국MSD(7609억원), 한국노바티스(6491억원) 등이 국내 시장에서 높은 매출을 기록하고 있다.
2025-03-12 14:15:32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SKT 해킹 피해, 내 정보는...오늘부터 유출 여부 직접 확인 가능
2
'국내 최대'가 '국내 최다 하자'로… 흔들리는 현대건설의 신뢰
3
퓨리오사AI, 1700억 투자 유치로 유니콘 등극…'탈엔비디아' 속도
4
국가인공지능위원회 2기 내달 출범...민간 전문가 중심 'AI 컨트롤타워'로
5
LG엔솔 '무음극 전지' 개발 순항...상용화는 언제?
6
은행계 캐피탈, 올 상반기 KB·신한·우리·하나 '줄줄이 적자'…PF 부실에 발목
7
삼성 '갤럭시 Z 폴드7', 미국 초기 판매량 50% 급증…역대 최고 기록
8
LG엔솔, 中기업 상대 특허침해소 승소했지만..."글로벌 대응 체계 강화 시급"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지시'로 SPC 산재 막을 수 없다…'진짜 실행력' 증명돼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