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02 일요일
맑음
서울 8˚C
맑음
부산 9˚C
구름
대구 8˚C
흐림
인천 10˚C
흐림
광주 11˚C
구름
대전 9˚C
흐림
울산 11˚C
맑음
강릉 9˚C
흐림
제주 19˚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갈등 해결'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미국 증시, 5월 마감 앞두고 혼조…관세 불확실성에 출렁
[이코노믹데일리] 미국 뉴욕증시는 5월의 마지막 거래일에 큰 변동성을 보인 끝에 혼조세로 마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미·중 무역 갈등 관련 발언과 정부의 기술 수출 규제 확대 움직임 등으로 장 초반 낙폭이 확대됐으나, 무역 분쟁 완화 기대감이 살아나며 반등에 성공했다. 3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54.34p(0.13%) 오른 4만2270.07에 장을 마쳤다. 반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0.6p(-0.01%) 내린 5911.69에, 나스닥100 지수24.00p(-0.11%) 떨어진 2만1340.99로 마감했다. 5월 전체로는 S&P 500지수가 1990년 이후 가장 강한 상승세를 기록하며 의미 있는 한 달을 마쳤다. 중소형주 중심의 러셀2000 지수는 8.49p(-0.41%) 하락한 2066.29를 기록했다. 이날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이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중국이 미중 무역 합의를 위반했다"고 강하게 비난한 이후 하락세로 출발했다. 앞서 베센트 미 재무장관이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미중 무역 협상은 다소 교착 상태"라고 밝힌 것도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 여기에 블룸버그가 트럼프 행정부가 기존 제재 대상 중국 기업의 자회사까지 기술 수출 규제를 확대할 방침이라고 보도하면서 장중 낙폭은 한때 S&P 500지수가 1.2%까지 밀리는 등 커졌다. 장 후반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해 무역갈등 해결 의지를 밝히면서 주가는 낙폭을 대부분 회복했다. 한편 4월 미국의 개인소비지출(PCE) 지표는 인플레이션이 진정되고 있음을 재확인시켰다. 연방준비제도(Fed)가 주목하는 근원 PCE 상승률은 전월 및 전년 대비 모두 시장 예상치와 부합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당분간 무역 및 관세 관련 헤드라인 뉴스가 단기적 시장 변동성의 핵심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잉걸스&스나이더의 팀 그리스키는 "관세는 여전히 시장의 핵심 변수"라고 강조했고, 벨웨더 웰스의 클라크 벨린은 "단기적으로 시장은 관세 관련 헤드라인에 좌우되겠지만, 무역 상황이 명확해지면 실적과 펀더멘털 등 전통적 요인이 투자심리를 주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채권시장은 비교적 안정세를 보였다.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전일 대비 0.028%p 하락한 4.398%에 마감했고, 2년물 수익률은 3.900%로 내렸다. 달러 인덱스는 99.344에서 99.450으로 소폭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5월 증시는 인플레이션 완화와 미·중 무역 협상 기대, 대형 기술주 실적 호조 등에 힘입어 강한 상승 랠리를 기록했으나, 무역과 지정학 리스크가 시장을 계속 흔들 수 있다"며 신중한 접근을 주문했다.
2025-05-31 09:17:45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마이크로소프트 애저·365 서비스, 전 세계적 접속 장애…'클라우드 대란' 현실화
2
삼성바이오에피스, ADC 인투셀 '픽'한 이유는…차세대 성장동력 선점 전략
3
[데스크 칼럼] '카카오 무죄'가 남긴 질문… 검찰의 칼끝은 무엇을 겨눴나
4
[단독] 토스증권, 출범 이후 약 4년간 본점 정보 공시 누락
5
롯데·HD현대 석화 구조조정 빅딜 성사...구조조정·개편 '꿈틀'
6
[2025APEC] 젠슨 황이 들고 올 '선물'은 무엇…15년 만의 방한에 韓 반도체 업계 '들썩'
7
[2025국감] 산자위 국감, 남정운 "정상적 M&A 과정" vs 조용수 "한화솔루션, 과정·결과 불법"
8
광주 화정아이파크 또 사고… HDC현대산업개발 '안전 불감증' 논란 재점화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배달앱 '이중가격제', 소비자의 눈 가린 편리함의 그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