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
-
-
쌍용건설, 아프리카 적도기니 '바타 국제공항' 준공
쌍용건설(글로벌세아 그룹)은 지난 10일 '바타 국제공항(BATA International Airport Passenger Terminal)'에서 준공식을 했다고 17일 밝혔다. 행사에는 테오도로 오비앙 은게마 음바소고(Teodoro Obiang Nguema Mbasogo) 적도기니 대통령을 비롯해 글로벌세아 그룹 김기명 부회장과 쌍용건설 김인수 대표이사 등 최고 경영진이 참석했다. 지난 6월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위해 우리나라를 방문했던 적도기니 대통령은 이날 축사에서 "제56주년 독립기념일(10월12일)을 맞아 대륙에 거주하는 적도기니 국민들은 최고의 선물을 받았다"며 "쌍용건설은 아름답고 장엄한 공항을 우리에게 다시 선사했고, 이 나라 건설 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품질기준을 제시하며 신뢰할 수 있는 기업임을 증명했다"고 극찬했다. 바타(Bata)는 적도기니의 아프리카 서부 지역에 허브로 도약하고 있는 제2도시로 대륙으로 이어지는 관문이다. 이번에 준공한 바타 국제공항은 지하 1층~지상 3층, 연 200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의 승객 터미널과 부속동, 주차빌딩, 접속도로 등으로 구성된다. 수하물 처리시설, 탑승교 등 제반 시설을 포함해 36개월에 걸쳐 완공됐다. 이번 공사는 시공사가 프로젝트 기획 단계부터 설계와 시공까지 일괄 수행하는 '디자인 앤드 빌드(Design & Build)와 패스트 트랙(Fast Track) 방식'으로 수주한 현장이다. 설계는 희림건축, 감리는 프랑스 CIEC사와 협업했다. 쌍용건설은 적도기니 총 3개의 공항 중 2개의 국제공항을 준공했다. 바타공항에 앞서 2018년 몽고메엔(Mongomeyen) 국제공항을 준공한 바 있다. 공항뿐만 아니라 영빈관, 공원, 호텔, 병원, 성당, 학교, 상하수도 시설 등 다수의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우리나라를 아프리카에 널리 알리고 있다. 쌍용건설 관계자는 "우수한 시공 능력과 신뢰를 바탕으로 향후 주요 진출국 외 코스타리카와 중남미 등 신시장을 확대함으로써 글로벌 건설 명가의 입지를 확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10-17 15:50:48
-
국토부, '뉴:빌리지' 청년 타운홀 미팅…"MZ세대 목소리 정책에 반영"
정부가 청년 세대의 주거 사다리인 단독주택·빌라 등 저층 거주지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뉴:빌리지' 사업에 청년들의 목소리를 담기 위해 소통에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서울 용산구 서울광역청년센터에서 뉴:빌리지 사업에 대한 청년들의 의견을 듣기 위해 타운홀 미팅을 개최한다고 17일 밝혔다. 2022년 주거실태조사에 따르면 청년 가구 주택 유형은 단독·다가구 38%, 연립·다세대 13% 등 빌라촌 거주 비중이 절반 이상으로 높다. 이번 타운홀 미팅은 빌라촌 거주 비율이 높은 청년층을 대상으로 뉴:빌리지 사업을 설명하고, 청년의 시각에서 사업 추진 방향 등 노후 저층 주거지 개선을 위한 정책 아이디어를 듣기 위해 마련됐다. 타운홀 미팅은 국토교통부 '2030 청년자문단'과 청년 인턴 등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내 저층 주거지 현황에 대한 국토연구원의 기조 발표, 뉴:빌리지 사업 설명 및 타운홀 미팅 순으로 진행된다. 타운홀 미팅 참석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사전 설문 조사에 따라 청년들은 사업 대상지 확대, 노후 주택 정비 활성화, 청년 수요 맞춤형 생활인프라 공급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향후 뉴:빌리지 사업지 방문, 담당자 인터뷰 등을 바탕으로 정책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이를 연말 성과발표회를 통해 뉴:빌리지 담당 부서에 전달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현장 안내 등 청년들의 활동을 지원하고, 청년들이 제안한 정책 아이디어를 사업 추진 과정에서 반영할 예정이다. 타운홀 미팅을 직접 진행하는 이상주 국토부 국토도시실장은 "청년들의 참신한 의견과 다양한 아이디어를 적극 반영해 빌라촌 정주 환경을 아파트 수준 못지않게 만들고, 빌라촌만의 매력을 높여 청년들이 살고 싶은 저층 주거 공간으로 개편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2024-10-17 15:50:16
-
-
-
-
-
현대차 20대 직원수 늘고… SK하이닉스 20대 채용 줄였다
국내 주요 대기업의 연령대별 인력 구성이 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자동차, 포스코 등의 경우 최근 20대 직원은 늘었지만, 50대는 줄고 있는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SK하이닉스, HD현대중공업, 대한항공 등은 20대보다 경험이 풍부한 50대 직원 비중이 늘어났다. 기업분석전문업체 한국CXO연구소는 17일 이 같은 내용의 ‘2021~2023년 주요 대기업 연령대별 인력 구성 변동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고용 규모가 1만명이 넘는 주요 16대 기업이다. 조사는 각 기업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명시된 연령대별 인력 현황 등을 참고했다. 20대 직원을 늘린 대표적인 기업은 현대차다. 지난해 글로벌 고용 규모는 12만3721명인데, 이 중 20대는 2만6979명(21.8%)으로 2021년 2만3689명(19.3%)보다 3000명 이상 늘었다. 반면 50대 인력은 2021년 29.6%에서 2023년 27.4%로 줄었다. 이번 조사에서 포스코, LG전자, 삼성SDS, 기아 역시 20대 인력 비중이 최근 꾸준히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포스코 구성 인력 연령은 전반적으로 젊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0대가 2021년에 16%(2921명) 수준에서 2023년 18%(3241명)로 높아졌고 지난해 처음으로 3040세대(41.5%)가 50대(40.4%) 직원을 앞질렀다. SK하이닉스는 정반대 흐름을 보였다. SK하이닉스의 50대 인력 비중은 2021년 4.7%(1815명)에서 2023년 7.3%(2921명)로 늘었다. 50대 직원 수만 놓고 보면 1800명대에서 3000명을 바라보는 수준으로 늘었다. 2022년까지 20대 신규 인력 2500~3000명을 채용해 오던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채용 규모를 200명대로 줄인 바 있다. SK하이닉스와 같은 패턴을 보인 기업에는 HD현대중공업, 대한항공, 삼성디스플레이, LG유플러스 등이 있었다. 이 중 HD현대중공업의 최근 3년간 50대 장년층 인력 비중은 2021년 26.9%(3447명)에서 2023년 28.9%(3828명)로 매년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같은 기간 대한항공 50대 인력도 2021년 25.7%(4993명)에서 28.5%(5541명)로 늘었다.
2024-10-17 15:39:11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