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
GS건설, 약 7142억 규모 충남 서산 'HVO 공장 건설' 수주
GS건설이 충남 서산에서 약 7142억 규모 ‘수소화 식물성 오일(HVO) 공장 건설’ 공사를 수주했다고 12일 밝혔다. GS건설은 사우디아라비아 ‘파딜리 가스 증설 프로그램’, 전남 여수 ‘동북아 LNG 허브 터미널’에 이어 올해 세 번째 대형 플랜트 EPC(설계·조달·시공) 공사 수주에 성공했다. HVO 생산설비는 폐식용유, 팜유 부산물을 수첨분해해 바이오항공유, 바이오디젤, 바이오납사 등을 생산하는 친환경 설비다. 이번에 수주한 HVO 공장 건설 공사는 LG화학 대산 공장 내에 연간 HVO 34만톤(t) 규모를 생산할 수 있는 설비를 건설하는 공사다. 친환경 제품 생산을 통해 전통적인 석유화학 플랜트에서 친환경 플랜트로 사업 저변을 확대하는 사업이다. 계약금액은 약 7142억원이고, 공사 기간은 약 32개월로 예상된다. 이번에 GS건설에서 수주한 ‘HVO 공장’에서 생산되는 바이오납사는 석유화학의 쌀이라 불리는 에틸렌의 주원료로 사용되며, 바이오항공유는 지속가능항공유(SAF)로써 해외로 수출될 예정이다. GS건설 관계자는 “전통적인 플랜트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다져온 사업관리, 설계, 구매, 시공 능력을 바탕으로 고객사 및 기술선과 긴밀한 협력 관계를 구축해 신시장인 에너지전환사업에서의 기술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고 했다.
2024-11-12 15:17:55
-
"현대차가 인증한 최고 레벨 엔지니어"…'2024 그랜드마스터 인증 평가' 실시
현대자동차가 글로벌 최고 수준의 서비스 엔지니어 양성을 위한 '2024 그랜드마스터 인증 평가'를 실시했다고 12일 밝혔다. 그랜드마스터 인증 평가는 현대차가 서비스 엔지니어들의 기술력을 향상시키고 자부심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지난 2012년부터 진행해 온 우수 엔지니어 평가 프로그램이다. 평가 대상은 전국 직영 하이테크 센터 및 블루핸즈의 서비스 엔지니어로 부문별 평가에서 일정 점수 이상을 획득한 최우수 엔지니어는 현대차의 서비스 기술 인증 프로그램 '현대 마스터 인증 프로그램(HMCP)' 4단계 중 최고 등급인 그랜드마스터가 주어진다. 그랜드마스터로 뽑힌 엔지니어에게는 최고 기술 전문가 자격을 증명하는 인증서와 메달, 인증현판, 명패, 유니폼 패치 등이 제공되며 이 가운데 인증메달과 현판은 블루핸즈 고객 라운지 등에 부착돼 서비스 품질에 대한 고객 신뢰도를 높일 것으로 보인다. HMCP는 지난 2012년 도입된 현대차의 독자적 기술 인증 제도로 기술 역량 수준에 따라 엔지니어를 레벨1~2(테크니션), 레벨3(마스터), 레벨4(그랜드마스터) 등 총 4개의 등급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번 그랜드마스터 인증 평가에는 전국 직영 하이테크 센터 엔지니어 79명, 블루핸즈 승용 엔지니어 486명이 참가했으며 1차 필기시험을 합격한 28명을 대상으로 현대차 천안 글로벌 러닝센터에서 지난달 말 2차 실기 평가를 진행했다. 승용 부문 실기 시험에서는 전기차(EV), 내연기관(ICE)·하이브리드(HEV), 바디전장(통신, 편의장치),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진단 등 총 4개 항목에서 전문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그 결과 최종 5명이 그랜드마스터로 선발됐다. 현대차 관계자는 "2024 그랜드마스터 인증 평가는 고객의 최접점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엔지니어들의 검증된 기술력을 널리 알릴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고 있다"며 "신기술 적용, 전동화 차량의 판매 증가 상황에서 고도화된 전동차 진단 수리 기술 전문성을 갖춰 신뢰도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24-11-12 14:45:51
-
-
두산에너빌리리티, 가스터빈 '케이싱 교체 공사' 수주
두산에너빌리티는 한국남부발전과 신인천복합화력 가스터빈 8기에 대한 케이싱 교체 공사 계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케이싱은 고온, 고압, 고속으로 운전하는 가스터빈의 덮개 역할을 하는 기기다. 제작은 물론 설치할 때도 고난도 기술력이 필요해 그동안 해외 가스터빈 원제작사들이 주로 수행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이번 케이싱 교체 공사에 요구되는 설계, 소재 제작 및 가공, 설치 등 전 과정을 13개 국내 중소기업들과 수행하며 관련 기술을 100% 국산화 할 계획라고 전했다. 이미 17개 국내 중소기업과 협력해 로터 수명 연장, 고온 부품 공급 등 가스터빈 서비스의 핵심 기술을 국산화했다. 로터는 발전기, 전동기, 터빈 등 회전 기계에서 회전하는 부분을 말한다. 이번에 수주한 모델은 해외 제작사의 150㎿급인 7F 가스터빈이다. 7F 가스터빈은 전 세계에 900기 이상 공급됐고 이 중 650기 이상이 미국에서 운전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미국 휴스턴의 가스터빈 서비스 전문 자회사인 DTS를 활용해 글로벌 가스터빈 서비스 시장 진출도 추진할 계획이다. 두산에너빌리티는 기존 로터, 고온 부품 공급에 이어 케이싱 교체 공사까지 수주하면서 가스터빈 서비스 사업에 필요한 3대 핵심 역량을 모두 인정받았다고 설명했다. 앞서 두산에너빌리티는 한국남부발전과 2022년 2기, 올해 6기의 로터 수명 연장 계약을 체결했다. 내년에는 부산복합화력에 고온 부품을 공급할 예정이다. 손승우 두산에너빌리티 파워서비스BG장은 “이번 계약은 국내 중소 협력사들과 함께 가스터빈 서비스 사업의 핵심 기술들을 100% 국산화한다는 의미가 있다”며 “국내 실적을 바탕으로 연간 1조원 이상으로 전망되는 미국 등 글로벌 7F 가스터빈 서비스 시장 진출도 국내 기업들과 함께 적극 추진해 보겠다”고 말했다.
2024-11-12 14:32:55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