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
-
-
-
-
-
-
-
-
-
-
LG CNS, 고용노동부와 차세대 인재 양성 나선다
디지털 전환(DX)전문기업인 LG CNS가 'K-디지털 트레이닝 아카데미' 교육기업으로 선정돼 다음달 3일까지 'LG CNS 앱 현대화(AM) 인스파이어 캠프' 1기 교육생을 모집한다고 27일 밝혔다. K-디지털 트레이닝은 첨단산업 분야 취업준비생을 위해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인재양성 프로그램이다. 산업 현장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전문가를 육성하기 위해 국내 정보기술(IT) 등을 이끌고 있는 기업이나 훈련 기관을 발탁해 교육 커리큘럼을 제공한다. 구체적인 교육 분야로는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메타버스, 블록체인, 빅데이터 등을 포함한 총 9개 디지털 분야와 2차전지, 로봇, 드론, 바이오, 에너지 등 12개 첨단 산업이 있다. LG CNS는 9개 디지털 분야 중 클라우드 교육 담당기업으로 선정됐다. 특히 클라우드 신기술 분야 중 AM 특화교육에 나설 예정이다. LG CNS는 AM 분야에서 쌓아온 레퍼런스와 선도적 기술력을 활용할 계획이다. 캠프 1기는 다음달 20일부터 내년 6월 26일까지 약 6개월간 진행되며 교육은 크게 이론과 실무과정 2가지 커리큘럼으로 구성된다. 첫 4개월간 교육생은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인 MSA, 유동적 개발 방법인 애자일(Agile) 등 AM 기술의 필수 요소와 AI 활용법, 최신 IT 트렌드까지 다양한 영역의 이론을 온라인으로 교육받는다. 남은 2개월은 사내 DX 전문가들이 AM 프로젝트 기반의 실무 기술교육을 제공한다. 실무 기술교육은 스마트스토어 자동 발주 시스템, 모바일 사원증 관리 시스템, 스마트팩토리 설비 관리 시스템, 자율주행, 금융서비스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등의 프로젝트로 운영될 계획이다. 고영목 LG CNS 최고인사책임자(CHO) 상무는 "LG CNS는 국내 디지털 분야 발전을 위한 차세대 DX 청년인재 양성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11-27 10:32:39
-
대한민국 AI안전연구소 출범…아태지역 AI 안전 허브 목표
정부가 AI 기술의 악용과 위험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AI안전연구소'를 출범했다. 판교 글로벌 R&D센터에서 열린 개소식에서는 국내 ICT 대기업과 학계가 협력해 AI 안전 기술 개발 및 정책 연구를 강화할 것을 다짐했다. AI안전연구소는 지난 5월 AI서울정상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제안한 글로벌 AI안전 네트워크 구축 계획의 일환으로 설립됐다. 연구소는 AI의 기술적 한계, 통제력 상실, 악의적 사용 등 다양한 위험 요인에 전문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탄생했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AI 안전은 지속 가능한 발전의 필수 조건”이라며, "아태지역의 AI 안전 연구 중심지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전폭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삼성전자, LG AI연구원, 네이버, 카카오 등 주요 기업과 학계 및 연구기관 24곳이 함께 참여한 대한민국 AI안전컨소시엄이 연구소와 협력을 다짐하며 MOU를 체결했다. 컨소시엄은 위험 식별과 평가, 국제 규범 대응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김명주 초대 소장은 “연구소는 규제기관이 아닌 지원기관으로서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AI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AI안전연구소는 '국제 AI안전연구소 네트워크'의 일원으로 글로벌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이날 축사에서 세계적인 AI 석학 요슈아 벤지오 교수는 “AI안전연구소는 AI 위험 평가, 안전 요건 수립, 국제 협력을 통해 AI 안전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영국, 일본의 AI안전연구소 소장들도 대한민국의 AI 안전 리더십을 높이 평가하며 “국경을 넘어 AI 기술을 안전하게 만들어가는 협력을 강화하자”고 입을 모았다. AI안전연구소는 AI안전 프레임워크 개발, 국제 표준화 대응, 데이터 기반 정책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산업계의 실질적인 참여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AI 안전 기술을 개발하고 정책적 선진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2024-11-27 10:09: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