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삼양1963’은 단순 복고제품이 아닙니다. 삼양의 정신을 잇는 새로운 출발점이자 선언으로 다음 100년의 삼양을 향해 나아가겠습니다.”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이 동물성 기름 우지(牛脂) 유탕 조리 방식을 도입한 신제품 삼양1963을 선보이며 원조 라면 기업으로서의 정통성 회복에 나섰다. 과거 ‘우지 파동’으로 인한 왜곡된 인식을 바로잡고, 프리미엄 국물 라면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김 부회장은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열린 출시 행사에서 “36년 만에 정직과 진심으로 제자리를 찾는 상징적인 순간”이라며 “고(故) 전중윤 명예회장의 평생의 한을 풀어주는 의미도 있다”고 말했다.
지난 1989년 발생한 우지 파동은 ‘공업용 우지 사용’ 논란이 불거졌던 사건이다. 당시 정부와 법원은 삼양라면이 인체에 무해하다는 점을 확인했으나 브랜드 이미지가 큰 타격을 입으며 시장 지위가 흔들렸다.
이후 삼양식품은 라면에 우지를 배제하고 100% 팜유만 사용해왔으나, 이번 신제품에 1960년대 삼양라면의 유탕 방식과 풍미를 현대 기술로 재해석해 적용했다.
우지는 소기름으로 동물성 유지에 속해 일부 소비자들이 포화지방과 콜레스테롤을 우려한다. 이에 대해 삼양식품 측은 “식물성·동물성 유지 모두 1g당 9㎉로 동일하고, 제품 내 콜레스테롤 함량도 일반 계란 노른자보다 낮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삼양1963은 우지와 팜유를 혼합한 블렌딩 오일로 면을 튀겨 고소한 향과 풍미를 강화했다. 사골육수로 우지의 감칠맛을 강화하고, 무·대파·청양고추를 더해 깔끔한 뒷맛과 얼큰함을 살린 국물 맛이 특징이다.
또한 액상스프·후첨분말 조합으로 완성도를 높였고 단배추·대파·홍고추를 동결건조 공법으로 적용해 식감과 향 유지력을 높였다. 가격은 마트 기준 1개 1538원, 4개입 6150원이다.
김 부회장은 “우지 라면을 다시 만들어야 한다는 내부의 열망이 컸고, 제품 기획에만 3년 넘게 공을 들였다”며 “팜유 대비 2배 이상 비싼 우지를 사용했지만 원가보다 맛을 우선했다”고 강조했다.
채혜영 신성장브랜드본부 부문장은 마케팅 전략과 관련해 “기성세대에는 향수를, 2030세대 라면 헤비유저에게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겠다”며 “불닭볶음면으로 축적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수출용 별도 규격도 준비해 해외 시장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김 부회장은 “삼양1963은 과거의 복원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초석”이라며 “정직한 맛으로 소비자 신뢰를 되찾고 글로벌 식품기업으로서 또 한번의 혁신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2025APEC] 현대차그룹, 싱가포르 EDB와 MOU 체결…수소 생태계 조성](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03/20251103110714145300_388_136.jpg)



![[속보] 60만닉스 달성…SK 하이닉스, 사상 첫 60만원 돌파](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03/20251103103238752937_388_136.jpg)
댓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