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3 월요일
맑음 서울 3˚C
맑음 부산 7˚C
구름 대구 7˚C
맑음 인천 4˚C
맑음 광주 5˚C
맑음 대전 3˚C
맑음 울산 5˚C
강릉 4˚C
흐림 제주 13˚C
산업

반도체·자동차 견인…기업 설비투자, 4년 만에 최대폭 확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조재훈 기자
2025-11-02 18:01:03

삼성·SK·현대차 등 대규모 라인 증설 영향…AI·전동화 수요 반영

클린룸 반도체 생산현장 사진삼성전자
클린룸 반도체 생산현장. [사진=삼성전자]

[이코노믹데일리] 올해 들어 9월까지 설비투자가 자동차와 반도체 업종을 중심으로 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 지표 역시 개선 흐름을 이어가며 경기 반등 기대감을 높였다.

2일 국가데이터처 산업활동동향과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9월까지 전산업 설비투자지수(원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4.3% 증가했다. 이는 2021년(11.3%) 이후 4년 만의 최대폭 증가다.

설비투자 확대는 자동차와 반도체 업종이 이끌었다. 자동차 부문 설비투자는 1년 전보다 15.6% 늘어나 2000년(33.9%) 이후 25년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인공지능(AI) 수요 확대로 호황기에 들어선 반도체 제조용 기계 투자도 15.7% 늘어나 2021년(57.2%) 이후 4년 만의 최대폭을 보였다.

9월 한 달만 놓고 보면 설비투자는 전월보다 12.7% 증가했다. 올해 2월(21.3%)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으로, 특히 반도체 제조용 기계 투자가 28% 급증하며 전체 흐름을 주도했다. 분기 기준으로는 지난해 4분기(-1.8%)와 올해 1분기(-1.7%)의 감소세에서 벗어나 3분기에 5.8% 증가로 돌아섰다.

소비도 개선세를 보였다. 올해 1∼9월 평균 소매판매액 불변지수는 전년보다 0.4% 증가해 2년 연속 감소세에서 플러스로 전환했다. 7월부터 시행된 소비쿠폰 정책이 소비 진작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서비스업 생산 불변지수는 1.6% 올라 2023년(3.9%) 이후 2년 만의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도소매업 증가율은 2.0%로 2022년(3.2%) 이후 가장 컸다. 반면 숙박·음식점업은 -1.4%로 2년 연속 감소했다.

3분기 들어 소비 회복세는 더욱 뚜렷해졌다. 소매판매(계절조정)는 전 분기보다 1.5% 증가해 2021년 3분기(2%) 이후 16분기 만의 최대폭을 기록했다. 도소매업은 4.5% 증가해 2000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분기 증가율을 보였고, 숙박·음식점업도 1.2% 늘어나 2022년 3분기 이후 최대 상승폭을 나타냈다.

반면 생산 지표는 여전히 부진하다. 올해 1∼9월 전산업생산(원지수)은 전년 동기 대비 0.8% 증가에 그쳐 5년 만의 최저 수준을 보였다. 다만 계절조정 기준으로는 전 분기 대비 1.1% 증가하며 8분기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건설경기는 여전히 침체 국면이다. 1∼9월 건설기성(불변)은 전년보다 17.0% 급감하며 통계 작성 이래 최대 감소폭을 보였다. 건설투자 위축이 경기 전반의 불균형 회복을 제약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롯데캐슬
삼성화재
신한금융지주
신한은행
한화투자증권
db
삼성전자
하나금융그룹
우리은행
DB손해보험
한화
NH투자증
NH
씨티
교촌
스마일게이트
신한투자증권
카카오
SC제일은행
KB국민은행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포스코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