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 대표는 15일 여의도 TP타워에서 열린 신한자산운용 'SOL ETF의 업계 최단기간 순자산총액(AUM) 10조원 돌파'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시장에서 반응이 좋으면 이기적으로 똑같은 상품으로 눌러버리는 형태가 맞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한번 짚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국내 ETF 시장 규모는 이날 기준 255조원을 넘어서며 5년 사이 5배 이상 성장했다. 하지만 이중 180조원 이상을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차지하는 점을 볼 때 조 대표가 언급한 '압도적 대형사'는 해당 운용사를 지칭한 것으로 풀이된다.
조 대표는 "이미 시장에 수백개의 상품이 자리를 잡고 있는 상황에서 빈 곳을 노려 성장해야 한다는 것이 굉장히 어려운 과제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부 회사는 더 많은 초기자금으로 동일한 콘셉트를 내세우거나 물밑에서 방해 작업을 하는 사례도 있었다"며 업계 전반에 퍼져있는 문제라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새로 진입하려는 운용사들도 상위사의 견제 탓에 쉽지 않은 환경을 마주하고 있다"며 업계 고충을 드러냈다.
조 대표는 "ETF 시장은 진입 장벽이 높고 경쟁이 치열하지만 결국 혁신이 살아남는다"며 "신한자산운용은 앞으로도 단순한 모방이 아닌 시장을 선도하는 상품 혁신으로 차별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