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5 목요일
맑음 서울 23˚C
흐림 부산 24˚C
흐림 대구 24˚C
맑음 인천 23˚C
흐림 광주 23˚C
흐림 대전 24˚C
흐림 울산 23˚C
흐림 강릉 22˚C
흐림 제주 25˚C
생활경제

"케데헌부터 귀멸의칼날까지"…편의점·쇼핑몰, '덕후 성지' 쟁탈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아령 기자
2025-09-25 16:51:15
AK플라자 수원점 5층 애니메이트 앞에 일본 애니메이션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캐릭터 피규어가 전시된 모습 사진김아령 기자
AK플라자 수원점 5층 애니메이트 앞에 일본 애니메이션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캐릭터 피규어가 전시된 모습 [사진=김아령 기자]

[이코노믹데일리] 편의점과 복합쇼핑몰이 서브컬처 팬덤을 겨냥해 오프라인 매장을 ‘덕후 성지’로 탈바꿈시키고 있다. 편의점은 캐릭터 협업 상품과 일본식 뽑기 기계를 들여 구매를 넘어 체험형 소비로 확장하고, 쇼핑몰은 굿즈숍과 팝업스토어를 전면에 내세워 1020세대 놀이터로 변모하고 있다.
 
25일 편의점 GS25에 따르면 최근 두 달간(8월~9월) 귀멸의 칼날, 픽셀리, 블루아카이브 등 인기 애니메이션·게임 IP(지식재산권)와 협업한 상품 매출은 6월~7월 대비 219.8% 증가했다.
 
GS25와 넷플릭스 인기 콘텐츠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와 협업한 김밥·주먹밥·분식세트 등 상품은 정식 출시 첫날(17일)에만 무려 5만여개가 판매되는 등 인기를 끌었다.
 
GS25는 지난 5월 업계 최초로 일본의 ‘이치방쿠지’를 키오스크 형태로 매장에 들여왔다. 이치방쿠지는 일본에서 2003년 시작된 ‘꽝 없는 캐릭터 뽑기’로, 1회 당 약 1만~1만5000원 정도의 가격에 참여할 수 있다.
 
GS25는 “일본에선 종이 추첨으로 운영되나 GS25는 관리의 효율화 등 편의점 특성에 맞춰 키오스크로 도입했다”며 “현재 합정본점, 합정프리미엄점, 홍대클럽점, 뉴안녕인사동점 등 4개 점포에서 운영 중이며, 올 연말까지 10개 매장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 종로구 GS25 뉴안녕인사동점에 들어선 이치방쿠지 뽑기 기계 모습 사진김아령 기자
서울 종로구 GS25 뉴안녕인사동점에 들어선 이치방쿠지 뽑기 기계 모습 [사진=김아령 기자]
 
1대의 키오스크에는 12종의 뽑기 콘텐츠가 운영되며 피규어·컵·쿠션·인형 등 인기 캐릭터 굿즈를 획득할 수 있다. 콘텐츠는 대원미디어가 관리하며 2~3개월 단위로 굿즈를 업데이트한다.
 
CU에서도 케데헌 열풍에 따른 매출 특수를 얻었다. 방영 기간이던 7월과 8월 두 달간 해외 결제 수단 이용 건수는 전년 대비 185% 뛰었다. 김밥 매출은 전년 대비 231% 증가했고, 바나나 우유 등 디저트류도 인기를 끌었다.
 
복합쇼핑몰도 서브컬처 전략에 공을 들이고 있다. AK플라자 홍대점은 애니메이트, 위드뮤, 리밋션 등 국내외 유명 IP와 협업을 지속 확대해 왔다. 홍대 상권에 맞춘 만화 상품 판매점, 캐릭터 카페, K-팝 팝업스토어 등을 입점시키며 높은 성장세를 기록했다. 
 
AK플라자 수원점도 홍대점처럼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자)를 겨냥한 IP 콘텐츠를 확대해 수원 상권에서 우위를 점한다는 목표다. 수원점은 기존 건담베이스, 타미야, 도토리숲&애니랜드 매장을 포함해 약 500평 규모의 서브컬처 존을 구축했다.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AK플라자 수원점 5층에 들어선 애니메이트 외부 모습 사진김아령 기자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AK플라자 수원점 5층에 들어선 애니메이트 외부 모습 [사진=김아령 기자]
 
이달부터 6개월간 애니메이트, 에스엠지홀딩스의 ‘OH! MAKE’, 네이버 인기 웹툰 ‘꽃이 삼킨 짐승’, 홍대 굿즈 편집숍 ‘더쿠’, ‘카와이토모’ 등 다양한 IP 콘텐츠들을 선보일 예정이다. 
 
일본 캐릭터 굿즈숍 ‘다올상점’은 내달부터 합류하며, 같은 기간 홍대점 3층에서는 ‘메가하우스 홍대본점’이 문을 연다.
 
AK플라자는 “수원점은 지난 5월부터 8월까지 4개월 연속 전년 대비 매출 신장을 기록하고 있다”며 “차별화된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선보여 국내외 팬들에게 ‘가장 먼저 찾는 성지’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서브컬처는 이제 마니아층을 넘어 유통업의 새로운 성장 축이 되고 있다”며 “체험과 굿즈, 외국인 관광 수요를 결합한 모델이 앞으로 오프라인 매장의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라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KB국민은행_1
우리은행
우리은행
현대
KB국민은행_3
우리은행
DB그룹
컴투스
KB금융그룹_3
미래에셋
농협
한화
하나금융그룹
KB금융그룹_1
한국토지주택공사
동아쏘시오홀딩스
신한카드
KB국민은행_2
신한라이프
kt
하이닉스
대신증권
빙그레
다올투자증권
GC녹십자
삼성증권
삼성물산
롯데케미칼
콜마
한국증권금융
우리은행
신한라이프
KB금융그룹_2
신한은행
kb캐피탈
바이오로직스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