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4 수요일
흐림 서울 23˚C
흐림 부산 27˚C
흐림 대구 26˚C
흐림 인천 22˚C
흐림 광주 27˚C
흐림 대전 27˚C
흐림 울산 27˚C
흐림 강릉 26˚C
흐림 제주 30˚C
건설

서울역 동자동 쪽방촌 개발, 국토부 다시 시동…소유주 반발 여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차유민 기자
2025-09-24 09:50:55

2410가구 공급 구상에도 '사유재산 침해' 논란에 4년째 제자리

4월 23일 서울 종로구 경복궁 월대 앞에서 2025 홈리스주거팀이 주최한 동자동 쪽방촌 공공주택 지정 촉구 1만인 서명 제출 기자회견에서 주민들과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국토교통부와 서울시 용산구의 조속한 쪽방촌 공공주택개발을 촉구하는 손팻말을 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4월 23일 서울 종로구 경복궁 월대 앞에서 2025 홈리스주거팀이 주최한 동자동 쪽방촌 공공주택 지정 촉구 1만인 서명 제출 기자회견에서 주민들과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국토교통부와 서울시 용산구의 조속한 쪽방촌 공공주택개발을 촉구하는 손팻말을 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국토교통부가 답보 상태에 머물렀던 서울역 앞 동자동 쪽방촌 개발 사업 재추진에 나섰다. 최근 건물·토지 소유주들과 직접 면담을 진행하며 장기간 이어진 교착 상태를 풀기 위한 돌파구 찾기에 나선 것이다.

24일 국토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따르면 최근 동자동 일대 소유주들을 잇달아 만나 개발 사업에 대한 의견을 청취했다.

앞서 문재인 정부는 2021년 동자동 일대를 공공주도로 개발해 임대주택 1250가구와 분양주택 200가구 등 공공주택 1450가구, 민간분양 960가구를 포함한 총 2410가구를 공급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사업 대상지는 서울역에서 남산으로 이어지는 약 4만7000㎡ 규모로 교통 여건이 뛰어나 ‘노른자 땅’으로 불린다.

하지만 토지와 건물을 전면 수용하는 공공개발 방식이 제시되자 소유주들이 “과도한 사유재산 침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국토부가 아파트 분양권 제공 등 보완책을 내놨지만 설득에는 역부족이었다. 실제로 사업 발표 이후 지구 지정 등 첫 단계조차 진행되지 못한 채 4년째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최근 면담에서도 소유주 다수는 민간개발 방식을 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동자동 소유주 단체 관계자는 “서울 도심 개발 사업 중 유일하게 주민 동의를 받지 않은 사례”라며 “대부분 소유주가 민간개발을 원하고 있어 강제 수용에는 동의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국토부는 앞으로 공공개발에 찬성하는 거주민 의견도 수렴할 계획이다. 소유주와 거주민의 입장이 엇갈린 만큼 상반된 의견을 종합해 접점을 찾겠다는 방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2021년 발표 이후 사업이 사실상 진전이 없었다”며 “찬성과 반대 관점을 모두 청취하는 차원에서 면담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바이오로직스
신한카드
농협
우리은행
KB금융그룹_3
콜마
우리은행
신한은행
다올투자증권
kt
롯데케미칼
KB국민은행_2
KB금융그룹_1
KB국민은행_3
컴투스
우리은행
하이닉스
미래에셋
신한라이프
KB국민은행_1
하나금융그룹
우리은행
신한라이프
삼성증권
현대
KB금융그룹_2
DB그룹
한화
한국토지주택공사
kb캐피탈
대신증권
GC녹십자
한국증권금융
삼성물산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