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믹데일리] 네이버가 커머스 서비스에서 성과를 입증한 ‘안심보장’ 프로그램을 카페, 밴드 등 이용자 제작 콘텐츠(UGC) 영역까지 확대한다고 5일 밝혔다. 위조상품과 피싱 사기 등을 막는 자사의 기술 및 정책 노하우를 플랫폼 전반에 이식해 안심거래 생태계를 전방위로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네이버는 지난해 10월부터 판매자와 구매자 보호를 위해 ‘안심보장’ 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 AI 탐지와 모니터링을 통해 입점 단계부터 위조 이력 판매자를 차단하고 ‘원스트라이크 아웃’ 제도를 병행한 결과 올해 쇼핑 영역에서 위조상품 사전 대응률을 95.6%까지 끌어올렸다. 또한 피싱 패턴을 감지하는 탐지 툴을 고도화해 올해 7월까지 누적 구매자 피해 신고 건수를 전년 동기 대비 80% 이상 줄이는 성과를 거뒀다.
이러한 역량과 노하우는 UGC 생태계로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카페와 밴드에서 위조상품 관련 키워드 검색을 차단하고 관련 커뮤니티 개설을 제한하는 등 기술적 대응에 주력한 결과 올해 상반기 UGC 내 위조상품 판매 신고 건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0% 급감했다.
나아가 네이버는 오는 9월 1일부터 ‘지식재산권 클린 프로그램’을 도입해 권리자 및 구매자 보호를 한층 강화한다. 동일 판매자가 한 주에 20건 이상 상표권이나 저작권 등 지식재산권을 침해하면 경고 및 판매 제한 등 단계별 제재 조치가 적용된다.
유봉석 네이버 정책/RM 부문장은 “네이버는 기술과 정책적 노하우가 축적된 ‘안심보장’ 프로그램을 통해 위조 및 위해상품으로부터 구매자들을 보호하고 나아가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 믿고 거래할 수 있는 쇼핑 환경을 만드는 데에 함께 힘쓰고 있다”며 “쇼핑, UGC 등 네이버 생태계 전반에서 안심보장 프로그램을 확대해 건강한 플랫폼 환경을 구축해 서비스 신뢰도를 높여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