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기획·한중교류] 韓 IBK 기업은행 선양분행장 "정 넘치는 선양, 비즈니스 잠재력도 커"
기사 읽기 도구
공유하기
기사 프린트
글씨 크게
글씨 작게
2025.07.16 수요일
서울 24˚C
흐림 부산 26˚C
대구 24˚C
흐림 인천 22˚C
광주 21˚C
대전 22˚C
울산 26˚C
강릉 25˚C
흐림 제주 29˚C
신화통신

[기획·한중교류] 韓 IBK 기업은행 선양분행장 "정 넘치는 선양, 비즈니스 잠재력도 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于也童,武江民,洪可润
2025-07-08 18:56:42

(중국 선양=신화통신) "선양(瀋陽)은 중국의 주요 공업 도시로 입지적 우위가 뚜렷해 많은 발전 기회를 갖고 있습니다." 최동진 기업은행(중국)유한공사 선양분행장의 말이다. 지난 2월 선양분행에 부임한 그는 중국과 한국이 문화적으로 가까운 만큼 선양에 큰 가능성이 있다고 확신했다.

기업 로고 앞을 지나는 최동진 기업은행(중국)유한공사 선양분행장. (사진/신화통신)

기업은행(중국)유한공사의 모기업은 한국중소기업은행(IBK기업은행)이다. 1961년 8월 정부 출자로 설립된 이곳은 한국 3대 국책은행 중 하나다. 최 분행장은 선양에서의 발전을 이야기하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우리 선양분행은 한국계 외자은행 중 가장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은행으로 최근 3년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그는 은행의 양호한 발전세가 선양의 비즈니스 환경 및 투자 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그는 업무를 하면서 중국 정부가 기업에 높은 관심을 갖고 많이 지원하고 있음을 느꼈다고 말했다.

최 분행장은 중국 시장은 방대하지만 경쟁 역시 치열해 기술 없이는 발붙이기가 어렵다고 토로했다. 그럼에도 그는 향후 한·중 양국 간 협력과 발전을 낙관했다. 과거뿐만 아니라 현재까지 중국과 한국은 긴밀한 경제·문화 교류를 이어오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기에 교류가 갈수록 밀접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직원과 업무를 논의하는 최동진 기업은행(중국)유한공사 선양분행장. (사진/신화통신)

한편 최 분행장은 여가 시간에 선양 시타(西塔)거리를 돌아보곤 한다. 시타거리는 선양에서 가장 큰 조선족 거주지로 120년 이상의 역사를 갖고 있다. 관련 통계에 따르면 거리 전체 길이는 700여m에 불과하지만 400여 개의 외식 및 오락 업체가 모여있다. 이러한 입지는 100여 개의 한국 기업체의 진출을 이끌었다.

최 분행장은 "종종 시타거리에 와서 식사를 하며 한국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누곤 한다"고 밝혔다. 그는 "외국인에게 친절하고 시끌벅적하게 먹고 마시는 주변 사람들을 보고 있으면 선양이 '정이 넘치는 도시'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고 말했다.

최 분행장의 사무실에는 여러 곳이 표시된 지도 한 장이 걸려 있다. 그는 "선양을 시작으로 금융 업무를 중국 동북 지역, 나아가 더 먼 지역까지 확장할 수 있다"면서 "양국 관계가 계속해서 우호적으로 발전하고 교류가 끊임없이 확대되면 우리 은행에도 더 많은 기회가 찾아올 수 있다"고 전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롯데건설
kb_4
DB그룹
하나금융그룹
LG
쿠팡
이마트_데일리동방
sk
위메이드
농협
NH투자증
LG생활건강
SK하이닉스
kb_2
신한라이프
대신
kb_3
KB국민은행_4
셀트론
우리은행_2
삼성
CJ
e편한세상
kb
롯데카드
kb_5
sk네트웍스
우리은행_1
삼성증권
한국투자증권
하나증권
우리카드
메리츠증권
동아쏘시오홀딩스
KB_1
KB국민은행_2
NH농협
KB국민은행_1
SK
kb증권
KB손해보험
LG
KB국민은행_3
KB
빙그레
미래에셋자산운용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