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기획·한중교류] 韓 IBK 기업은행 선양분행장 "정 넘치는 선양, 비즈니스 잠재력도 커"
기사 읽기 도구
공유하기
기사 프린트
글씨 크게
글씨 작게
2025.11.16 일요일
맑음 서울 2˚C
맑음 부산 6˚C
맑음 대구 3˚C
맑음 인천 6˚C
흐림 광주 8˚C
흐림 대전 7˚C
구름 울산 8˚C
흐림 강릉 9˚C
맑음 제주 11˚C
신화통신

[기획·한중교류] 韓 IBK 기업은행 선양분행장 "정 넘치는 선양, 비즈니스 잠재력도 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于也童,武江民,洪可润
2025-07-08 18:56:42

(중국 선양=신화통신) "선양(瀋陽)은 중국의 주요 공업 도시로 입지적 우위가 뚜렷해 많은 발전 기회를 갖고 있습니다." 최동진 기업은행(중국)유한공사 선양분행장의 말이다. 지난 2월 선양분행에 부임한 그는 중국과 한국이 문화적으로 가까운 만큼 선양에 큰 가능성이 있다고 확신했다.

기업 로고 앞을 지나는 최동진 기업은행(중국)유한공사 선양분행장. (사진/신화통신)

기업은행(중국)유한공사의 모기업은 한국중소기업은행(IBK기업은행)이다. 1961년 8월 정부 출자로 설립된 이곳은 한국 3대 국책은행 중 하나다. 최 분행장은 선양에서의 발전을 이야기하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우리 선양분행은 한국계 외자은행 중 가장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은행으로 최근 3년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그는 은행의 양호한 발전세가 선양의 비즈니스 환경 및 투자 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그는 업무를 하면서 중국 정부가 기업에 높은 관심을 갖고 많이 지원하고 있음을 느꼈다고 말했다.

최 분행장은 중국 시장은 방대하지만 경쟁 역시 치열해 기술 없이는 발붙이기가 어렵다고 토로했다. 그럼에도 그는 향후 한·중 양국 간 협력과 발전을 낙관했다. 과거뿐만 아니라 현재까지 중국과 한국은 긴밀한 경제·문화 교류를 이어오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기에 교류가 갈수록 밀접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직원과 업무를 논의하는 최동진 기업은행(중국)유한공사 선양분행장. (사진/신화통신)

한편 최 분행장은 여가 시간에 선양 시타(西塔)거리를 돌아보곤 한다. 시타거리는 선양에서 가장 큰 조선족 거주지로 120년 이상의 역사를 갖고 있다. 관련 통계에 따르면 거리 전체 길이는 700여m에 불과하지만 400여 개의 외식 및 오락 업체가 모여있다. 이러한 입지는 100여 개의 한국 기업체의 진출을 이끌었다.

최 분행장은 "종종 시타거리에 와서 식사를 하며 한국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누곤 한다"고 밝혔다. 그는 "외국인에게 친절하고 시끌벅적하게 먹고 마시는 주변 사람들을 보고 있으면 선양이 '정이 넘치는 도시'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고 말했다.

최 분행장의 사무실에는 여러 곳이 표시된 지도 한 장이 걸려 있다. 그는 "선양을 시작으로 금융 업무를 중국 동북 지역, 나아가 더 먼 지역까지 확장할 수 있다"면서 "양국 관계가 계속해서 우호적으로 발전하고 교류가 끊임없이 확대되면 우리 은행에도 더 많은 기회가 찾아올 수 있다"고 전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카카오
경주시
스마일게이트
한국투자증권
kb금융그룹
삼성전자
db
포스코
씨티
KB국민은행
한화투자증권
우리은행
롯데캐슬
하이닉스
신한투자증권
신한은행
NH
NH투자증
교촌
SC제일은행
삼성증권
삼성화재
한화
DB손해보험
신한금융지주
하나금융그룹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