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과학기술] 中 남극 친링기지, 신에너지 시스템 도입...과학탐사의 '녹색 함량' 높여
기사 읽기 도구
공유하기
기사 프린트
글씨 크게
글씨 작게
2025.09.21 일요일
맑음 서울 20˚C
구름 부산 21˚C
맑음 대구 19˚C
맑음 인천 22˚C
흐림 광주 20˚C
흐림 대전 20˚C
흐림 울산 20˚C
맑음 강릉 17˚C
흐림 제주 23˚C
신화통신

[과학기술] 中 남극 친링기지, 신에너지 시스템 도입...과학탐사의 '녹색 함량' 높여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王菲菲,徐伟,陈志豪,张丹
2025-04-09 11:41:16
중국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수소 연료전지가 남극 친링(秦嶺)기지에서 전력 생산에 성공했다. 이는 남극에서 수소 에너지 기술을 적용한 최초의 사례다. (사진/신화통신)

(중국 타이위안=신화통신) "신에너지 시스템의 도입은 중국 남극과학탐사가 전통적인 화석 에너지 시대에서 녹색 에너지 시대로 전환됐음을 의미합니다."

쑨훙빈(孫宏斌) 중국극지연구센터 극지청정에너지 수석 과학자이자 타이위안(太原)이공대학 총장의 말이다.

중국 남극 친링(秦嶺)기지 내 풍력∙태양광∙수소∙디젤 전력 등이 통합된 하이브리드 전력공급 시스템이 올해 3월 가동에 들어갔다. 이로써 중국의 신에너지 시스템이 혹한의 기후에서 첫 운영을 알렸다.

이 시스템은 중국 남극 과학탐사기지에 설치된 첫 번째 대규모 신에너지 발전 시스템이다. 관련 통계에 따르면 청정 에너지 비율이 60% 이상으로 매년 100t(톤)이 넘는 화석연료를 절약할 수 있다.

중국 제41차 남극 탐사대 관계자는 기지에 실외 100㎾(킬로와트) 풍력 발전 시스템, 130㎾ 태양광 발전 시스템, 30㎾ 수소 에너지 시스템, 300㎾h(킬로와트시) 저온 에너지저장 배터리 시스템, 디젤 발전 시스템, 실내 전기 제어 시스템이 설치됐다고 소개했다.

업계 관계자는 해당 시스템이 바람과 햇빛이 없어도 약 2.5시간 동안 최대 150㎾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완비된 수소 에너지 설비는 극야 기간 14일간 30㎾의 무정전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

중국의 다섯 번째 남극 탐험기지인 친링기지는 지난해 2월 운영을 시작했다. 친링기지 운영에 앞서 중국은 지난 40년간 남극에 창청(長城)·중산(中山)·쿤룬(昆侖)·타이산(泰山)기지 등 4개의 연구기지를 설립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KB금융그룹_3
다올투자증권
컴투스
삼성물산
하나금융그룹
우리은행
KB국민은행_2
신한카드
kt
미래에셋
우리은행
kb캐피탈
KB국민은행_3
한국증권금융
우리은행
대신증권
NH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KB금융그룹_2
콜마
농협
KB국민은행_1
KB금융그룹_1
현대
하이닉스
DB그룹
한국토지주택공사
한화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