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서울 빌라 월세 22개월 연속 올라... 전세사기·공급부족 여파
기사 읽기 도구
공유하기
기사 프린트
글씨 크게
글씨 작게
2025.05.01 목요일
안개 서울 13˚C
부산 14˚C
대구 15˚C
안개 인천 10˚C
흐림 광주 13˚C
흐림 대전 15˚C
흐림 울산 17˚C
흐림 강릉 15˚C
안개 제주 16˚C
건설

서울 빌라 월세 22개월 연속 올라... 전세사기·공급부족 여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한석진 기자
2025-01-06 08:26:52
서울시내 한 공인중개사 사무실 게시판에 오피스텔 매물이 올라가있다 연합뉴스
서울시내 한 공인중개사 사무실 게시판에 오피스텔 매물이 올라가있다. [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서울 내 빌라와 오피스텔 월세가 계속해서 뛰고 있다.
 
전세사기 여파로 전세를 꺼리는 경향이 생겼고, 비(非)아파트 공급 물량마저 줄어들면서 월세 상승세는 올해도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연립·다세대(빌라) 월세가격지수는 지난해 11월 104.87로 2023년 2월(100.84)부터 22개월 연속 상승했다.
 
빌라 전셋값도 오르고 있으나 월세 상승세가 더 두드러진다.
 
서울 연립·다세대 전세가격지수는 지난해 11월 96.51로 같은 해 5월 이후 7개월 연속으로 올랐다.
 
빌라 월세지수가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1년 새 2.3% 오르는 동안 전세지수는 0.6% 상승했다.
 
오피스텔 월세도 오르고 있다.
 
오피스텔 월세가격지수는 지난해 11월 101.58로 같은 해 1월(100.9)부터 11개월째 오름세다.
 
월세는 작년 1월부터 11월까지 누적으로 1.58% 상승했다.
 
반면, 이 기간 오피스텔 전셋값은 0.2%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비아파트 월세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전세사기 이후 나타난 '전세의 월세화' 현상 심화와 공급 부족 문제를 꼽는다.
 
지난해 1∼11월 전국 비아파트 입주 물량(준공)은 3만8138가구에 그쳐 전년 같은 기간보다 37.7%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국 아파트 입주는 36만5770가구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3.0% 증가한 것과 비교된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전세를 끼고 빌라를 신규 분양하는 형태가 전세사기 이후 어려워져 전반적으로 비아파트 공급이 부족해졌다"며 "오피스텔도 2021∼2022년에는 전국적으로 연간 준공이 10만실 이상이었으나 5만∼6만실가량으로 떨어졌다"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