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타와=신화통신) 캐나다 연방정부가 이민자 유입을 대폭 줄일 계획이다.
캐나다 이민난민시민부는 24일 '2025~2027년 이민 계획'을 발표했다. 계획에 따르면 내년 캐나다 신규 영주권자 목표 인원을 당초 50만 명에서 39만5천 명으로 줄이고 2026년, 2027년에도 각각 38만 명, 36만5천 명으로 계속해서 축소할 예정이다. 이에 2025년과 2026년에는 캐나다의 인구가 150여 년 만에 처음 감소해 각각 0.2%의 하락폭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캐나다 정부는 2026년 말까지 임시 거주자 수를 캐나다 인구의 5%로 줄일 방침이다. 올 2분기 기준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캐나다 임시 거주자 수는 약 280만 명으로 캐나다 인구의 6.8%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캐나다 정부는 최근 수년간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부족한 노동력을 메우기 위해 유학생, 외국인 근로자 등 임시 거주자 수를 크게 늘려 왔다.
통계를 보면 지속적인 이민자 유입으로 캐나다 인구는 1867년 이후 매년 증가하여 올 4월에는 4천100만 명을 기록했다. 지난해에는 이민자 수가 신규 인구의 약 98%를 차지했으며, 그중 60%가 유학생과 외국인 근로자 등 임시 거주자였다.
이로 인해 주택, 고용, 의료 부문 등에 압박이 가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캐나다 내부에선 반이민 여론과 공격이 늘고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캐나다 연방 대선이 늦어도 내년 10월에 실시될 예정인 가운데 집권여당인 자유당은 여러 여론조사에서 뒤처지고 있어, 최근 캐나다 정부가 지지율을 높이기 위해 여러 이민 제한 정책을 내놓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일부 경제학자와 이민 찬성론자들은 캐나다 정부가 이민과 경제 불황 사이의 연관성을 지나치게 단순화하고 있다면서 경제 문제를 전적으로 이민자 탓으로 돌릴 수는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