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1 토요일
흐림 서울 15˚C
맑음 부산 18˚C
맑음 대구 18˚C
흐림 인천 14˚C
구름 광주 14˚C
맑음 대전 14˚C
맑음 울산 15˚C
맑음 강릉 14˚C
흐림 제주 18˚C
IT

한-EU, 반도체 공동연구 본격화...이종집적화·뉴로모픽 기술 개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선재관
2024-07-17 13:12:30

3년간 84억원 투입...EU 9개국 14개 기관 참여

제1회 한-EU 반도체 연구자 포럼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5일현지 시각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제1회 한-EU 반도체 연구자 포럼에서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회 한-EU 반도체 연구자 포럼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5일(현지 시각)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제1회 한-EU 반도체 연구자 포럼'에서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코노믹데일리]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유럽연합(EU)과 반도체 분야 국제 공동연구를 시작한다. 이번 연구는 차세대 반도체 기술로 주목받는 이종집적화와 뉴로모픽 분야에 집중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17일 유럽연합집행위원회(EC) 및 EC 산하 반도체 연구개발(R&D) 지원 전문기관인 '칩스 JU'와 함께 4개의 공동연구 컨소시엄을 구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2년 11월 체결한 '한-EU 디지털 파트너십'의 후속 조치로, 약 16개월간의 협의 끝에 이뤄진 결과다.

이번 공동연구는 이달부터 2027년 6월까지 3년간 진행된다. 한국 측에서는 성균관대학교,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한양대학교 등 3개 기관이 주관연구기관으로 참여한다. 이외에도 광주과학기술원(GIST), 고려대학교, 서울대학교 등 8개 연구기관이 함께한다.

EU 측에서는 독일, 스위스, 이탈리아 등 9개국의 14개 연구기관이 참여할 예정이다. 한국은 총 84억원(과제당 21억원)을, EU는 약 600만 유로(약 90억원)를 연구비로 지원한다.

연구 분야인 이종집적화 기술은 서로 다른 공정으로 만든 칩들을 하나로 통합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뉴로모픽 기술은 인간 뇌의 신경세포를 모방한 반도체 회로를 만드는 기술로, 인공지능 발전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한-EU 반도체 공동연구를 통해 EU 국가들의 우수한 연구자들과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반도체 초격차 우위 확보를 위한 원천기술을 확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과기정통부는 연구자 간 교류를 지속하기 위해 내년에 제2회 한-EU 반도체 연구자 포럼을 한국에서 개최할 계획이다. 또한 올해 하반기에는 벨기에 브뤼셀에 한-EU 반도체 R&D 협력센터를 구축하여 EU와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할 예정이다.

이번 공동연구는 한국과 EU의 반도체 기술력을 결집하여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포스코
삼성전자
NH
한화투자증권
신한은행
롯데캐슬
한화
한국투자증권
신한금융지주
KB국민은행
삼성화재
NH투자증
스마일게이트
교촌
우리은행
SC제일은행
DB손해보험
신한투자증권
db
카카오
하나금융그룹
삼성증권
씨티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