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1 토요일
흐림 서울 11˚C
맑음 부산 14˚C
맑음 대구 15˚C
구름 인천 14˚C
맑음 광주 12˚C
맑음 대전 14˚C
맑음 울산 12˚C
맑음 강릉 12˚C
흐림 제주 17˚C
금융

NH농협카드, 온라인 명품 소비 트렌드 분석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지다혜 기자
2024-07-15 09:36:09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온라인 명품 매출 32%↓

NH농협카드 소비 트렌드 인사이트Insight 보고서-온라인 명품 소비 현황 보고서 발간 사진농협카드
NH농협카드, '소비 트렌드 인사이트(Insight) 보고서-온라인 명품 소비 현황' 보고서 발간 [사진=농협카드]
[이코노믹데일리] NH농협카드는 온라인 명품 소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소비 트렌드 인사이트(Insight) 보고서-온라인 명품 소비 현황'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5일 밝혔다.

해당 보고서는 '한국데이터거래소'와 '금융데이터거래소'에 등재돼 무료로 열람할 수 있다.

최근 3년간의 온라인 명품 업종 이용 데이터(이용금액, 이용건수, 이용고객수, 요일별 소비, 시간대별 소비 등)를 분석했다. 특히 각 데이터들을 2022년도 1분기와 2024년도의 1분기를 비교해 코로나 펜데믹과 그 이후의 온라인 명품 소비 변화에 집중했다.

먼저 각 연도별 이용금액과 이용건수, 이용고객수를 분석한 결과 온라인 명품 소비의 감소 추세를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농협카드 고객들의 2022년 대비 2024년의 온라인 명품 소비 관련 감소폭은 이용금액 32%, 이용건수 38%, 이용고객수 41%로 각 항목 모두 30% 이상 크게 감소했다.  

성별을 포함해 분석해보니 여성보다 남성의 소비 변화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용건수의 감소폭은 여성(33%)에 비해 남성(45%)이 많이 컸다. 이용고객수(남성 45%, 여성 38%)와 이용금액(남성 33%, 여성 32%)의 감소도 모두 남성이 더 커 성별에 따라 명확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대를 비교해보니 흥미로운 점이 나타났다. 20대와 30대의 이용고객수 감소가 각각 63%, 38%로 크게 나타난데 비해, 60대의 경우 오히려 이용고객수가 소폭 증가(3%)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고객수 비중 또한 크게 변화했다. 2022년 1분기에는 온라인에서 명품을 소비한 이용고객 중 42%가 20대 이하의 고객이었는데, 2024년 1분기에는 그 비중이 26%로 줄었다. 반면 40대 이상의 비중은 이전(2022년 33%)에 비해 47%로 크게 늘어났다. 

요일별·소비시간대별 소비 추이도 분석했다. 특히 소비시간대별 이용금액 비중이 사회적 거리두기 시점을 전후로 큰 차이가 있었다. 20~24시 이용금액 비중은 32.5%에서 25.3%로 감소한데 비해 14~18시 이용금액 비중은 28.3%에서 32.9%로 늘어났다. 시간대에 따라 온라인 명품 소비금액 비중이 변화됨에 따라 마케팅 전략을 이전과는 다르게 구상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 명품 소비 채널도 분석했다. 2024년 기준으로 샤넬, 에르메스, 구찌 등 특정 브랜드사가 운영하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한 구매 비중은 87%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발란, 머스트잇, 필웨이 등 복수 브랜드를 판매하는 플랫폼의 구매 비중은 13%로 적었다. 더욱이 2022년 대비 공식 홈페이지 구매 비중이 소폭 증가(2%), 온라인 명품 구매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DB손해보험
롯데캐슬
db
신한투자증권
교촌
삼성화재
한화투자증권
KB국민은행
포스코
우리은행
SC제일은행
삼성전자
스마일게이트
하나금융그룹
한화
삼성증권
씨티
한국투자증권
카카오
신한은행
신한금융지주
NH
NH투자증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