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7 금요일
안개 서울 15˚C
맑음 부산 14˚C
흐림 대구 12˚C
구름 인천 15˚C
구름 광주 18˚C
흐림 대전 16˚C
흐림 울산 18˚C
흐림 강릉 15˚C
구름 제주 21˚C
건설

서울 아파트값 또 올랐다…12주 연속 오름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한석진 기자
2024-06-14 08:24:23
서울시내 한 아파트 단지 전경연합뉴스
서울시내 한 아파트 단지 전경[연합뉴스]

서울 아파트값이 12주 연속 오르고 상승폭도 한층 더 가팔라졌다. 노·도·강(노원구, 도봉구, 강북구)도 2주째 올라 모든 지역이 상승세를 보였다.
 
14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아파트가격동향에 따르면 지난 10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보합으로 지난주(0.01%) 대비 하락했다.
 
수도권은 1주 전과 같은 0.05% 상승폭을 유지했으며 서울은 0.09%에서 0.1%로 상승폭이 확대됐다. 반대로 지방은 -0.02%에서 -0.05%로 하락폭을 더 키웠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한 지역은 87개로 1주 전과 동일했고 보합 지역은 18개에서 6개로 감소했다. 하락 지역은 73개에서 85개로 늘었다.
 
서울은 모든 자치구에서 매매가격이 상승했다. 강북에서는 성동구(0.26%)는 행당·왕십리·옥수동 주요단지 위주로, 광진구(0.15%)는 구의·광장동 구축 위주로, 동대문구(0.14%)는 전농·제기·답십리동 위주로, 서대문구(0.14%)는 남가좌·북아현동 위주로, 마포구(0.14%)는 용강·공덕동 주요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노·도·강 3개구도 지난주 보합에서 상승으로 전환한 후 2주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강남에서는 서초구(0.21%)가 반포·잠원·서초동 선호 대단지 위주로, 강남구(0.14%)는 역삼·삼성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송파구(0.11%)는 송파·문정동 일대 상대적 저가단지 위주로 올랐다.
 
부동산원은 "서울은 전세가격 상승세 속 매매가격 하락 우려가 점차 줄어들고 선호지역·단지 중심으로 매수문의가 꾸준히 유지되는 상황"이라며 "간헐적으로 신고가 거래가 발생한 후 매도호가가 상향 조정되는 양상이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인천의 매매가격은 0.06%로 전주와 동일한 상승폭을 보였다. 중구(0.20%)는 중산·운서동 신도시 위주로, 남동구(0.09%)는 논현·서창동 역세권 및 주요단지 위주로, 미추홀구(0.08%)는 도화·용현동 대단지 위주로, 연수구(0.04%)는 송도·동춘동 정주여건 양호한 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경기도는 0.03%에서 0.02%로 상승폭은 다소 줄었다. 지역별 상승·하락 혼조세 가운데, 과천시(0.38%)는 재건축 기대감 있는 중앙·별양동 위주로, 성남 분당구(0.30%)는 이매·서현동 위주로, 안양 동안구(0.21%)는 평촌·호계동 주요단지 위주로, 성남 수정구(0.11%)는 창곡·신흥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광명시(0.11%)는 철산·하안동 위주로 상승했다.
 
지방의 경우 5대광역시가 0.08% 하락했으며 세종 0.06%, 8개 도 지역은 0.03% 떨어졌다. 다만 충북은 1주 전 -0.02%에서 0.01로 상승 전환했다.
 
전국의 아파트 전세가격은 0.0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주 전(0.04%)보다는 상승폭이 줄었다. 수도권(0.11%→0.10%)은 상승폭이 축소됐으나 지방(-0.02%→-0.03%)은 하락폭 확대로 나타났다. .
 
서울은 0.1%에서 0.12%로 상승폭이 커졌다. 강북 14개구의 경우 은평구(0.25%)가 수색·응암동 준신축 위주로 상승폭이 두드러졌다. 용산구(0.19%)는 이촌·도원동 대단지 위주로, 성동구(0.18%)는 금호동1가·옥수동 주요단지 위주로, 성북구(0.17%)는 길음·정릉동 대단지 위주로, 중구(0.16%)는 신당·황학동 위주로 올랐다.
 
강남은 양천구(0.14%)에서 목·신정동 주요단지 위주로, 동작구(0.13%)는 노량진·사당동 대단지 위주로, 관악구(0.13%)는 신림·봉천동 위주로, 강서구(0.12%)는 마곡·가양동 위주로, 영등포구(0.12%)는 신길·대림동 역세권 구축 위주로 상승했다.
 
부동산원은 "신축·역세권 등 선호단지 중심으로 갱신계약이 증가하면서 전세 매물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며 "대기수요가 꾸준한 가운데 인근 구축의 경우도 저가매물이 소진되는 등 전체 상승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인천은 상승폭이 0.15%에서 0.14%로 줄었지만 17개 시·도 중 상승폭이 가장 가팔랐다. 경기는 0.1%에서 0.08%로 축소됐다. 5대 광역시는 -0.02%에서-0.03%로, 세종은 -0.15%에서 -0.19%로 하락폭을 키웠고 8개도는 보합에서 -0.02%로 돌아섰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kb금융그룹
삼성전자
하이닉스
KB국민은행
db
한화
DB손해보험
삼성화재
포스코
한화투자증권
삼성증권
신한투자증권
NH투자증
스마일게이트
신한은행
NH
교촌
신한금융지주
카카오
하나금융그룹
우리은행
한국투자증권
롯데캐슬
SC제일은행
경주시
씨티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