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다시 쓰고 혜택받자"…휴면카드 깨우기 총력 나선 카드사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지다혜 기자
2024-05-27 14:30:58

소비 위축·휴면카드 자동해지 폐지 영향

캐시백·쿠폰 등 다양한 혜택·서비스 제공

자료사진 사진픽사베이
자료사진 [사진=픽사베이]
[이코노믹데일리] 장시간 지갑 속에 잠들어 있는 휴면카드가 꾸준히 늘어나는 가운데 카드사들이 휴면카드 활성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기존 고객의 정보를 기반으로 맞춤형 마케팅에 나서면서 비용 절감으로 수익성 악화까지 방어하는 모습이다.

27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국내 전업카드사 8곳(신한·KB국민·삼성·현대·롯데·우리·하나·BC)의 올해 1분기 휴면 신용카드는 1442만4000장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245만9000장)보다 15.8% 증가했다.

1년 새 휴면카드 증가량이 가장 많은 곳은 BC카드였다. 지난해 1분기 71만2000장에서 올해 1분기 99만3000장으로 39.5% 늘었다.

같은 기간 삼성카드의 휴면카드 수는 158만3000장에서 192만1000장으로 21.4% 증가했다. 현대카드는 184만장에서 220만5000장으로 19.9% 뛰었고, 하나카드는 128만장에서 151만2000장으로 18.1%의 증가 폭을 기록했다. 나머지 카드사는 20% 미만의 증가율을 보였지만 규모 자체가 증가한 것은 마찬가지였다.

휴면카드란 1년 이상 사용 실적이 없는 개인·법인 신용카드를 뜻한다. 현금인출이나 하이패스 등 부가 기능을 이용하더라도 실적이 없으면 휴면상태가 유지된다.

업계에서는 휴면카드 증가 원인 중 하나로 휴면카드 자동해지 제도 폐지를 꼽고 있다. 기존에는 1년 이상 카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이용이 정지되고 9개월 뒤 자동해지가 가능했다.

하지만 여신전문금융업 감독규정이 바뀌면서 지난 2020년 해당 제도는 폐지됐고 현재 휴면상태는 최대 5년까지 유지되고 있다.

아울러 고금리·고물가 현상 장기화로 소비 심리가 위축된 점도 영향을 미쳤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고물가에 따른 경제적 부담으로 고객들의 소비 여력이 줄면서 (휴면카드가) 계속해서 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카드사들은 휴면카드 깨우기에 나섰다. 카드 발급 시 발생하는 개발 비용, 마케팅 비용 등이 그대로 매몰 비용으로 소진되면서 수익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어서다. 또 신규 고객 모집 시 들어가는 광고 비용이나 모집인 비용보다 휴면카드 활성화에 필요한 비용이 비교적 더 적은 이유도 있다.

고객 입장에서도 편의성이 높다. 카드 신규 발급을 하려면 본인 확인 등 여러 절차를 거쳐야 하지만 휴면카드 활성화는 간단한 본인 확인만으로 가능하기 때문이다.

카드사들은 일정 기간 카드 사용 실적이 없는 고객을 대상으로 다양한 혜택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웨이크업(Wake-up)'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카드 재사용을 유도하고 있다.

먼저 국민카드는 1년 이상 카드 미사용 회원에게 문자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서면으로 휴면 거래 정지 예정일 및 계속 이용 신청 방법을 정기적으로 안내 중이다.

신한카드는 휴면카드 수를 줄이기 위해 자사 빅데이터를 활용한 고객별 초개인화 서비스로 맞춤형 혜택을 제공하고, 삼성카드도 고객의 과거 소비 맥락을 분석해 마케팅을 진행한다.

하나카드는 휴면 전환 전 환급(캐시백)·쿠폰 사용 이벤트를, 롯데카드는 자사 디지로카 애플리케이션(앱)에서 고객 맞춤형 큐레이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휴면카드 활성화를 노력하고 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KB국민은행
롯데케미칼
삼성전자 뉴스룸
신한카드
KB금융그룹2
하나금융그룹
포스코
종근당
신한은행
수협
KB금융그룹3
DB그룹
우리은행
KT
교보증권
한국조선해양
KB금융그룹1
KB증권
신한금융그룹
SK하이닉스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