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3 월요일
맑음 서울 5˚C
흐림 부산 11˚C
맑음 대구 9˚C
맑음 인천 7˚C
구름 광주 8˚C
맑음 대전 7˚C
흐림 울산 10˚C
맑음 강릉 7˚C
구름 제주 12˚C
ESG

식품업계도 공급망 제재 대응… 'ESG 공동사업' 강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박경아 기자
2024-03-07 06:00:00

'ESG 공동사업 협의회'에 최근 오뚜기 합류…작년 10월 5개사 발족 

한국식품산업협회, 협의회와 표준평가지표 개발 등 공동사업

사진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영국 런던에서 지난해 3월 열린 ‘2023년 런던 식음료박람회(IFE 2023)’ 한국관.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코로나19이후 4년여만에 처음 열린 이 박람회에서 1800만 달러의 수출 상담 성과를 거뒀다.[사진=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이코노믹데일리] 식품업계에서도 글로벌 공급망 규제 강화에 대한 대응의 일환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동맹이 결성됐다. 최근 첫 성과물을 내고 새 회원사 가입으로 몸집도 키웠다.

5일 한국식품산업협회에 따르면 협회가 주도하는 ’식품산업 공급망 ESG 공동사업 협의회(이하 ESG 공동사업 협의회)‘에 최근 오뚜기가 새로 합류했다. 기존 회원사는 농심, 롯데웰푸드, 빙그레, 풀무원, CJ제일제당 등 5개 사였다.

ESG 공동사업 협의회는 지난해 10월 19일 이들을 초기 멤버로 해 식품산업협회 주도로 발족했다. 오뚜기의 참여로 회원사가 6개 사로 늘었다.

협의회는 자발적으로 참여한 식품기업과 식품산업협회의 공동사업을 통해 △식품산업에 특화된 ESG 표준 평가지표 개발 △ESG 자가진단 가이드라인 제작 △공급망 ESG 정보공유 온라인 플랫폼 구축(진단 및 실사 등) △ESG 역량 제고를 위한 협력사 교육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이를 통해 ESG 경영이 생소한 중소 식품 협력사들이 보다 쉽게 ESG 경영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식품업계에서는 공동사업 중 ESG 온라인 플랫품 구축에 대한 기대감이 기장 크다. 유럽연합(EU)의 공급망 ESG 실사법 등에 대응하지 못해 수출에 차질을 빚는 일을 피하는데 가장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국내 식품업계 내 동맹이 강화되면 각 기업 간 중복되는 협력사를 공동 관리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도 주요 기대 효과로 꼽히고 있다. 

이들 공동사업 중 가장 먼저 ’공급망 ESG 표준 평가지표 개발‘이 지난달 말 2024년 식품산업협회 정기주주총회에서 사업 계획 안건으로 통과됐다.

EU이 지난해부터 시행에 들어가 올해 그 적용 범위를 확대하는 공급망 ESG 실사법은 EU 역내·외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을 대상으로 자체 생산공장 뿐만 아니라 모든 협력사들의 인권, 환경, 안전 등 분야에서 ESG 경영이 이뤄지는지 실사를 의무화한 법이다. EU 내 감독기구가 위반 사례를 감시하고 이를 어길 경우 과징금 부과 등 제재 조치가 취해진다. 

이에 따라 공급망 관리 및 실사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커지고 있다. 실사 결과 문제가 생기면 수출에 지장이 생길 수 있으므로 해당 영향권에 있는 국내 식품기업들의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 업계는 2026년부터 국내 기업이 EU 회원국에 수출하려면 협력사 등 공급망 일원의 ESG 경영 실사 자료까지 제출해야 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한화투자증권
삼성화재
삼성전자
삼성증권
롯데캐슬
db
카카오
우리은행
NH
KB국민은행
교촌
스마일게이트
DB손해보험
씨티
하나금융그룹
NH투자증
포스코
SC제일은행
한화
신한금융지주
신한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신한은행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