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분석한 500대 기업의 최근 5개년 감사 보수 현황 [사진=CEO스코어]
21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국내 500대 기업 중 2018년부터 2022년까지 감사·보수 시간을 알 수 있는 기업 308곳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감사용역 보수액은 2949억4500만원으로 2018년보다 107.9% 증가했다.
반면 감사시간은 179만7471시간에서 272만1213시간으로 51.4% 증가하는 데 그쳤다. 감사 비용에 비해 감사 서비스나 품질이 그만큼 따라주지 못했다는 의미다.
조사 대상 중 감사용역 보수액이 2배 이상 증가한 기업은 195곳으로 63.3%에 달했다. 하지만 감사시간이 2배 이상 늘어난 곳은 전체 기업 4분의 1 수준인 79곳에 불과했다.
이는 지난 2018년 11월 '신외부감사법(신외감법)' 시행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신외감법 시행 이후 기업은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해 의무적으로 외부 감사를 받아야 한다. 상장사는 일정 기간 정부가 지정한 회계법인을 선임해야 한다. 한국공인회계사회가 표준 감사시간을 정할 수 있는 권한도 신설했다.
신외감법은 기업 회계 투명성을 높이고 양질의 감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정된 법안이다. 그러나 당초 기대했던 △회계 투명성 제고 △감사인 독립성 확보 △감사 품질 개선 등과 달리 회계 감사 비효율성이 커졌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한편 삼성전자는 감사용역 보수와 감사시간 증가 폭 모두 가장 컸다. 삼성전자 감사용역 보수액은 2018년 44억원에서 2022년 84억2400만원으로 40억2400만원(91.5%) 증가했다. 같은 기간 감사시간 역시 삼성전자가 2만7745시간으로 2018년 대비 55% 늘면서 조사 대상 기업 중 가장 많은 시간을 투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