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4 금요일
맑음 서울 2˚C
맑음 부산 5˚C
맑음 대구 3˚C
맑음 인천 7˚C
맑음 광주 6˚C
맑음 대전 5˚C
맑음 울산 8˚C
맑음 강릉 8˚C
구름 제주 13˚C
건설

[금융지주 스왓분석-KB] 견조한 실적은 강점...M&A로 기회 모색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혜지 기자
2019-08-23 07:00:00

국민은행 선전...2금융 내실 키우고 생보사 인수 등으로 기회 찾기

손해보험사 보유도 강점...가계대출 등 자회사 건전성 강화 필요

재무건전성도 우수...국내 경기 둔화로 내년 실적 등 어려움 예상

KB금융지주 로고[제공=KB금융지주]

KB금융지주가 2분기 사상 최대 분기실적을 달성했다. 특히 최대 계열사인 KB국민은행은 이자 수익에 힘입어 선전했다. KB금융의 강점은 단연 견조한 실적이다. 다만, 만족스럽지 못한 2금융권 자회사 실적은 약점이다. 추가적인 비은행부문 인수·합병(M&A)도 고려할 상황이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KB금융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약 4.7% 증가한 9911억원으로, 사상 최대 분기실적이다. 순이자이익은 2조2971억원으로 4.6% 증가했고, 순수수료이익은 5851억원으로 6.3% 늘었다.

올해 상반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1조8368억원으로 전년 대비(1조9150억원) 4.1% 줄었다. KB증권의 순수수료 이익 감소와 지난해 국민은행 명동사옥 매각익 소멸 등의 영향이다. 올해 전체 당기순이익은 3조3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7%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건전성도 양호하다. 나이스신용평가 분석 결과 3월 말 기준 KB금융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6%로, 금융지주 평균(0.7%)보다 낮다. 충당금적립율은 137.8%로 평균(120.0%)보다 높다.

견조한 실적은 KB금융의 강점이지만, 가계대출과 자회사 건전성은 약점으로 꼽힌다. 키움증권 분석을 보면 주력 자회사인 KB국민은행의 가계대출 고정이하 규모는 2017년 2661억원, 2018년 2898억원 그리고 올해 3305억원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연체율도 0.23%, 0.25%, 0.3%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KB부동산신탁의 고정이하자산비율은 2017년 21.15%에서 2018년 28.66%, 2019년 상반기 35.81%로 증가 추세다. 건전성분류대상 자산의 경우 2017년 501억원, 2018년 1279억원 그리고 올해 상반기 1071억원으로 급증했다.

김기필 한국기업평가 금융평가1실장은 "국내 경기 둔화 및 부동산 경기 하강에 따른 자산 건전성 저하가 우려된다"고 진단했다. 다만, 자본력이 탄탄한 KB금융이 M&A를 통해 사업포트폴리오를 강화할 수 있는 점은 기회 요인이다.

김지영 교보증권 연구원은 "우수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향후 M&A로 비은행 부문을 강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KB금융 관계자는 "다른 금융지주사에는 없는 손해보험사를 보유한 게 KB금융의 강점"이라며 "다만 생명보험사 규모가 크지 않아 생보사 추가 인수를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사진=KB금융]

문제는 미중 무역분쟁, 일본의 경제보복, 저금리 기조 등의 위협요인이다. 내년 경제성장률도 점차 하향되고 있다. KB금융의 올해 3월 말 기준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은 14.8%, 기본자본비율은 14.1%로 우수한 수준이지만 안심할 수만은 없다.

김기필 실장은 "최근 국내외 경기 둔화 가능성으로 국민은행의 충당금 적립 부담이 커졌고, 은행의 수익성 및 자산건전성이 저하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우리나라 경기가 성장기에서 벗어난 상황에서 은행의 성장 동력을 찾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스마일게이트
KB국민은행
삼성화재
kb금융그룹
DB손해보험
삼성전자
NH투자증
한화
교촌
씨티
포스코
우리은행
롯데캐슬
SC제일은행
db
신한투자증권
경주시
한화투자증권
카카오
신한금융지주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하나금융그룹
하이닉스
NH
신한은행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