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5.29 목요일
맑음
서울 22˚C
천둥/번개
부산 19˚C
흐림
대구 22˚C
맑음
인천 18˚C
흐림
광주 18˚C
비
대전 20˚C
맑음
울산 16˚C
구름
강릉 16˚C
맑음
제주 20˚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yu7'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샤오미, 전기 SUV YU7 출시...테슬라 잡는다
[이코노믹데일리] 중국 샤오미가 최근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YU7을 출시해 테슬라 등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 대응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27일 샤오미에 따르면 샤오미는 최근 전기 SUV인 YU7을 선보인다. YU7의 트림은 기본형인 스탠다드, 중간급 프로, 최상위 맥스 등 3가지다. YU7은 한 번 충전하면 최소 760km를 주행할 수 있으며 아직 출시 가격을 밝히진 않았지만 테슬라 모델 Y 시작가인 5110만원 수준과 비슷할 것으로 추정된다. 스탠다드의 경우 후륜에 모터가 장착돼 출력은 315마력이다. 샤오미에 따르면 정지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5.8초만에 도달한다. 샤오미는 7월 공식 출시 행사에서 YU7의 가격을 발표할 계획이다. 샤오미는 YU7을 럭셔리 SUV로 내세워 테슬라의 판매량도 따라잡을 계획이다. 앞서 중국 자동차정보 플랫폼 오토홈에 따르면 테슬라 모델 Y는 지난달까지 6개월 동안 중국 내 신 에너지차 중 2위의 판매량을 기록한 바 있다. 1위는 BYD의 저가 모델인 시걸이며 3위는 SGMW의 훙광 미니다. 제프 청 씨티그룹 애널리스트는 "YU7의 월 판매량은 3만대 이상이며 연간 판매량은 30만~36만대가 될 것"이라며 "YU7이 테슬라 모델Y의 중국 시장 점유율을 상당 부분 잠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 엘리너 르웅 CLSA(홍콩계 증권사) 이사는 "YU7이 기존 샤오미가 출시한 모델인 SU7보다 더 많은 판매를 기록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2025-05-27 10:49:04
이재용, 샤오미 이어 BYD 방문…전장 '광폭 행보'
[이코노믹데일리]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최대 전기차 업체인 BYD 본사를 방문했다. 중국 전자제품 제조업체 샤오미를 방문한지 이틀 만이다. 이 회장이 중국 전기차 제조사를 잇따라 방문하며 삼성전자가 전장 분야에서 자동차 사업을 중국과 협력하는 방안이 구체화될지 주목된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이 회장은 전날부터 이틀간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열린 중국발전고위급포럼(CDF)에 참석했고 이날 오후 BYD 선전 본사를 방문했다. 선전은 중국 개혁·개방의 발상지 가운데 하나로 BYD를 비롯해 중국 최대 통신장비업체 화웨이, 인터넷기업 텐센트 등 주요 테크기업 본사가 있는 산업 중심지로 불린다. 이 회장은 BYD 본사를 둘러본 뒤 왕촨푸 BYD 회장과 면담했다. 앞서 BYD는 지난해 테슬라를 제치고 세계 최대 전기차 제조사로 떠올랐다. BYD는 지난해 매출 7770억 위안(157조1327억원)를 기록했으며 지난 1월에는 한국에 공식 진출하며 해외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 회장이 선전을 찾은 것은 지난 2018년 이후 7년 만이다. 앞서 이 회장은 지난 22일 샤오미 베이징 공장에서 레이쥔 회장과 회동했다. 샤오미는 지난해 3월 첫 전기차인 SU7을 선보였으며 올해 6월 정도 첫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YU7을 출시할 전망이다.
2025-03-25 10:47:14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OCI홀딩스, LG엔솔·CPS에너지와 손잡고 북미 ESS 시장 진출
2
해군 P-3C 대잠초계기 추락…탕승자 4명 생사여부 확인 중
3
[속보] 해군 P-3 대잠초계기 포항공항서 이륙 중 추락
4
전기차 흐름은 '가성비'… LMR 떠오르고 LFP입지 공고해진다
5
[꺼지지 않은 불씨 ②] 두 차례의 주주총회와 집중투표제·상호주 제한... 거세진 불길 진화의 핵심
6
[2025 기업지배구조 분석] 동국제강그룹, 지주사 전환 이후 '오너일가 지배력 집중'…승계 포석에 경영 투명성 논란
7
[청라, 멈춰 선 이상도시] ① 지하철이 무너졌다, 청라 6공구의 침묵
8
SKT 해킹 조사, KT·LGU+로 확대…'BPF도어' 감염 여부 직접 조사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할 수도 없고 안 할 수도 없는 투자의 딜레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