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18 화요일
맑음
서울 3˚C
구름
부산 4˚C
맑음
대구 6˚C
맑음
인천 3˚C
흐림
광주 3˚C
흐림
대전 2˚C
맑음
울산 3˚C
맑음
강릉 2˚C
흐림
제주 11˚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RV'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폭스바겐그룹·리비안 합작社 RV테크 출범 1주년…성과 가시화
[이코노믹데일리] 폭스바겐그룹은 미국 전기자동차 기업 리비안과의 합작사 '리비안 및 폭스바겐그룹 테크놀로지스(RV 테크)'가 출범 1주년을 맞았다고 18일 밝혔다. 지난해 11월 설립된 RV테크는 1500명 이상으로 구성된 개발팀으로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을 위한 영역 기반 아키텍처의 개발을 진행 중이다. 또한 RV 테크는 폭스바겐과 스카우트, 아우디의 레퍼런스 차량에 SDV 아키텍처를 적용해 다음해 1분기 중 동계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SDV의 아키텍처는 고성능 모듈형 중앙 컴퓨터가 차량의 모든 기능을 제어한다. 이에 고객은 서비스센터 방문 없이도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OTA)를 통해 지속적인 차량을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폭스바겐그룹은 이 SDV 아키텍처를 향후 출시될 'SSP 플랫폼' 기반 전기차에 적용할 예정이다. SSP 플랫폼은 그룹 전체에 걸쳐 최대 3천만대 규모에 적용될 예정이다. 리비안은 합작사에서 개발된 기술을 R2, R3, R3X 등 미래 제품에 적용함과 동시에 현재의 차량 라인업에도 최신 소프트웨어를 지속적으로 반영할 계획이다. 올리버 블루메 폭스바겐그룹 CEO는 "합작사는 우리의 미래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을 위한 아키텍처를 빠른 속도로 개발하고 있다"며 "우리의 야심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모든 단계는 강한 의지와 명확한 집중력으로 추진되고 있고 이 전략적 파트너십은 미래 모빌리티를 위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RJ 스캐린지 리비안 설립자 겸 CEO는 "RV 테크는 지난 1년간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으며 자동차 기술 분야의 기준을 새롭게 설정하고 있다"며 "합작사를 통해 이룬 기술적 진전을 분명하게 보여줄 R2 모델의 내년 상반기 출시가 매우 기대된다"고 말했다.
2025-11-18 14:09:15
김택진의 반성문, 그리고 '아이온2'라는 마지막 희망
지스타 2025의 막이 내렸다. 수많은 신작이 스포트라이트를 받았지만 업계의 시선은 유독 한 곳에 오래 머물렀다. 바로 엔씨소프트(NC)의 300부스짜리 거대한 성채와 2년 만에 공개 석상에 모습을 드러낸 창업주 김택진 최고창의력책임자(CCO)의 입이었다. 그가 털어놓은 이야기는 신작 발표라기보다, 지난 몇 년간의 과오에 대한 처절한 김택진의 반성문에 가까웠다. 그리고 그 반성문 끝에 조심스럽게 내민 해답이 바로 '아이온2'였다. 한때 NC는 게임의 동의어였다. 1998년 '리니지'가 세상에 나온 이래 그들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파고들어 누구도 넘볼 수 없는 부와 명성을 쌓았다. 그들의 성은 견고했고 '리니지 라이크'라는 장르는 한 시대를 풍미한 성공 공식이었다. 그러나 영원할 것 같던 성벽에는 균열이 가기 시작했다. 세상이 변한 것이다. 게이머들은 더 이상 수동적으로 지갑을 여는 소비자가 아니었다. 그들은 소통하고 창작하며 부당함에 목소리를 냈다. 하지만 NC는 너무 오래 성공의 단꿈에 취해 있었다. '리니지M', '리니지2M', '리니지W'로 이어지는 자기복제 속에서 혁신은 사라지고 과도한 과금 모델(P2W)에 대한 비판만 남았다. 주가는 2021년 2월 104만 원을 정점으로 끝없이 추락했고 2023년에는 창사 이래 두 번째 연간 영업손실이라는 충격적인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왕국은 흔들리고 있었다. 김택진 CCO가 지스타 무대에서 "플레이어는 더 이상 수동적으로 콘텐츠를 이용하지 않는다"고 말했을 때 이는 시장 분석이 아닌 뒤늦은 고백이었다. 그 고백의 진정성을 담보할 존재가 바로 '아이온2'다. 왜 하필 '아이온'인가? 우리는 2008년 11월을 기억해야 한다. 당시 '아이온'은 160주 연속 PC방 점유율 1위라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우며 '리니지'와는 다른 방식으로 NC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그것은 단순히 돈을 써서 강해지는 게임이 아니었다. 천족과 마족으로 나뉘어 필드에서 벌이는 끝없는 쟁탈전(RvR), 어비스 상공을 누비는 입체적인 전투는 개인의 강함이 아닌 집단의 단결과 전략이 승패를 가르는 '전쟁' 그 자체였다. 유저들은 그 속에서 희로애락을 느끼고 서사를 만들었다. 이번 지스타 시연에서 공개된 '아이온2'는 바로 그 '감성'을 정확히 겨누고 있었다. 캐릭터의 외형이나 스킬의 화려함 이전에 필드 저 너머에서 격돌하는 적대 진영의 모습, 언제 어디서 터질지 모르는 소규모 전투의 긴장감 그리고 거대한 요새를 둘러싼 대규모 전투의 장엄함까지. 시연대는 '아이온'의 추억을 간직한 3040 세대의 탄성으로 가득 찼다. 가깝게는 치열한 필드 전쟁이 보였고, 멀게는 e스포츠로서의 발전 가능성까지 엿보였다. 더욱 희망적인 것은 이 프로젝트를 이끄는 이들이 누구인가 하는 점이다. 2008년 '아이온'의 신화를 썼던 젊은 기획자들과 개발자들은 이제 회사의 중추를 책임지는 임원이 되었다. 그들이 "과거의 애정을 가지고 만들었다"는 말은 단순한 레토릭이 아닐 것이다. 성공에 취해 방향을 잃었던 지난날을 누구보다 뼈아프게 곱씹었을 그들이기에, '아이온2'는 NC에게 단순한 신작 이상의 의미, 즉 '초심으로의 회귀'이자 '잃어버린 명예를 되찾기 위한 싸움'이다. 물론 장밋빛 전망만 있는 것은 아니다. 훌륭한 시연이 흥행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아이온2' 역시 결국 NC의 게임이다. 유저들이 가장 우려하는 것은 '과연 NC가 리니지식 BM의 유혹을 완전히 떨쳐낼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추억을 자극해 유저들을 불러 모은 뒤 결국에는 지갑의 두께로 승패가 갈리는 구조를 반복한다면 '아이온2'는 '리니지 스킨을 씌운 아이온'이라는 최악의 평가와 함께 침몰할 것이다. 김택진 CCO가 던진 반성문의 진정성은 바로 이 지점에서 판가름 날 것이다.
2025-11-18 12:00:00
기아, The 2026 카니발 출시..."아빠부터 딸까지 편리하게"
[이코노믹데일리] 기아가 18일 대형 레저용 차량(RV) 카니발의 연식 변경 모델인 'The 2026 카니발'을 출시했다. The 2026 카니발은 고객 선호 편의사양을 기본 트림부터 확대 적용해 상품 경쟁력을 한층 강화했다. 기아는 The 2026 카니발의 기본 트림인 프레스티지에 전동 트렁크인 스마트 파워테일게이트, 전자식 룸미러를 기본 사양으로 탑재해 고객 편의성을 높였다. 인기 트림인 노블레스에는 멀티존 음성인식, 기아 디지털 키 2, 터치타입 외장 도어 핸들(1열)을 기본 적용해 편리한 차량 경험을 제공한다. 멀티존 음성인식 기능은 좌석별로 음성 위치를 구분해서 인식한다. 여기에 웨이크업 명령어 "헤이, 기아"를 더해 사용 편의성을 높였다. 해당 기능은 좌석별로 독립적인 피드백이 가능해 가족형 RV인 카니발에 최적화된 사양이다. 상위 트림인 시그니처에는 LED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와 리어 LED 턴시그널 램프를 기본화해 외장 고급스러움을 더했다. 또한 기아는 디자인 특화 트림인 '그래비티'의 명칭을 'X-Line'으로 변경하고, 검은색 전용 엠블럼과 다크 그레이 색상의 전용 휠캡을 추가해 X-Line만의 강인한 느낌을 강조했다. The 2026 카니발은 변화하는 시장 환경과 고객 요구를 반영해 3.5 가솔린과 1.6 터보 하이브리드 두 가지 파워트레인으로 운영된다. The 2026 카니발 9인승의 트림별 가격(개별소비세 3.5% 적용)은 3.5 가솔린 △프레스티지 3636만원 △노블레스 4071만원 △시그니처 4426만원 △X-Line 4502만원이다. 1.6 터보 하이브리드는 △프레스티지 4091만원 △노블레스 4526만원 △시그니처 4881만원 △X-Line 4957만원이다. 7인승 모델의 경우, 3.5 가솔린은 △노블레스 4265만원 △시그니처 4637만원 △X-Line 4689만원으로 가격이 책정됐다. 7인승 1.6 터보 하이브리드는 △노블레스 4708만원 △시그니처 5080만원 △X-Line 5132만원이다. 기아 관계자는 "카니발은 국내 대표 레저용 차량으로서 고객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맞춰 진화해 온 모델"이라며 "The 2026 카니발은 한층 강화된 상품성과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통해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5-08-18 10:04:37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신영증권, 시스템 장애...투자자 피해 속출
2
[지다혜의 금은보화] 결제·대출 넘어 생활 속 금융으로…농협은행, '임베디드 금융' 확장 속도
3
[김다경의 전자사전] AI 시대, 낸드도 쌓는다...HBM이어 HBF도 주목
4
부산 진해신항 DL이앤씨 공사 현장서 작업자 사망 호스 파열 충격에 해상 추락
5
[로컬FOCUS] 인천 원도시 정비사업 속도 낸다
6
현대·DB·메리츠 등 손보사, 3분기 실적 줄줄이 하락...업계 손익 늘어도 본업 '빨간불'
7
이커머스 시장 "사라지고·합치고·독자 생존까지"
8
T1 '구마유시' 이민형, 7년 만에 계약 종료…월즈 MVP 직후 FA 선언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김택진의 반성문, 그리고 '아이온2'라는 마지막 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