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8.06 수요일
흐림
서울 27˚C
흐림
부산 27˚C
흐림
대구 28˚C
흐림
인천 27˚C
흐림
광주 25˚C
흐림
대전 26˚C
흐림
울산 27˚C
흐림
강릉 26˚C
구름
제주 30˚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PF위험'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건설기성 27년 만의 최대폭 감소…하반기 반등 위한 수요 창출 시급
[이코노믹데일리] 올해 1분기 국내 건설기성이 외환위기 이후 최대 감소폭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공과 민간 부문을 가리지 않고 공사 실적이 일제히 줄어든 데 따른 것으로, 건설산업 전반의 활로 모색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9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건정연)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건설기성은 26조865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2% 줄었다. 감소폭은 약 7조원으로, 1998년 3분기(-24.2%) 이후 가장 큰 수치다. 건설기성은 공사 진행 실적을 보여주는 지표로, 경기 동향을 민감하게 반영한다. 건설기성 감소세는 올 들어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4월에도 전년 동월 대비 20.5% 줄어들며 두 자릿수 감소를 기록했다. 박선구 건정연 경제금융연구실장은 “민간 건축의 부진에 더해 공공 중심의 토목 부문까지 위축되며 건설 경기의 하방 압력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선행 지표도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올해 1~4월 건축허가는 전년 동기 대비 21.4%, 건축착공은 22.5% 감소했다. 이는 향후 공정 투입 및 생산 실적이 더욱 위축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건설투자 전망 역시 밝지 않다. 한국은행의 ‘2025년 수정 경제전망’에 따르면 올 상반기 건설투자는 11.3%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망이 현실화된다면 외환위기 당시 이후 가장 큰 낙폭이다. 연간으로도 6.1% 감소가 전망된다. 다만 하반기에는 금리 인하, 공사비 안정, 정부의 경기 부양책 기대 등으로 상반기보다는 개선세가 점쳐진다. 그럼에도 선행지표 부진과 지역 경기 침체,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 등 복합 변수로 인해 본격적인 회복세 전환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박 실장은 “건설 경기 회복은 2026년 이후가 될 가능성이 크다”며 “장기화되는 침체 국면에서 새로운 수요 창출을 위한 정부와 업계의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건설산업이 다시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민간 및 공공 부문에서의 투자 다변화, 신성장 인프라에 대한 적극적 발굴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2025-06-19 14:03:06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국가대표 AI' 5곳 오늘 발표…2000억 지원으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
2
LG엔솔 '무음극 전지' 개발 순항...상용화는 언제?
3
퓨리오사AI, 1700억 투자 유치로 유니콘 등극…'탈엔비디아' 속도
4
삼성 '갤럭시 Z 폴드7', 미국 초기 판매량 50% 급증…역대 최고 기록
5
은행계 캐피탈, 올 상반기 KB·신한·우리·하나 '줄줄이 적자'…PF 부실에 발목
6
정치·안전·하자 삼중 악재…현대건설, 품질관리 도마 위
7
포스코이앤씨, 전 현장 공사 중단…"산업안전 새 기준 만들 것"
8
'실적 고전' 패션업계, 소비심리 위축에 2분기 전망 '먹구름'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지시'로 SPC 산재 막을 수 없다…'진짜 실행력' 증명돼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