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9.17 수요일
비
서울 22˚C
흐림
부산 29˚C
흐림
대구 30˚C
흐림
인천 22˚C
흐림
광주 26˚C
흐림
대전 24˚C
비
울산 30˚C
비
강릉 20˚C
흐림
제주 29˚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힌남노'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수도권 침수사고 10건 중 7건은 세단…"야간운전 특히 위험"
[이코노믹데일리] 세단형 승용차가 차량 침수 사고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경기 등 수도권 지역에서 전체 사고의 70% 이상이 집중됐으며, 야간 운행 중 사고 발생률도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8일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가 발표한 '차량 운행중 침수 피해 특성과 예방 대책'에 따르면 최근 3년(2022~2024년)간 차량 운행 중 발생한 침수 사고 4232건으로 나타났다. 이 중 사고 피해액은 총 325억원에 달했으며, 사고 1건당 평균 피해액은 768만원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22년 장마와 태풍 힌남노 영향으로 침수 사고가 집중되며 2924건이 발생했다. 이는 이후 2년(2023~2024년)간의 연평균 발생 건수(654건)보다 약 4.5배 많은 수치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72.5%를 차지했고, 이 중에서도 경기도(40.1%)가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서울시 내에선 서초구와 강남구에서 각각 31.2%, 30.3%가 발생했으며, 성남시(12.2%)와 화성시(8.8%)가 경기도 내 침수 피해가 가장 많았다. 차종별로는 세단형 승용차의 침수 사고 비중이 72.5%에 달했다. 연구소에 따르면 세단의 엔진 흡입구 높이는 평균 69㎝로, SUV(97㎝)보다 28㎝ 낮다. 구조적으로 침수에 취약한 셈이다. 사고 시점으로는 야간 발생률이 61.2%로 주간을 앞섰다. 특히 오후 9시부터 자정 사이에 전체 사고의 31.6%가 집중됐다. 야간 침수 사고의 평균 피해액은 862만원으로, 주간(약 616만원)보다 1.4배 높았다. 삼성화재는 장마철과 태풍 기간에는 가급적 차량 운행을 자제하고, 불가피한 경우 저지대 구간을 우회할 것을 권고했다. 특히 세단형 차량은 엔진 구조상 침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침수 구간을 무리하게 통과하지 않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전제호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침수 도로를 부득이하게 통과해야 한다면 정지 없이 저속으로 한 번에 지나가야 한다"며 "차량이 침수됐다면 시동을 걸지 말고 바로 견인해 정비를 받아야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SUV 운전자들도 엔진 흡입구가 높다고 해서 안심할 수는 없다"며 "과신해 무리하게 침수 구간을 통과할 경우 오히려 더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2025-08-08 14:40:53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단독]삼성중공업, 산업재해 보고의무 2회 이상 위반…대기업 중 유일
2
엔비디아, AI 추론용 GPU에 GDDR7 탑재…삼성 반격 기회 열리나
3
'레전드 축제' 2025 아이콘매치 오늘 개막…벵거·베니테스 지략 대결 '관심 집중'
4
[단독]삼성전자, 헤드셋·스피커 출시 '초읽기'...오디오 명가 거듭난다
5
새 판 짜는 유통업계, 핵심은 '생존'
6
KT, '가짜 기지국'에 뚫려 신뢰 추락…김영섭 대표, '리더십·연임' 최대 위기
7
'아이콘매치 2025 ' 첫날, FC스피어 '이벤트 매치' 승리…내일 본경기 '설욕전' 예고
8
KT·LGU+, '해킹 침해 없다'더니…협력업체는 KISA에 '해킹 신고'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가짜 기지국'의 공포, 통신사를 넘어 국가 인증 시스템의 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