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9.17 수요일
비
서울 23˚C
맑음
부산 31˚C
흐림
대구 29˚C
비
인천 24˚C
흐림
광주 28˚C
비
대전 26˚C
구름
울산 31˚C
흐림
강릉 23˚C
흐림
제주 31˚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채팅플러스'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SKT 에이닷, MAU 810만 돌파…'말귀 알아듣는 AI' 넘어 '척하면 착'
[이코노믹데일리] SK텔레콤의 인공지능(AI) 서비스 ‘에이닷(A.)’이 월간 실사용자 수 810만을 돌파하며 본격적인 대중화 궤도에 올랐다. SK텔레콤은 이와 함께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해 스스로 계획하고 실행하는 능동형 AI로 진화한 4.0 버전을 출시하며 AI 비서 시장의 기술 리더십 강화에 나섰다. 이번 에이닷 4.0의 핵심은 최신 AI 기법인 ‘에이전틱 워크플로우(Agentic Workflow)’의 적용이다. 이는 단순 명령 수행을 넘어 사용자와의 대화 맥락과 과거 이력을 기억하고 이를 바탕으로 목표를 세워 작업을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이다. 사용자가 직접 기능을 선택해야 했던 이전 버전과 달리 이제는 복합적인 요구도 한 번의 대화로 처리할 수 있게 됐다. 예를 들어 “오늘 날씨에 어울리는 음악 틀어줘”라고 말하면 에이닷은 날씨를 확인하고 적합한 음악을 추천한 뒤 플레이리스트까지 만들어 재생한다. 이 모든 과정이 SKT가 자체 설계한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터’를 통해 자동으로 이뤄진다. 오케스트레이터는 사용자의 요청을 분석해 날씨, 음악 등 각 기능에 최적화된 하위 에이전트들을 스스로 찾아내 협업을 지시한다. 사용자의 성향과 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기능은 더욱 정교한 맞춤형 결과를 제공한다. 사용자 편의 기능도 대폭 개선됐다. 음성 인식 기능이 강화돼 AI가 답변하는 도중에도 대화가 끊김 없이 이어지며 여러 요청을 한 번에 처리한다. 일정 관리 기능은 구글 캘린더나 아웃룩과 연동되고 역할극 기반의 ‘감성모드’를 통해 정서적 교감도 시도한다. SK텔레콤은 에이닷이 출시 22개월 만에 누적 가입자 1000만명을 넘어서고 Btv, 채팅플러스 등 고객 접점을 다각화한 결과 실사용자 810만이라는 성과를 거뒀다고 설명했다. 김용훈 SKT 에이닷사업부장은 “에이닷 4.0은 단순히 명령을 처리하는 도구가 아니라, 사용자의 일상을 기억하고 스스로 돕는 AI로 진화한 결과물”이라며 “앞으로도 개인화된 AI 경험을 통해 더 많은 고객에게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2025-08-05 07:56:11
SK텔레콤, 차세대 메시징 'RCS' 글로벌 표준화 회의 서울서 성료
[이코노믹데일리] SK텔레콤이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의 RCS(Rich Communication Services) 그룹 표준화 회의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회의는 전 세계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메시징 서비스의 공통 기술 표준을 정하는 자리로 글로벌 주요 기업 관계자들이 차세대 메시징 기술의 미래를 논의했다. GSMA RCS 그룹 표준화 회의는 통상 분기별로 개최되며 글로벌 통신사와 제조사 등 주요 관계자들이 모여 RCS 표준 서비스 규격 등을 논의한다. SKT 주최로 지난 5월 12일부터 15일까지 서울 중구 SKT 남산사옥에서 열린 이번 회의에는 AT&T, T모바일 등 글로벌 통신사를 비롯해 구글, 애플과 같은 빅테크 기업, 삼성전자 등 제조사 실무진 30여 명이 참석했다. 이는 2017년 이후 7년 만에 국내에서 개최된 GSMA RCS 그룹 표준화 회의다. 참석자들은 이번 회의에서 RCS 기술의 미래와 표준 수립, 서비스 간 상호운용성 확보 방안 등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특히 RCS 기반 영상통화 규격 및 고품질 미디어 전송 기능의 구체화 방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모으고 합의를 이끌어냈다. SK텔레콤은 이 자리에서 기업용 메시징 서비스인 비즈 RCS 상품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새로운 규격을 제안했다. 또한 국내에서 선보인 ‘채팅+(채팅플러스) PC버전’ 개발 과정에서 축적된 노하우를 특별 세션을 통해 공유하며 글로벌 통신사들로부터 높은 관심을 받았다. 이상구 SKT Biz메시징사업본부장은 “이번 GSMA RCS 그룹 표준화 회의는 RCS가 비즈니스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들을 논의하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며 “향후에도 글로벌 표준 기반의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2025-05-16 17:43:4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단독]삼성중공업, 산업재해 보고의무 2회 이상 위반…대기업 중 유일
2
엔비디아, AI 추론용 GPU에 GDDR7 탑재…삼성 반격 기회 열리나
3
'레전드 축제' 2025 아이콘매치 오늘 개막…벵거·베니테스 지략 대결 '관심 집중'
4
[단독]삼성전자, 헤드셋·스피커 출시 '초읽기'...오디오 명가 거듭난다
5
KT, '가짜 기지국'에 뚫려 신뢰 추락…김영섭 대표, '리더십·연임' 최대 위기
6
새 판 짜는 유통업계, 핵심은 '생존'
7
'아이콘매치 2025 ' 첫날, FC스피어 '이벤트 매치' 승리…내일 본경기 '설욕전' 예고
8
KT·LGU+, '해킹 침해 없다'더니…협력업체는 KISA에 '해킹 신고'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가짜 기지국'의 공포, 통신사를 넘어 국가 인증 시스템의 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