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8건
-
통풍, '바람만 스쳐도 아픈 병'… 예방과 관리가 중요하다
[이코노믹데일리] ‘바람만 스쳐도 아픈 병’으로 불리는 통풍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고령화와 서구화된 식습관, 음주 및 비만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며 최근에는 30~40대 젊은 층 환자도 늘어나는 추세다. 28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국내 통풍 환자는 2014년 30만8728명에서 2023년 53만5100명으로 약 73% 증가했다. 이 중 남성이 93%를 차지했으며 20~40대 환자는 10년 전보다 크게 늘어(20대 167%, 30대 109%, 40대 83%) 전체 환자의 48%를 차지했다. 통풍은 혈액 속 요산 수치가 높아져 관절에 요산 결정이 쌓이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요산은 퓨린이라는 물질이 분해되면서 생기는데 퓨린은 육류, 내장류, 해산물, 술(특히 맥주) 등에 풍부하다. 대표적인 증상은 관절의 극심한 통증과 붓기, 발작이다. 특히 엄지발가락 관절에서 발병하는 경우가 많으며, 발작이 시작되면 밤사이 통증이 심해져 잠을 이루기 어렵다. 증상이 반복되면 만성 통풍으로 진행돼 관절 손상은 물론 신장결석, 신부전 등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통풍은 혈액검사를 통해 요산 수치를 확인하거나 관절액 검사로 진단할 수 있으며 치료는 크게 급성 발작기와 만성 관리기로 나뉜다. 급성기에는 소염진통제, 콜히친, 스테로이드 등을 사용해 통증과 염증을 완화한다. 만성기에는 요산 생성을 억제하거나 배출을 촉진하는 약물을 복용해 요산 수치를 조절한다. 전문가들은 생활습관 관리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특히 식습관 조절이 중요한데 요산을 만드는 붉은 고기, 내장류, 맥주·증류주 등 퓨린이 많은 음식은 줄이고 채소·과일·저지방 유제품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또한 하루 2L 이상의 수분 섭취로 요산을 배출하며 체중 관리에도 신경써야 한다. 무엇보다 맥주는 요산 수치를 급격히 높일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권장된다. 김미현 고려대 안산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는 “최근 하이볼, 칵테일 등 다량의 과당을 함유하고 있는 혼합술의 소비와 치킨, 고기류 등 퓨린 함량이 높은 배달 음식 등에 많이 노출되고 있는데 이는 혈중 요산 농도를 크게 높일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이어 김 교수는 “통풍은 고혈압이나 당뇨병처럼 관리해야 하는 대사질환으로 고위험군은 혈액 검사를 통해 요산 수치를 정기 점검하고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생활습관 개선과 약물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2025-08-29 16:13:24
-
내년부터 우유 무관세 수입 본격화되는데…韓 유업계 설 자리 잃나
[이코노믹데일리] 이르면 내년부터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상대적으로 저렴한 외국산 우유가 무관세로 수입될 예정인 가운데, 고물가·소비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던 국내 유업계가 설 자리를 잃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4일 유업계에 따르면 오는 2026년 1월부터 미국과 유럽연합(EU)산 유제품(우유, 크림 등) 관세가 폐지된다. 미국산에 적용되는 관세는 지난 2023년 7.2%, 2024년 4.8%에 이어 올해 2.4% 등으로 단계적으로 낮아져 2026년에는 0%가 된다. 유럽산 유제품 역시 매년 순차적으로 낮아져 내년에는 아예 사라진다. 미국·유럽산 우유가 무관세로 들어오게 되면 국내 유업계가 경쟁력에 밀려 더 큰 어려움에 처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국내 흰 우유 제품에 들어가는 음용유용 원유 가격은 리터(ℓ)당 1084원이며 치즈, 분유 등에 쓰이는 가공유용 원유 가격은 882원이다. 원유는 소에서 갓짜낸 우유를 일컫는데, 한국은 2013년부터 원유 생산에 드는 비용, 즉 생산비 증가분을 반영해 매년 원유 가격을 결정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국내 고물가 상황 등을 고려해 작년과 올해 원유 가격이 동결됐지만, 2023년 원유 가격은 ℓ당 88원 오르며 가격 원동제가 시행된 2013년(106원)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을 보이기도 했다. 문제는 우유 소비가 줄어도 축사 유지비, 인건비, 사료비 등 생산 비용 급등으로 고비용 구조가 고착화돼 원유 가격도 덩달아 올라간다는 점이다. 또한 출생율 저하에 따른 소비층 축소와 우유 대체 음료 증가, 비싼 원유가격 부담으로 외국산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유업계가 부진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식품산업통계정보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소매점 결제단말기(POS) 기준 국내 우유 매출은 1조9181억원으로 2020년(2조2291억원) 대비 약 14% 감소했다. 반면 관세청이 발표한 자료를 보면 같은 기간 수입 멸균우유 유입량은 1만1412톤(t)에서 4만8671t으로 4배 이상 증가했다. 멸균우유는 국산 우유보다 재고 관리가 쉽고 대량으로 들여와 가격이 저렴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일반 우유는 유통기한이 평균 11~14일로 매우 짧은 편에 속하지만, 멸균 우유는 초고온에서 우유를 가열해 모든 균을 없애기 때문에 냉장고에 보관할 필요가 없는 데다 유통기한도 실온에서 보통 한 달 이상, 최대 1년 이상 가능하다. 지난해 국내 수입 멸균우유의 90%는 폴란드산으로 나타났다. 폴란드산 유제품은 2022년 멸균(UHT) 및 저온살균 우유를 앞세워 한국 시장에 본격 진출했으며, 불과 2년 만에 수출 규모와 금액이 약 2배로 늘었다. 폴란드산 유제품은 다른 국가들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알려져 있다. 멸균우유의 경우 폴란드산 수입 단가는 1kg당 0.75달러로 오스트리아(0.98달러/kg), 독일(0.83달러/kg) 등과 비교해 낮은 편이다. 다만 국내 우유와 달리 수입 우유는 고온에서 멸균되기 때문에 일부 영양소가 변질되거나 손실될 가능성이 크다. 폴란드산 유제품을 즐겨 먹는다는 소비자 A씨는 “호기심으로 처음 접했지만 우유의 고소함과 향이 국내 유제품과 달리 더욱 고소해 정착하게 됐다”며 “영양소가 국내 제품보다 뒤처지더라도 평소 우유 섭취량이 많지 않아 크게 단점으로 작용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다만 매일 우유를 마셔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영양소를 고려해보겠다”고 답했다. 유업계도 내년부터 시행될 수입산 멸균우유 무관세 정책에 따른 시장 변화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내수 비중이 높은 만큼 정부 지원책이 절실하다는 입장이다. 유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수입 확대에만 치중할 게 아니라, 국내산 유제품의 수출 확대에도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줬으면 한다”며 “실적 부진을 만회하기 위해 사업 다각화나 해외 진출을 시도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여건이 쉽지만은 않다”고 말했다.
2025-08-04 18:05:35
-
-
-
-
-
-
투썸플레이스, 커피·케이크 평균 4.9% 인상…스초생 3만9000원으로
[이코노믹데일리] 투썸플레이스가 오는 26일부터 일부 커피, 음료, 케이크 등의 가격을 평균 4.9% 인상한다. 24일 투썸플레이스에 따르면 이번 가격 조정은 커피 23종, 음료 22종, 케이크 13종 등이다. 이에 따라 레귤러 사이즈 기준 커피 제품 23종의 가격은 각 200원씩 인상되며 샷, 시럽 등 고객 옵션은 각각 300원, 디카페인 변경 옵션은 200원 오른다. 홀케이크는 평균 2000원, 조각 케이크는 평균 400원이 인상된다. 투썸플레이스는 “수년간 지속된 환율 상승 및 전 세계적인 기상 변화로 인해 원두, 코코아, 유제품 등 주요 원재료의 가격이 폭등한 상황”이라며 “가맹점의 증가된 비용 부담을 고려해 가격 조정을 진행하게 됐다”고 말했다.
2025-03-24 14: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