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21 금요일
흐림
서울 10˚C
맑음
부산 10˚C
맑음
대구 12˚C
흐림
인천 11˚C
맑음
광주 7˚C
맑음
대전 7˚C
맑음
울산 7˚C
맑음
강릉 8˚C
구름
제주 13˚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위험자산 회피'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뉴욕증시 하락 마감…AI 거품론 경계감 지속
[이코노믹데일리]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하락 마감했다. 인공지능(AI) 거품론 확산이 이어지는 가운데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12월 기준 금리를 동결할 전망이 커지며 투자심리가 위축된 것으로 풀이된다. 1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일 대비 498.5p(1.07%) 내린 4만6091.74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55.09p(0.83%) 하락한 6617.32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75.23p(1.21%) 밀린 2만2432.85에 장을 마쳤다. AI 기업 가치가 고평가됐다는 논란이 이어지면서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확산됐다. AI 중심의 대형 기술주가 일제히 하락했다. 오는 19일 실적 발표를 앞둔 엔비디아는 2.81% 떨어졌고 △마이크로소프트(-2.70%) △아마존(-4.43%) △메타(-0.72%) △테슬라(-1.88%) 등도 약세를 보였다. 이어 △AMD(-4.25%) △마이크론(-5.56%) 등 주요 반도체주도 크게 하락했다. 대니얼 핀토 JP모건체이스 부회장은 AI 산업을 겨냥해 "거기에는 아마도 (밸류에이션) 조정이 있을 것"이라고 봤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구글이 AI 거품론 타격을 피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면역이 있을 회사는 없다고 생각한다"며 "이것은 구글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연준이 오는 12월 기준금리를 동결할 수 있다는 전망도 미국 증시 조정을 이끌고 있다. 데이비드 모리슨 트레이드 네이션 선임 시장 분석가는 "기술 섹터에 대한 우려가 주가를 누르고 있고 투자자는 다음달 Fed의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점점 가격에서 빼고 있다"고 전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12월까지 기준금리가 0.25%p 인하할 가능성은 50.6%로 집계됐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 대비 10.32% 오른 24.69을 기록했다.
2025-11-19 08:20:09
중동발 리스크에 비트코인·이더리움 동반 하락
[이코노믹데일리]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고조되면서 비트코인을 포함한 주요 가상자산 시세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까지 더해지며 투자 심리가 위축된 모습이다. 22일 오전 가상자산 시황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1.31% 내린 10만1820달러에 거래됐다. 알트코인 대장주 이더리움은 4.65% 하락한 2286달러를 기록하며 더 큰 낙폭을 보였다. 전체 가상자산 시가총액 역시 약 3조 1300억 달러로 한 달 전보다 4000억 달러가량 감소하며 하락 흐름을 이어갔다. 이러한 약세는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확산된 결과로 풀이된다. 간밤 뉴욕증시 역시 중동 긴장과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 불확실성 속에 기술주 중심으로 하락 마감했다. 국내 거래소에서도 하락세는 마찬가지였다. 업비트에서 비트코인은 1억4200만원대에 거래됐으며 이더리움은 5% 가까이 하락한 319만원 선을 기록했다. 빗썸과 코인원에서도 비트코인은 1% 넘게 내리며 약세를 면치 못했다. 다만 시장이 극도의 공포 상태에 빠지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인마켓캡의 ‘공포 및 탐욕 지수’는 43점으로 ‘중립’ 단계를 유지하며 급격한 투매보다는 관망세가 짙은 시장 상황을 시사했다.
2025-06-22 11:03:17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미등기 임원이 꿀꺽…이마트, 114억원 규모 배임·횡령 발생
2
신영증권, 시스템 장애...투자자 피해 속출
3
[데스크 칼럼] 김택진의 반성문, 그리고 '아이온2'라는 마지막 희망
4
[로컬FOCUS] 인천 원도시 정비사업 속도 낸다
5
[단독]한화에너지·한화솔루션 '집안 싸움'...법원, 강제조정 돌입
6
[김다경의 전자사전] AI 시대, 낸드도 쌓는다...HBM이어 HBF도 주목
7
클라우드플레어 대규모 장애…X·챗GPT·LoL 등 전 세계 서비스 '먹통'
8
상법 개정에 롯데'표정관리'·금호석화 '지지'·LG화학 '무관심'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금융경제 레드플래그] 금융위의 '모험자본' 독려, 규제 샌드박스부터 열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