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04 화요일
구름
서울 8˚C
맑음
부산 10˚C
맑음
대구 8˚C
맑음
인천 8˚C
맑음
광주 14˚C
맑음
대전 12˚C
맑음
울산 15˚C
맑음
강릉 14˚C
흐림
제주 16˚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웨이모'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구글 웨이모, 자율주행 로봇이 피자 배달…美 최대 배달앱 품고 유럽 진출
[이코노믹데일리] 구글의 자율주행 자회사 웨이모가 무인택시를 넘어 음식배달 시장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하며 본격적인 수익성 확보에 나섰다. 미국 최대 음식배달 플랫폼 도어대시와 손잡고 배송 서비스를 시작하는 한편 내년에는 유럽 시장에 진출해 런던에서 무인택시 서비스를 개시하겠다고 선언했다. 웨이모는 16일(현지시간) 도어대시와 파트너십을 맺고 올해 말부터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에서 자율주행차를 이용한 식료품 및 음식 배달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서비스 이용자는 도어대시 앱에서 주문 시 ‘자율주행차 배송’을 선택할 수 있다. 웨이모 차량이 목적지에 도착하면 이용자는 앱을 통해 트렁크를 열고 주문한 물품을 직접 수령하게 된다. 웨이모는 이번 제휴를 통해 차량 가동률을 높여 수익성을 개선하고 도어대시는 인력난과 인건비 상승 문제를 해결하는 ‘윈윈’ 전략으로 풀이된다. 웨이모의 영토 확장은 미국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웨이모는 바로 전날 내년부터 영국 런던에서 무인택시(차량 호출) 서비스를 시작하며 유럽 시장에 진출하겠다는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현지 차량 운영사와 협력해 기반을 마련하고 런던 교통 당국과 영업 허가를 위한 협의에 들어갔다. 한편 수년간의 기술 개발과 막대한 투자 끝에 자율주행 기술의 ‘상업화’라는 본궤도에 오른 웨이모의 광폭 행보가 모빌리티 산업 전반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된다.
2025-10-17 07:59:04
'로보택시' 외친 머스크, '허가 신청도 안했다'
[이코노믹데일리]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미래 비전이 더 이상 투자자들에게 통하지 않고 있다. 실망스러운 실적과 심화되는 경쟁 등 현실적인 문제에 직면한 투자자들이 머스크의 장밋빛 청사진에 회의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고 미 경제매체 CNBC가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머스크는 지난 23일 2분기 실적 발표 후 열린 콘퍼런스콜에서 "테슬라가 곧 자율주행차가 돼 차주가 잠자는 동안에도 수익을 창출할 것"이라며 로보택시 사업의 대규모 확장을 약속했다. 하지만 시장은 냉담했다. 다음날 테슬라 주가는 8% 급락했다. 투자자들은 머스크의 비전 대신 중국산 저가 전기차와의 경쟁, 정치적 반감으로 인한 브랜드 이미지 타격 등 당면한 위기에 더 주목했다. 실제로 테슬라의 2분기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16% 줄었고 머스크 스스로도 보조금 폐지와 관세 문제로 "앞으로 몇 분기 동안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인정했다. 테슬라 주가는 올해 들어 22% 하락하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것과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투자자들의 회의론은 머스크가 내놓은 비전의 현실성에 대한 의구심에서 비롯된다. 머스크는 캘리포니아에서 로보택시 서비스를 곧 출시할 것처럼 밝혔지만 정작 무인 택시 운영에 필요한 허가조차 신청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경쟁사 구글의 웨이모가 공공도로에서 1억 마일 이상의 자율주행 기록을 쌓으며 뉴욕 등 10개 이상 도시로 테스트를 확장하는 것과 뚜렷이 대비된다. 글로벌 투자은행들의 평가도 박했다. 캐너코드 제뉴이티는 "당장 눈앞의 성장도 원한다"고 지적했고 골드만삭스는 로보택시 사업이 "아직 규모가 작고 데이터도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약 10년간 공언해 온 완전자율주행 기술 역시 구글 웨이모나 중국 바이두에 뒤처지고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하지만 머스크는 여전히 낙관론을 고수하고 있다. 그는 실적 발표에서 "자율주행차에 있어 테슬라는 구글보다 훨씬 앞서 있다"고 주장하며 테슬라의 기업가치가 언젠가 20조 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장담했다. 그러나 시장은 그의 말보다 당장의 실적과 현실의 벽에 더 집중하며 차가운 반응을 보이고 있다.
2025-07-27 12:35:07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마이크로소프트 애저·365 서비스, 전 세계적 접속 장애…'클라우드 대란' 현실화
2
삼성바이오에피스, ADC 인투셀 '픽'한 이유는…차세대 성장동력 선점 전략
3
[2025APEC] 젠슨 황이 들고 올 '선물'은 무엇…15년 만의 방한에 韓 반도체 업계 '들썩'
4
T1 vs KT, 롤드컵 결승서 '통신사 더비'…T1, 3연패·KT, 첫 우승 놓고 '격돌'
5
대우건설 원주 재개발 현장서 하청노동자 사망… 노동부, 중대재해법 수사 착수
6
[2025국감] 산자위 국감, 남정운 "정상적 M&A 과정" vs 조용수 "한화솔루션, 과정·결과 불법"
7
'해킹 후폭풍' 통신업계 덮쳤다…SKT '수장 교체', KT '교체 수순'
8
삼성물산 시공 판교 공사현장서 근로자 사망… 노동부,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수사 착수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편집인 칼럼] 이재명–시진핑 회담 이후, 한중관계의 기회와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