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8.02 토요일
안개
서울 33˚C
구름
부산 31˚C
구름
대구 32˚C
흐림
인천 32˚C
흐림
광주 32˚C
흐림
대전 32˚C
맑음
울산 33˚C
흐림
강릉 30˚C
구름
제주 30˚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미국 뉴욕 증시'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트럼프 관세 폭탄에 뉴욕 증시 '패닉'...3대 지수 일제히 하락
뉴욕증권거래소. [사진=AFP·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미국 뉴욕 증시가 지난 3일(이하 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발표 여파로 급락하며 마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와 캐나다산 모든 수입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4일부터 부과하겠다고 밝혔으며 이로 인해 시장이 크게 흔들렸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따르면 미국 뉴욕 증시 3대 지수는 하락세를 보였다. 다우존스3 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48% 하락한 4만3191.24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76% 떨어진 5849.72를 기록했으며 나스닥 지수는 2.64% 내린 1만8350.19로 마감했다. 이들 지수는 장 초반 상승 곡선을 그리다가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오후 "멕시코와 캐나다산 수입품에 대한 25% 관세가 4일에 부과되기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하며 급락했다. 경제 지표 역시 시장에 불안감을 더했다. 이날 미국 공급관리협회(ISM)가 발표한 지난달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0.3으로 전월(50.9) 대비 하락했다. S&P 글로벌의 지난달 미국 제조업 PMI는 52.7로 개선됐지만 관세 우려로 인한 무역 혼란 가능성이 지적됐다. 크리스 윌리엄스 S&P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 수석 경제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제조업 PMI가 32개월래 최고치에 도달한 것은 제조업 부문 건강이 개선됐음을 시사하지만 단지 겉으로 보이는 현상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경제성장률을 실시간으로 추정하는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의 'GDP 나우(now)' 모델은 미국 1분기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1.5%)보다 낮은 -2.8%로 하향 조정했다. 업종별로는 기술주와 반도체 관련주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 특히 엔비디아의 주가가 8.69% 하락해 가장 큰 타격을 받았고 △아마존닷컴 3.42% △테슬라 2.84% △마이크로소프트 2.14% △애플 1.58% 떨어지며 하락세를 보였다. 이와 함께 소재와 임의소비재는 2% 넘게 밀렸고 산업과 통신서비스도 1% 이상 내렸다. 반면 보면필수소비재와 의료건강, 부동산, 유틸리티 등 경기방어주는 상승했다. 프록터앤드갬블(P&G)과 존슨앤드존슨, 코카콜라, 버라이즌(VZ) 등 전통의 필수소비재는 1%대 상승률을 보였다. 한편 금 현물은 이날 오후 2시 4분 기준 온스당 1.1% 상승한 2890.57 달러를 기록했다. 미국 금 선물의 경우엔 1.8% 상승해 2901.1 달러에 마감했다.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4.16%로 하락했다. 미국 경제 둔화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지난 1월(4.80%) 이후 급격한 내림세를 보였다.
2025-03-04 11:15:21
굳건한 질주 '국장'…관세·공매도 변수
[이코노믹데일리] 올해 들어 국내 증시가 변동성이 높은 글로벌 시장에서 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미국발 관세 전쟁 우려 속에서도 주요국 대비 견조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관세 정책 시행과 공매도 재개를 앞둔 시점에 어떤 흐름이 나타날지 주목된다.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에서 코스피 지수는 올해 들어 5.49%(2400.87→2532.78) 상승했다. 코스피는 올 초 2400.87에 시작한 가운데 지난달 19일 2671.52까지 오르며 2700선에 근접하기도 했다. 코스닥은 9.57%(678.98→743.96) 증가하며 더 큰 상승폭을 보였다. 코스닥도 지난달 19일 올해 들어 가장 최고점인 778.27을 기록하며 800선을 목전에 뒀다. 국내 증시는 글로벌 증시 대비 강세를 보인다. 같은 기간 미국 뉴욕 증시 3대 지수인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 2.77%(4만2660.09→4만3840.91)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0.87%(5903.26→5954.50) △나스닥 -2.87%(1만9404.90→1만8847.28)의 등락률을 보였다. 아시아 주요 국가의 시장도 다소 부진한 모습이다. 각 국별로 △대만 자취엔지수 0.34%(2만2975.71→2만3053.18) △중국 상하이종합지수 -0.81%(3347.94→3320.90) △일본 닛케이225 평균주가 -6.99%(3만9945.42→3만7152.50)로 집계됐다. 이러한 까닭은 미국발 관세 전쟁 여파 탓이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는 금일부터 캐나다와 멕시코에 각 25%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에는 추가로 10%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또 이달 12일부터 철강·알루미늄에 대해 25% 관세를, 오는 4월 2일부터는 관세·비관세 모두 고려하는 상호 관세를 발효하겠다고 예고했다. 국내 증시의 경우 이미 지난해 주가에 리스크가 선반영돼 관세 충격이 이전만큼 크지 않았고 변동성이 제한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최근 코스피가 지난 일주일간 단 한 차례 상승하고 4.59% 떨어지며 상승세가 마무리된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특히 지난달 28일 하락 폭은 3.39%를 보이며 올 들어 가장 컸다. 이날 외국인은 유가증권시장에서 1조5544억원어치 팔아 치웠는데 순매도 규모는 지난 2022년 1월 27일(1조7499억원) 이후 최대치다. 증권가에서는 국내 증시의 강한 흐름이 당분간 이어지는 가운데 이달 말 재개되는 공매도와 트럼프 관세 정책이 향후 흐름을 좌우할 것이란 의견이 나온다. 이재만 하나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는 이전과는 달리 강해졌단 평가를 받고 있다"며 "달러 강세 진정과 공매도 재개가 결합될 경우 국내 증시 내 외국인 영향력을 커질 것으로 판단한다"고 분석했다. KB증권은 이달 코스피 밴드를 2410~2670으로 제시했다. 이은택 KB증권 연구원은 "이달에는 공매도 재개, 탄핵 결과, 트럼프 관세, 환율 변동성 확대 등 리스크 요인이 많다"며 "다만 올해 중반까지는 한국 증시가 완만한 상대적 강세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한투자증권은 코스피 밴드를 2470~2730으로 예측했다. 노동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상호 관세 부과는 국내 주식 시장에 오히려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는 변수"라고 언급했다. 그는 "반도체, 자동차, 의약품 관세 가능성은 위협적이지만 미국 생산 능력 줄어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무질서한 관세 현실화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부터 국내 최초 대체거래소인 '넥스트레이드'가 출범한다. 대체거래소의 주식거래 시간은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까지로, 첫 주에는 코스피 5 종목(롯데쇼핑·제일기획·코오롱인더·LG유플러스·S-Oil), 코스닥 5 종목(골프존·동국제약·에스에프에이·와이지엔터테인먼트·컴투스)만 거래 가능하다.
2025-03-04 06:00:0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국내 최대'가 '국내 최다 하자'로… 흔들리는 현대건설의 신뢰
2
SKT 해킹 피해, 내 정보는...오늘부터 유출 여부 직접 확인 가능
3
美 통상압력에 볼모가 된 '온플법'…빅테크 규제 공약, 모두 '올스톱'
4
퓨리오사AI, 1700억 투자 유치로 유니콘 등극…'탈엔비디아' 속도
5
국가인공지능위원회 2기 내달 출범...민간 전문가 중심 'AI 컨트롤타워'로
6
LG엔솔 '무음극 전지' 개발 순항...상용화는 언제?
7
은행계 캐피탈, 올 상반기 KB·신한·우리·하나 '줄줄이 적자'…PF 부실에 발목
8
LG엔솔, 中기업 상대 특허침해소 승소했지만..."글로벌 대응 체계 강화 시급"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지시'로 SPC 산재 막을 수 없다…'진짜 실행력' 증명돼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