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227건
-
-
-
-
-
-
-
-
-
5대 은행 가계대출, 하루 평균 2102억원 급증…'영끌' 열풍 재현되나?
[이코노믹데일리] 지난달 국내 5대 은행(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주택 거래자금 수요뿐만 아니라, 최근 증시 투자자금 몰린 것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9일 기준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이 총 752조749억원에 달하며, 5월 말(748조812억원)보다 3조9937억원이 증가했다. 이는 하루 평균 약 2102억원씩 증가한 수치로, 지난해 8월(3105억원)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폭을 기록했다. 이러한 증가 속도가 계속된다면, 이달 말까지 약 6조3000억원의 가계대출 증가가 예상되며, 월간 증가 규모는 지난해 8월(+9조6259억원) 이후 최대 기록을 세울 가능성이 높다. 가계대출 증가는 지난해 여름의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 열풍 직전 상황과 비슷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은행권에서는 현재 상황이 지난해 8월의 대출 급증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어, 향후 대출 증가가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다만, 대출 증가의 속도가 지속될지 여부는 각 은행의 가계대출 규제 수준과 분기 말 대출 채권 매각 및 상각 등의 변수가 남아 있어 신중히 지켜봐야 할 시점이다. 가계대출 종류별로 살펴보면, 주택담보대출(전세자금 대출 포함) 잔액은 596조6471억원에 달하며, 5월 말(593조6616억원)과 비교해 19일 기준으로 2조9855억원 증가했다. 이는 주택담보대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 속도가 계속되면 5월 말까지 4조7천억원 이상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5월의 증가 폭(+4조2316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신용대출의 경우, 5월 19일 기준 잔액이 103조3145억원에서 104조4027억원으로 1조882억원이 증가했다. 하루 평균 증가액은 573억원으로, 5월(265억원)의 두 배를 웃도는 수준이다. 이러한 증가 속도가 유지되면, 신용대출은 월말까지 1조7천755억원 증가할 전망이다. 이는 2021년 7월(+1조8637억원) 이후 무려 약 4년 만의 최대 증가 폭이다. 신용대출 급증의 주요 원인으로는 주택 거래자금 수요뿐만 아니라, 최근 증시 투자자금 수요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은행권에서는 이러한 급증하는 대출 규모가 '영끌' 열풍과 유사한 상황을 재현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신용대출의 급증은 주택 거래자금 외에도 증시 투자자금으로의 수요가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025-06-22 13:53:51
-
-
-
-
정부, 미분양 주택 '안심환매' 도입…지방 건설경기·PF시장 활력 기대
[이코노믹데일리] 정부가 지역 건설경기 회복과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 안정화를 위해 총 2조7000억원 규모의 실질적인 재정 지원에 나선다. 특히 지방 준공 전 미분양 주택에 대한 ‘안심환매’ 제도 도입과 함께, 중소 건설사 대상 PF 특별보증, 개발앵커리츠 조성 등이 주요 골자다. 업계에서는 이번 조치가 미분양 해소와 중소 건설사 자금 경색 완화, 나아가 건설산업 전반의 회복세 전환에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19일 발표한 ‘2025년 제2차 추가경정예산안’에 건설경기 활성화를 위한 다각적인 지원책을 담았다. 대표적인 대책은 ‘미분양 안심환매’ 제도로, 공정률 50% 이상인 지방의 준공 전 주택을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매입하고, 일정 기간 후 사업주체가 다시 환매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총 3000억원 규모로 시행되는 안심환매는 건설사가 분양가의 50% 수준에서 공사 중 주택을 매각하고 유동성을 확보한 뒤, 미분양 해소에 성공할 경우 다시 주택을 되사들이는 구조다. 정부는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도 유사한 정책으로 주택시장 안정화에 성과를 거둔 바 있다. PF시장 안정화를 위한 ‘개발앵커리츠’도 신설된다. 국비 3000억원을 포함해 총 1조원 규모로 조성되는 이 리츠는 브릿지론 단계에서 정체된 개발사업장에 공적 자금을 투입해 본PF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구조다. 국토부는 이를 통해 수도권 기준 전용 85㎡ 규모 아파트 약 3만5000가구의 공급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향후 PF 전환 시 정부 투자금도 회수 가능한 구조다. 중소 건설사의 PF 대출 보증도 확대된다. 정부는 시공능력 순위 100위권 밖 중소 건설사의 금융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보증심사 기준에서 시공사 평가 비중을 낮추고 사업성 중심으로 전환한다. 이로써 중소업체도 증권사,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을 통한 자금조달이 한층 수월해질 전망이다. 보증 한도는 사업비의 70%, 보증료율은 0.563~1.104% 수준으로 책정된다. 사회기반시설(SOC) 분야에도 1조4000억원의 재정이 추가 투입된다. 평택~오송 2복선화, 호남고속철도 등 핵심 국가기간망 구축에 7124억원, 일반철도 및 안전시설 개선에 1629억원, 하천 정비·수리시설 개보수 등에 3485억원이 각각 배정됐다. 국립대 및 병영시설 개보수 등 소규모 공사에도 4607억원이 집행될 예정이다. 주거 복지 부문에서도 3200억원 규모의 전세임대 공급 확대, 570억원의 청년 월세 지원, 600억원 규모의 소규모 정비사업 융자 지원 등 서민 주거 안정 대책이 함께 추진된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이번 추경을 통해 지방 건설경기 회복과 함께 중소·중견 건설사의 숨통을 틔우는 실질적 지원이 이뤄질 것”이라며 “건설산업이 다시 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 수단을 지속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2025-06-20 07:47:0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