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30건
-
-
-
-
LG화학, 생명과학 부문 호실적에 흑자 전환 성공
[이코노믹데일리] LG화학이 전반적으로 실적 부진을 겪고 있는 가운데 생명과학 부문의 성장세가 돋보이고 있다. 7일 LG화학은 온라인 기업설명회(IR)를 통해 2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하며 전체적인 사업 계획을 전했다. LG화학의 2분기 매출은 11조4180억원, 영업이익은 4770억원, 영업이익률 4.2%로 전분기 대비 소폭 개선됐다. 이 가운데 생명과학 부문은 매출 3370억원, 영업이익 250억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LG화학 측은 매출 증가 배경으로 백신, 항암제, 자가면역 치료제 등의 주요 제품 매출이 견조하게 유지되며 수익성이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생명과학 부문 연 매출은 2022년 8492억원에서 2023년 1조1280억원으로 증가했으며 2024년에는 1조2690억원을 기록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생명과학 부문은 매년 3000억원 이상을 연구개발(R&D)에 투자하고 있으며 특히 두경부암 면역항암제(임상 3상)와 암 악액질 치료제(임상 1상) 등 항암 신약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현재 보유한 신약 파이프라인은 총 16개로 당뇨병, 대사질환, 항암, 면역질환, 백신 등 다양한 질환 영역을 구축했다. 이 가운데 △TiNivo-2와 △AV-299는 임상 3상 단계에 진입해 있다. 특히 TiNivo-2는 자사 표적항암제 '포티브다'와 BMS의 면역항암제 '옵디보'의 병용요법으로 개발 중이며 병용 시너지에 대한 기대가 크다. 또한 LG화학은 지난해 희귀비만치료제 신약 후보물질을 미국 제약사 리듬파마슈티컬(Rhythm Pharmaceuticals)에 기술이전하며 3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해당 후보물질은 올 7월 파트너사의 임상 2상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해 안정적인 마일스톤 수익과 로열티 발생이 기대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LG화학은 "전략적 기술이전과 글로벌 파트너십을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유안타증권은 LG화학 생명과학 부문에 대해 "올해 550억원 규모의 기술수출료 수입이 예상된다"며 "희귀비만 치료제의 임상 진전이 가시화되며 안정적인 수익원 확보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2025-08-07 18:24:20
-
-
-
-
-
-
-
-
'실적 부진' 탈출 언제쯤…최진일 이마트24 대표, 깜짝 '구원투수' 될까
[이코노믹데일리] 실적 부진에서 좀처럼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는 이마트24가 8개월 만에 수장 교체를 단행하며 급한 불 끄기에 나섰다. 모회사인 이마트로부터 누적 5000억원에 달하는 유상증자로 부채 비율은 낮추는 데 성공했지만, 빠르게 불어나는 적자가 가장 큰 해결 과제다. 이마트24는 실적 반등을 위해 ‘노브랜드’ 상품 도입에 속도를 내고 있으나, 적자를 뒤집기에는 역부족이다. 야심차게 진출한 해외 사업도 일부 국가에선 영업을 중단하며 빨간불이 켜진 상황이다. 올해 최진일 신임 대표가 이마트24의 지휘봉을 잡은 가운데 적자 행진을 끊을 구원투수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이마트24는 신임 대표이사로 최진일 이마트 MD혁신담당 상무를 선임했다. 기존 송만준 이마트24 대표는 건강 상의 이유로 8개월 만에 물러나게 됐다. 1974년생인 최 신임 대표는 지난 2000년 이마트에 입사해 노브랜드 BM 기획·운영팀장, 그로서리본부 신선2담당 등을 역임한 상품전문가다. 최 대표는 이마트24만의 특화된 상품 경쟁력을 통한 수익성 확대, 브랜드 가치 향상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이마트24의 가장 큰 해결 과제는 적자 탈출이다. 이마트24는 2013년 신세계그룹에 편입된 이후 매년 적자를 이어가다가 2022년 67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리면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하지만 2023년 230억원에 이어 지난해 298억의 영업손실을 내며 다시 적자를 내고 있다. CU, GS25, 세븐일레븐 등과 편의점 시장을 놓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다. 이마트24가 적자를 지속하면서 이마트도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이마트가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이마트24 유상증자에 참여해 지원한 누적 자금만 4980억원에 달한다. 덕분에 이마트24의 부채비율은 2023년 538%에서 작년 171.84%로 줄이는 데 성공했다. 통상적으로 기업의 부채비율은 200% 이하를 안정선으로 본다. 그러나 이마트가 2020년까지 이마트24에 500억~600억원대 자금을 수혈하던 것에서 2023년부터는 1000억원씩으로 출자 지원 규모가 늘며 부담이 커졌다. 이마트24는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난해 4월부터 이마트의 ‘노브랜드’ 상품을 활용한 가맹모델을 도입하고 있다. 현재 총 6200여개 점포 중 약 1400개 점포가 노브랜드 도입점포로 전환됐다. 매월 약 100여개 점포가 늘어나는 셈이다. 노브랜드 도입 점포의 평균 일매출은 전체 점포의 평균 일매출 대비 30%가량 높게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아직 절반가량도 노브랜드 점포로 전환하지 못하면서 연간 실적에서 빛을 발하지 못하고 있다. 글로벌 K-식품 인기 속 해외 사업 확대도 숙제다. 2021년 말레이시아를 시작으로 해외 공략에 나섰던 이마트24는 지난해 3월 현지 사정으로 싱가포르의 영업을 중단했다. 이마트24는 아직 다양한 국가를 공략한다기 보다 기존 진출국에 힘을 더 쏟는 모양새다. 이마트24는 현재 말레이시아에 88개, 캄보디아에 4개 점포를 운영 중에 있으며 향후 5년내 말레이시아는 300개, 캄보디아는 100개 점포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마트24 관계자는 “노브랜드 상품이 가맹점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핵심전략이 될 수 있다는 판단 하에, 노브랜드 상품을 활용한 로열티 가맹모델을 도입해 운영 중”이라며 “가격을 확실히 낮추면서 품질은 모두 갖춘 초저가 PL(자체브랜드) 라인업을 구축해 상품력을 강화하는 데 집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2025-06-16 18:13:06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