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3건
-
-
카카오, 커머스 호조에도 4분기 '쓴맛'…AI·톡으로 돌파구 모색
[이코노믹데일리] 카카오가 지난해 선물하기와 톡딜 등 커머스 부문의 성장에 힘입어 연간 기준 호실적을 기록했지만 4분기에는 콘텐츠 부문의 부진으로 아쉬운 성적표를 받았다. 특히 게임, 뮤직, 미디어 등 주요 콘텐츠 사업이 IP 라인업 공백과 시장 상황 악화로 타격을 입으며 전체 실적 하락을 견인했다. 다만 플랫폼 부문은 톡비즈와 모빌리티, 페이의 꾸준한 성장세에 힘입어 견조한 실적을 유지했다. 카카오는 올해 카카오톡과 인공지능(AI)을 핵심 성장 동력으로 삼고, 신규 서비스 출시와 사업 효율화에 집중해 실적 개선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13일 카카오가 발표한 2024년 연간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연결 기준 매출액은 7조 8738억원으로 전년 대비 4.2%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4915억원으로 6.6% 늘었다. 그러나 4분기만 놓고 보면 매출액은 1조 959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1067억원으로 33.7% 급감했다. 이는 일회성 대손상각비 반영의 영향도 있지만 콘텐츠 부문의 부진이 뼈아픈 대목이다. 사업 부문별로 살펴보면 플랫폼 부문은 톡비즈, 플랫폼 기타 모두 성장세를 이어갔다. 톡비즈 매출액은 562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 전 분기 대비 10% 증가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광고형 매출은 금융, 커머스 광고주 증가와 톡채널 확장 덕분에 5% 늘었고 선물하기, 톡딜 등 거래형 매출은 자기 구매 트렌드 강화와 개인화 상품 추천 고도화, 계절적 성수기 효과가 겹치며 4% 증가했다. 특히 선물하기 자기 구매 거래액은 20%나 늘어 커머스 부문 성장을 이끌었다. 플랫폼 기타 부문 역시 모빌리티와 페이의 고른 성장에 힘입어 매출액이 4031억원으로 22%나 증가했다. 모빌리티는 택시, 대리운전, 주차 등 전 사업 영역에서 성장했으며 카카오페이는 금융 서비스 매출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냈다. 카카오페이증권 역시 첫 분기 흑자를 달성하며 힘을 보탰다. 반면 콘텐츠 부문은 게임, 뮤직, 미디어 등 주요 사업의 동반 부진으로 4분기 매출액이 910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나 감소했다. 게임 매출은 신작 부재와 기존 게임의 하향세가 겹치며 30% 급감했고 뮤직 매출 역시 레이블의 기저효과로 6% 줄었다. 스토리 매출과 카카오픽코마 매출도 각각 5%, 3% 감소하며 부진을 면치 못했다. 특히 미디어 매출은 시장 전반의 편성 축소 기조 장기화로 25%나 감소하며 콘텐츠 부문 실적 악화의 주범으로 작용했다. 포털비즈 역시 이용자 지표 감소 영향으로 매출액이 832억원으로 6% 줄어들며 하락세를 보였다. 카카오는 올해 AI를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적극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오픈AI와의 협력을 통해 B2C AI 서비스를 강화하고 상반기 내 AI 기반 검색 서비스 ‘카나나’를 CBT(비공개 베타 테스트)를 거쳐 공개할 예정이다. 또한 카카오톡 AI 메이트를 정식 출시하여 사용자 경험을 혁신하고 AI 기반의 다양한 B2C 서비스를 카카오 생태계 전반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콘텐츠 부문은 사업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재무 건전성 강화와 함께 선택과 집중 전략을 통해 수익성 개선에 주력할 예정이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올해 카카오는 카카오톡과 AI라는 핵심에 집중하여 성장을 추진하고, 새로운 서비스들을 순차적으로 선보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카카오의 실적 발표 직후 주가는 하락세를 보였다. 13일 오전 10시 23분 기준 카카오는 전일 대비 4.05% 하락한 4만 300원에 거래되며 시장의 실망감을 반영했다. 이는 AI 경쟁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가가 상승했던 만큼 4분기 실적 부진에 대한 실망 매물이 쏟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2025-02-13 11:05:34
-
오늘이 가장 저렴하다…주유비+차량정비 할인카드
※ '알쓸보카'는 '알'아두면 '쓸'데있는 '보'험 및 '카'드 업계의 머리말을 합성한 것으로, 한 주간 주요 보험·카드 업계의 따끈따끈한 이슈, 혹은 이제 막 시장에 나온 신상품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마음이 포근해지는 주말을 맞아 알뜰 생활 정보 챙겨 보세요! [편집자 주] [이코노믹데일리] 전국 주유소에서 기름값이 6주 연속 상승 중이다. 유류세 인하율이 축소된 영향과 함께 현재 국제유가 상승세 흐름이 원인으로 꼽힌다. 주유 할인은 물론 차량 정비 혜택까지 탑재된 카드를 모아봤다. 30일 카드 비교 플랫폼 카드 고릴라에 따르면 기름값이 오를 땐 비율(%)로 할인되는 주유할인카드가 유리하다. 기름값이 오른 만큼 결제되는 주유금액 또한 커지는데, 이를 일정 비율만큼 할인해 주기 때문이다. 할인율이 가장 높은 카드는 신한 '신한카드 Deep Oil'이다. 4개 정유사(GS칼텍스, SK에너지, S-OIL, 에이치디현대오일뱅크) 중 원하는 1개 정유사에서 10% 할인해 준다. 전월실적에 따라 최대 1만5000원, 3만원까지 주유 할인을 받을 수 있다. 게다가 차량정비 10% 할인까지 담았다. NH농협 '올바른 MYPICK 카드'는 '트래블팩'을 선택하면 농협 및 전국 모든 주유소 5% 할인을 5000~3만원까지 제공한다. 트래블팩에는 주유 할인과 함께 엔진오일 교환 할인, 국내외 여행숙박 5% 할인 등의 혜택까지 더해져 있다. KB국민 'Easy pick 티타늄 카드'도 SK·GS주유소에서 5% 적립을 제공한다. 전월실적에 따라 5000점에서 최대 1만2000점까지 돌려받을 수 있다. 정액 할인으로 제공되는 주유할인카드도 있다. 삼성 '삼성 iD ENERGY 카드'가 대표적이다. 주유비 1만원 이상 결제하면 1만원 할인되고, 전월실적에 따라 월 1~3회까지 할인을 제공한다. 이 카드를 쓴다면 한 번 주유할 때 1만원 할인받으니, 한 달에 내가 얼마나 주유 할인받는지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월 카드 사용금액이 들쭉날쭉하다면 신한 '신한카드 RPM+ Platinum#' 카드를 써서 모든 주유소에서 리터당 40~150 포인트 적립받는 방법도 있다. 특히 전월실적을 채우지 못해도 리터당 40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모든 적립 혜택을 통합해 월 5만점까지 적립 가능하다. 모든 주유소에서 할인되는 카드는 하나 더 있다. 삼성 '삼성 iD AUTO 카드'는 모든 주유소에서 리터당 70원, 90원 할인을 월 주유금액 30만원까지 제공한다. 주유 할인과 함께 차량점검 서비스 제공, 주차장, 하이패스, 대리운전 10% 할인까지 모두 더한 차량 특화 카드다. 전월실적 50만원에 맞춰 썼을 때 효율이 가장 높은 편이다. 집 근처나 회사 주변의 단골 주유소가 정해져 있다면 이 카드를 눈여겨보면 좋다. 하나 'CLUB SK 카드'는 SK주유소에서 리터당 100원, 150원 할인을 제공한다. 전월실적이 높아질수록 주유 할인한도가 1만5000원에서 2만2000원까지 높아진다. GS칼텍스를 주로 이용한다면 IBK기업은행 'Oil & Life카드'를 추천한다. Oil카드와 Life카드로 나눠지는데, Oil카드가 GS칼텍스에서 리터당 120원 할인을 제공해 더 주유할인에 강화된 카드다. Life카드는 리터당 60원 할인이다. 두 카드 모두 1회 10만원, 월 4회, 총 40만원 주유비까지 할인을 적용하고 오토오아시스 정비할인까지 모두 포함돼 있다. 롯데 '디지로카 Auto' 카드는 차량정비 혜택 대신 주유 할인을 크게 받고 싶은 사람에게 추천한다. 실적에 따라 리터당 100원, 150원 할인을 월 3만~5만원까지 제공해서다. 현대 '현대카드Z family Edition2'는 주유 할인이 포함된 생활비 카드를 찾는 사람에게 좋다. 4대 정유사(GS칼텍스, SK에너지, 현대오일뱅크, S-OIL)에서 주유금액의 10%를 할인해 주기 때문인데 전월 이용 금액 50만원 이상 시 월 6000원, 100만원 이상 시 1만원까지 할인된다.
2024-11-30 06: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