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2건
-
시진핑, 11년 만에 방한…이재용·최태원 등 한국 재계 총수 만찬 예정
[이코노믹데일리]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1년 만에 한국을 방문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등 국내 주요 그룹 총수들과 만찬을 함께할 예정이다. 한중 정상이 참석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 중 열리는 이번 만찬은 경색된 양국 경제 관계를 풀 계기가 될 전망이다. 30일 재계에 따르면 시진핑 주석은 APEC 정상회의 마지막 날인 내달 1일 한국과 중국 기업인들을 초청해 만찬을 진행할 예정이다. 한국 측에서는 이 회장을 비롯해 최태원, 정의선, 구광모, 김동관 부회장 등 주요 그룹 총수와 경제단체장들이 참석할 가능성이 높다. 재계 관계자는 "현재 참석자 명단을 최종 조율 중이며 일정은 다소 유동적"이라며 "사실상 양국 최고 경영진이 한자리에 모이는 상징적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측에서는 세계 최대 배터리업체 CATL의 쩡위췬 회장, 국영 에너지·화학 기업 시노켐의 리판룽 회장, 전자상거래 플랫폼 징둥닷컴의 류창둥 창업자 등 중국 재계를 대표하는 인사들이 만찬에 함께할 것으로 전해졌다. 시진핑 주석은 30일 한국에 도착해 2박 3일간 머무르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미중 정상회담을 진행한 뒤 31일 APEC 정상회의 연설에 나설 예정이다. 1일 저녁에는 한국 주요 기업인들과 만찬을 가진 뒤 귀국할 것으로 전해졌다. 재계 안팎에서는 이번 만찬이 한중 경제 협력 복원의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시진핑 주석이 2014년 이후 처음으로 방한해 한국 대기업 총수들을 직접 만나는 것은 최근 수년간 냉각됐던 양국 관계의 변화를 의미해서다. 업계 관계자는 "정상회담 의제보다 한중 기업인 간 신뢰 회복의 계기가 될 수 있다"며 "기술 패권 경쟁 속에서도 경제는 끊을 수 없는 연결고리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2025-10-30 08:29:58
-
국내 30대 그룹 시총 600조 급증...한화, 163% 뛰며 '100조 클럽' 첫 진입
[이코노믹데일리] 코스피가 4년 2개월 만에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주요 그룹사들의 시가총액도 급증했다. 특히 한화그룹이 163% 증가율로 30대 그룹 중 1위를 차지하며 사상 처음 '시총 100조 클럽'에 진입했다. 14일 리더스인덱스가 30대 그룹 상장사 219개를 분석한 결과(1월 2일 대비 9월 10일 종가), 전체 시총은 1500조2219억원에서 2099조8306억원으로 40% 증가했다. 9개월 만에 600조원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같은 기간 한국 증시 전체 시총은 2307조원에서 3140조원으로 36.1% 증가했다. 30대 그룹이 차지하는 비중은 65%에서 66.9%로 확대됐다. 증가율 1위는 한화그룹이었다. 시총이 44조8068억원에서 118조1583억원으로 163.7% 급증했다. 전통적으로 삼성·SK·현대차·LG 4대 그룹만 100조원을 넘겼지만, 한화가 새롭게 합류했다. 김동관 부회장이 주도한 사업구조 개편이 주효했다. 지난 2022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출범과 대우조선해양(현 한화오션) 인수로 방산 사업을 확대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전체 상장사 중 시총 증가액 3위, 한화오션은 5위를 기록했다. 미래에셋그룹이 150.4% 증가로 2위, 효성그룹이 140.9%로 3위를 차지했다. 미래에셋증권 시총은 4조7000억원에서 12조9462억원으로 3배 가까이 늘었고 효성중공업은 AI 전력 인프라 투자 기대감으로 242.7% 급등했다. 두산그룹은 원자력 모멘텀으로 138.8% 증가해 4위, LS그룹이 67.3%로 5위를 기록했다. HD현대그룹도 66.3% 증가하며 131조8215억원으로 '100조 클럽'에 새로 진입했다. 주목할 점은 상위 6개 그룹 중 절반이 최근 3세 경영 체제가 본격화된 곳이라는 것이다. 한화(김동관 부회장), 효성(조현준 회장), HD현대(정기선 수석부회장)가 대표적이다. 시총 규모로는 삼성이 675조원(34% 증가)으로 1위를 지켰다. 30대 그룹 전체 시총의 32%를 차지했다. SK가 2위를 유지한 가운데 현대차그룹이 172조원(27.4%↑)으로 LG(145조원·3% ↑)를 제치고 3위로 올라섰다. 한화는 7위에서 6위로 상승했고, 쿠팡은 6위에서 7위로 한 계단 하락했다. 두산은 12위에서 8위로 4계단 뛰어올랐으며 카카오는 10위에서 9위로 상승했다. 포스코는 시총이 12.7% 증가했지만 8위에서 10위로 밀려났다. 증권가는 한국 증시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30대 그룹 시총도 추가 상승 여력이 있다고 보고 있다. 특히 방산, 원자력, AI 인프라 등 신성장 동력을 확보한 그룹들의 약진이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된다.
2025-09-14 13:46: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