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석진건설부동산부
sjhan0531@economidaily.com
기사 제보하기
최신기사
-
-
서울 아파트값 17주 연속 상승세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 폭이 점점 커지며 17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상승 폭은 다소 줄었으나 61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1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5% 상승하며 지난주(0.04%) 대비 상승 폭이 확대됐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0.12%→0.13%) 및 서울(0.24%→0.28%)은 이번 주에도 상승 폭이 확대됐다. 특히 서울은 17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오며 2018년 9월 셋째주(0.26%)의 상승 폭을 5년10개월 만에 경신했다. 서울 강북의 경우 성동구(0.60%)는 행당·응봉동 역세권 대단지 위주로, 광진구(0.38%)는 자양·광장동 위주로, 마포구(0.38%)는 연남·아현동 위주로, 용산구(0.30%)는 한강로·효창동 등 선호단지 위주로, 서대문구(0.28%)는 북아현·남가좌동 위주로 상승했다. 강남은 송파구(0.62%)는 신천·잠실동 재건축·대단지 위주로, 서초구(0.47%)는 잠원·반포동 위주로, 강동구(0.39%)는 상일·암사동 주요단지 위주로, 강남구(0.32%)는 압구정·개포·역삼동 위주로 상승했다. 부동산원은 "동남권을 중심으로 빠른 속도로 매물이 소진되고 상승거래가 발생하고 있으며, 일부 단지가 신고가를 갱신하는 등 거래 분위기 회복으로 인근지역 가격상승 기대심리도 고조되고 있다"고 말했다. 경기(0.06%→0.07%)에서는 고양 일산서구(-0.14%)는 덕이·대화동 위주로, 고양 일산동구(-0.10%)는 중산·마두동 구축 위주로 하락했으나, 과천시(0.44%)는 부림·별양동 주요단지 위주로, 성남 분당구(0.27%)는 수내·이매동 위주로, 수원 영통구(0.26%)는 영통·원천동 대단지 위주로, 성남 수정구(0.15%)는 창곡·고등동 위주로 상승했다. 또 인천(0.06%→0.07%)에서는 동구(0.12%)는 송현·송림동 준신축 위주로, 미추홀구(0.09%)는 주안·도화동 대단지 위주로, 계양구(0.09%)는 작전·계산동 소형규모 위주로, 서구(0.09%)는 정주여건 양호한 청라·원당동 위주로, 중구(0.08%)는 중산·운남동 주요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반면 지방(-0.03%→-0.04%)에서는 오히려 하락 폭이 확대됐다. 5대 광역시(-0.06%→-0.05%), 세종(-0.14%→-0.08%), 8개도(-0.01%→-0.02%) 등이 모두 하락세를 이어갔다. 한편 전세시장에서는 매물부족 현상이 나타나면서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다. 전국 주간 아파트 전셋값은 0.06% 상승을 기록하며 지난주(0.05%) 대비 상승 폭이 확대됐다. 수도권(0.13%→0.14%)은 상승 폭이 확대된 반면, 서울(0.20%→0.18%)은 상승 폭이 다소 축소됐다. 그러나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여전히 61주 연속으로 상승하고 있다. 부동산원은 "서울은 꾸준한 임차 수요가 이어지며, 학군지 및 정주여건 양호한 선호단지 위주로 상승 거래가 발생하고 매물부족 현상이 지속되며, 인근 단지로 상승세가 확산하는 등 서울 전체 상승이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전셋값도 지방(-0.02%→-0.02%)은 하락 폭이 유지됐다. 5대 광역시(-0.03%→-0.02%), 세종(-0.01%→0.05%), 8개도(-0.02%→-0.02%) 모두가 하락세를 이어갔다.
2024-07-19 15:00:45
-
-
올해 서울 아파트 매매 5채 중 1채는 15억이상... 탈서울 더 늘었다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서울에서 이뤄진 아파트 거래 중 15억원 이상 고가 매매 비중이 역대 최다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억원 이상에 거래된 아파트 10채 중 6채는 전용 85㎡ 이하로, 중소형 이하가 차지하는 비율도 높아진 까닭에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역으로의 탈(脫)서울 현상도 가중되고 있다. 17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자료를 보면 1∼5월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 총 1만8830건 가운데 15억원 이상 거래는 3744건(전체의 19.9%)로, 국토부가 실거래가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6년(매년 1~5월 기준) 이래 가장 많은 수치다. 서울에서 15억원 아파트 거래 비율(1∼5월 기준)은 2006∼2018년만 해도 10% 미만이었으며, 2019년 10.5%를 기록한 이래 2020년(6.2%)을 제외하고 줄곧 10%대를 유지했다. 이후 2021년 16.6%, 2022년 18.1%, 2023년 17.4%를 각각 기록한 데 이어 올해는 20%에 육박한 수준까지 커졌다. 서울에서 매매된 아파트 5채 중 1채는 15억원이 넘는 셈이다. 또 15억원 이상에 거래된 아파트 10채 중 6채는 ‘중소형’으로 분류되는 전용 85㎡ 이하로 집계됐다. 15억원 이상 거래에서 85㎡ 이하가 차지하는 비율은 2020년 43.2%, 2021∼2022년 46.6%, 2023년 58.8% 등으로 꾸준히 커지고 있다. 반면 15억원 이상 거래 중 102㎡를 초과하는 ‘중대형’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2020년 50.2%, 2021년 48.2%, 2022년 48.9%, 지난해 34.2%, 올해 33%로 줄어드는 추세다. 통상 전용 60㎡ 초과∼85㎡ 이하를 중소형으로, 102㎡ 초과∼135㎡ 이하를 중대형으로 분류한다. 지역별 15억원 이상 거래를 보면 총 3744건 중 2312건(61.7%)이 서울 강남·서초·송파구 등 ‘강남 3구’에서 발생했다. 부동산 전문가는 올해 들어 15억원 이상 거래 비율이 늘어난 원인에 대해 고금리 속에서도 자산가들이 아파트를 사들이기 시작하면서 15억원 이상 거래가 늘어났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15억원 이상 대출을 규제한 과거와 달리 대출이 허용된 것도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했다. 이에 대해 한 부동산 전문가는 “서울의 신축 아파트 가격이 전체 평균(12억원대)보다 높다”면서 “주 수요층인 30∼40대가 직주근접, 신축을 선호하다 보니 최근 시장에서 15억원 이상 거래가 활발하다”고 했다.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서울 집값을 감당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서울을 떠나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는 ‘탈서울 현상’도 두드러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5월 경기와 인천은 각각 6224명, 1445명이 순유입되지만 서울은 5883명이 순유출됐다. 순유입·순유출은 총 전입인구에서 전출인구를 뺀 값이다. 올해 1∼5월 누적으로 봤을 때 경기와 인천의 순유입 규모는 각각 2만5132명, 1만3747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14.4%, 16.2% 증가했다. 서울의 경우 순유출 규모가 1만593명으로 같은 기간 48.1% 늘었다. 서울 거주자가 경기·인천 아파트 매수에 나서는 사례도 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월별 매입자 거주지별 아파트 매매거래 현황 자료를 보면 올해 1∼5월 경기권 아파트를 사들인 서울 거주자는 6246명으로 전년 동기(5544명)와 비교해 12.7%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 아파트를 매입한 서울 거주자는 904명에서 982명으로 8.6% 증가했다. 경기·인천권으로 눈을 돌리는 이들이 늘면서 최근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 상승세가 수도권 인기 지역으로도 퍼지고 있는 모양새다. 이에 대해 한 부동산학과 교수는 “서울 아파트 시장의 상승 기류가 수도권 지역까지 퍼져 나가고 있다”며 “이는 서울 강남을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이 살아나기 시작하면서 실거주 목적 수요자들의 매수 심리가 살아난 것이 원인이다”고 했다. 서울 집값을 감당하지 못하는 수요자들이 경기, 인천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취지다. 한국부동산원과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자료를 보면 5월 기준 최근 1년간 서울 1㎡당 평균 분양가는 평균 1170만6원으로 1년 전에 비해 24.35% 올랐다. 인천(552만7000원)이나 경기(633만6000원)와 비교하면 두 배 이상 차이가 나는 가격이다.
2024-07-19 07:29:47
-
고금리·공사비 급등에... 상반기 LH 공공택지 해약 1조원 육박
한국토지주택공사(LH)로부터 시행사나 건설사가 토지를 분양 받고도 대금 연체 등으로 계약이 해지 되는 사업장이 급증하고 있다. 공동주택 용지 신규 판매도 매우 저조해 주택 공급 차질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17일 LH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공급 계약이 해지된 공동주택 용지는 13개 필지, 9522억원에 달한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 해약 금액(1필지, 222억원)의 약 43배, 작년 연간 해약 금액(5개 필지, 3749억원)의 2.5배에 달하는 규모다. LH는 토지를 분양받은 업체가 대금을 6개월 이상 연체할 경우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계약이 해지되면 용지를 분양받은 시행사나 건설사는 공급 금액의 10% 수준인 계약금을 돌려받지 못하게 된다. 이에 대해 한 LH 관계자는 "대금이 6개월 이상 연체되더라도 사업 의지가 있으면 바로 계약을 해지하지는 않는다"면서 "연체 이자가 계약금을 넘어서거나 업체에 돈을 빌려준 대주단이 해지를 요청하는 경우, 분양받은 업체가 사업성이 없다고 판단해 계약금을 포기하고 토지를 반납하는 경우 등에 계약이 해지된다"고 했다. 올해 6월 말 기준 공동주택 용지 대금 연체 규모는 41개 필지, 1조795억원 규모로 작년 말(64개 필지, 1조6652억원)보다 줄어들었다. 계약 해지가 급증하면서 해지 사업장의 연체 대금이 제외된 영향이 크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고금리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로 자금 조달이 힘들어지면서 대금을 내지 못하는 업체가 많이 늘었다"면서 "급격하게 오른 공사비로 사업성이 없다고 판단해 계약금을 포기하고 아예 사업을 접는 업체들도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3년간 공사비가 급격하게 오르면서 분양가가 급등했지만, 공공택지의 경우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기 때문에 분양가를 올려받는 데에 한계가 있다. 경기 파주 운정3·4블록에 공급될 예정이었던 주상복합 아파트의 경우 2022년 사전청약을 마쳤지만, 시행사가 분양가 상한제에 맞춰 시공하겠다는 건설사를 찾지 못하면서 최근 사업이 취소되기도 했다. 공동주택 용지 신규 판매도 매우 부진한 상황이다. 올해 상반기 LH가 매각 공고를 낸 공동주택 용지 16필지, 1조1430억원어치 가운데 매각된 토지는 2필지, 2128억원 규모에 그친다. 지난해 공고하거나 공모했다가 올해 매각된 2필지와 수의계약까지 합쳐도 올해 팔린 공동주택 용지는 5필지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올해 상반기 말 기준 미매각 공동주택 용지는 50필지, 3조5790억원 규모로 작년 말(32개 필지, 1조9000억원)의 두배에 가까운 수준으로 증가했다. LH의 주요 수입원인 토지 매각이 차질을 빚으면서 LH의 재무 건전성 악화와 주택 공급 차질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부동산 전문가는 "이런 흐름이 장기적으로는 공급 부족으로 이어져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는 공급 물량이 감소한다는 측면에서도 주택 소비자들에게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했다.
2024-07-19 07:29:28
-
-
-
-
국민 37%가 토지 소유…보유자 64%가 60대 이상
지난해 우리나라 토지를 보유한 인구가 1903만명으로 조사됐다. 국토교통부는 2023년 말 기준 토지소유현황 통계를 18일 공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5133만 명(주민등록인구) 중 토지를 보유한 인구는 ’2022년 1877만명 대비 1.3% 증가한 1903만 명으로 조사됐다. 세대별로는 총 2391만 세대(주민등록 세대) 중 62.1%인 1486만 세대가 토지를 소유했으며 연령별로는 60대가 30.1%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50대 21.8%, 70대 20%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성이 54.8%로 여성 45.2%보다 높게 나타났다. 개인이 소유한 토지가 4만6224㎢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법인은 7327㎢, 비법인(종중, 종교단체 등)은 7818㎢로 나타났다. 개인소유 토지의 용도지역별 면적은 농림지역 2만2563㎢(48.8%), 관리지역 1만4464㎢(31.3%), 녹지지역 5818㎢(12.6%)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2년 4만6445㎢ 대비 0.5% 감소했다. 법인은 농림지역 2361㎢(32.2%), 관리지역 1999㎢(27.3%), 녹지지역 1081㎢(27.3%), 순으로 나타났다. 비법인은 농림지역 4442㎢(56.8%), 관리지역 1714㎢(21.9%) 녹지지역 930㎢(11.9%), 순으로 조사 됐다.
2024-07-18 10:18:39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