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난징=신화통신) 중국 양저우(揚州) 국제우호교류 전시관에 전시된 한 쌍의 금색 귀걸이 전시품. 정교한 제작 공법이 눈길을 끈다. 이는 한국 국보 제90호인 신라시대 '금제태환이식'을 모티브로 한 것으로 경주가 양저우에 선물한 것이다. 두 도시의 우정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두 도시의 인연은 당나라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신라시대의 저명한 문학가이자 '동국유종(東國儒宗)'으로 추앙받던 최치원은 어린 나이에 당나라로 유학을 떠나 양저우에서 관직에 머물며 귀국 전까지 생활했다. 그는 '계원필경(桂苑筆耕)' 등 저작을 남겼으며, 당나라에서 배운 풍부한 경륜과 좋은 정책들을 고향으로 가져왔다.
천년의 시공간이 교차하는 가운데 최치원은 양저우와 고향 경주에 우정의 씨앗을 뿌려 일찍이 싹을 틔우고 꽃을 피웠다. 두 도시는 바다를 넘어 친구가 됐고, 우정은 천년의 운하처럼 끊임없이 이어졌다.

지난 15일, 최치원의 후손들이 다시 한 번 유서깊은 양저우의 땅을 밟아 선조를 기렸다. 이 전통은 25년 동안 유지되고 있으며 심지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도 '클라우드 헌화' 방식을 통해 이어갔다. 최천규 경주최씨중앙종친회 회장은 "양저우는 최치원 선생의 정신을 기리고 계승하는 상징적인 장소이자 선생의 두 번째 고향"이라고 강조했다.
시간을 1999년으로 되돌려보자. "중국 양저우 일행이 한국을 방문해 최치원 선생의 유적을 찾은 적이 있습니다. 그때 최치원 선생이 양저우에서 관직 생활을 했던 역사를 더 깊이 이해할 수 계기가 됐으며, 또 그제서야 당시 선생이 집필한 '계원필경'이 중국에서 유명하다는 것을 알게 됐죠." 최 회장의 말이다.
2001년부터 매년 10월 15일, 경주최씨중앙종친회는 100명의 대표단을 꾸려 양저우에서 제사를 지내고 있으며, 이날은 양저우시에서 '중·한 우호교류의 날'로 지정됐다.
"처음 몇 년 동안 제향 행사는 양저우 당성(唐城)유적지박물관에서 열렸습니다. 교류와 왕래가 긴밀하게 이어짐에 따라 당성유적지박물관은 최치원 기념관 건설을 신청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리빈(李斌) 최치원 기념관 관장의 말이다.
리 관장은 기념관이 지난 2005년 건설 승인을 받고 2007년 완공돼 대중들에게 개방됐다면서 중국 외교부가 승인한 첫 번째 외국 유명인사 기념관이라고 전했다. 이로써 기념관은 제향 행사의 고정 개최 장소가 됐다.

당나라 유물을 모방한 당나라식 건축물, 50여 점(세트)의 유물은 천년 전 최치원이 양저우에서 일하고 생활했던 모습을 생생하게 재현한다. 기념관에는 매년 약 10만 명(연인원)의 국내외 방문객이 찾으며, 이 중 한국인 관광객과 귀빈은 약 수천 명에 달한다.
"최치원의 후손과 그를 연구하는 학자들 외에도, 장쑤성을 방문하는 많은 한국 관광객 중 최치원 기념관에 대해 아는 사람이라면 모두 일부러 찾아옵니다." 리 관장의 설명이다. 개관 이후, 기념관은 최치원을 주제로 한 일련의 문화 교류 활동을 전개해 나가고 있다.

'최치원'은 양저우~경주를 오가는 문화사절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두 도시의 교류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2008년 우호도시 체결 이후, 양측의 교류 협력은 이미 단순한 문화 기념을 넘어 다원적이고 입체적인 교류 구도를 형성했다.
"최치원 문화를 선두로 해서 관광, 교육, 스포츠, 경제 분야에서 실질적인 협력을 이끌어냈습니다. 양저우 감진(鑒真) 하프마라톤, 경주 벚꽃마라톤뿐 아니라 국제학술대회, 서화(書畫)전, 축구대회 등을 개최해 사회의 다양한 측면을 포괄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문화관광 상품 개발과 관광노선 출시도 함께 논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공통 문화 DNA에 기반한 협력은 더욱 탄력적이고 창의적입니다." 위안후이중(袁慧中) 양저우시 외사판공실 주임의 말이다.
우호도시인 경주가 올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경제체 지도자회의' 개최지가 되자 양저우시 친선대표단은 지난 8월 주부산 중국 총영사관과 경주시가 공동 주최한 '한·중 우호의 밤-수교 33주년 기념 행사'에 초청됐다. 이들은 'APEC 지도자회의'의 성공적 개최에 힘을 보태고 지역 특색을 살린 민요와 인형극 공연을 선보이며 양저우의 문화적 매력과 발전 활력을 보여줬다.
도불원인, 인무이국(道不遠人, 人無異國·도는 사람과 멀리 있지 않고, 사람은 나라에 따라 다르지 않다). 20여 년의 긴밀한 교류를 통해 최 회장은 양저우와 경주의 감정적 유대가 끊임없이 견고해지고, 서로의 연결이 더욱 견고하고 돈독해지는 것을 느꼈다.
"최치원 선생의 일생은 한·중 관계의 토대가 얼마나 깊고 유구한지를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천년을 넘어 지금까지 이어져 온 이 인연은 우리가 서로를 더 깊이 이해하고, 더 성숙한 자세로 협력하여 미래를 함께 창조할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우리가 서로를 연결하는 다리가 돼 한·중 양국의 진정한 우정이 오래 지속되고 우호를 촉진하는 동반자가 되길 바랍니다." 최 회장의 말이다.
신라 사람 최치원이 당나라의 핵심 권력 기관에서 요직을 맡을 수 있었던 것은 역사적으로 당나라가 개방적인 마음가짐으로 외래 문화를 포용하고 수용했음을 반영한다. 오늘날 중국은 제도적 개방을 가속화해 문명의 융합을 통해 인류 문명의 공동 진보를 추진해 나가고 있다.


















































![[2025APEC] 李대통령 한일, 어느 때보다 협력 필요…다카이치 일한미 공조 강화 중요](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30/20251030205245243594_388_136.jpg)

![[2025APEC] 이 대통령, 베트남 주석 만나 年 7% 압도적 성장, 함께 하고 싶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30/20251030175648547746_388_136.jpg)



![[2025APEC] 경총 한미 관세협상 타결 환영…첨단산업 협력 전환점 될 것](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30/20251030111555693514_388_136.jpg)
![[2025APEC] 시진핑, 11년 만의 방한…미중정상회담서 펜타닐 관세 10%P 인하](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30/20251030141706428909_388_136.jpg)
![[2025APEC] 트럼프 한국 핵추진 잠수함 건조 승인… 한미동맹 핵심 파트너 강조](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30/20251030073151276365_388_136.jpg)

댓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