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경제+] 세계 60%의 AI 특허가 중국에서...中 인공지능, 디지털 경제의 新엔진으로 '우뚝'
기사 읽기 도구
공유하기
기사 프린트
글씨 크게
글씨 작게
2025.10.22 수요일
맑음 서울 5˚C
흐림 부산 15˚C
흐림 대구 14˚C
맑음 인천 8˚C
흐림 광주 8˚C
흐림 대전 9˚C
흐림 울산 14˚C
강릉 11˚C
흐림 제주 18˚C
신화통신

[경제+] 세계 60%의 AI 특허가 중국에서...中 인공지능, 디지털 경제의 新엔진으로 '우뚝'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高亢,吴慧珺
2025-10-21 17:37:37

(베이징=신화통신) 1.7초당 1개의 배터리 셀을 생산하면서 불량률을 크게 낮춘 생산라인, 경작지 토양과 농작물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로봇의 '후각 센서와 시각 인식 시스템', 스캔 한 번으로 여러 장기의 병변을 선별·진단하는 영상 파운데이션 모델...이들 첨단 스마트 시나리오 뒤에는 중국의 인공지능(AI) 관련 '특허망'이 포진하고 있다.

중국은 '14차 5개년(2021∼2025년) 계획' 기간 디지털 영역에서 핵심 기술 개발에 큰 진전을 이루면서 AI 종합 역량이 전반적·체계적으로 도약했다는 평가다. 중국 국가데이터국의 통계에 따르면 중국의 AI 특허 수는 세계 전체의 60%를 차지한다.

지난해 1월 31일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팀의 연구원들이 다중모드 인공지능(AI) 시스템 전국중점실험실에서 로봇을 테스트하고 있다. (사진/신화통신)

기초연구에서 산업화까지, 제도 공급에서 생태계 공동 건설까지...AI는 중국의 경제·사회에 빠르게 스며들고 있다.

그 과정에서 중국의 제도적 보장이 혁신을 촉진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은 ''AI+' 행동의 심층 시행에 관한 의견' 등 새로운 정책을 잇따라 내놓으면서 중국 AI의 발전에 분명한 로드맵을 제공하고 그 성장 속도를 끌어올렸다. 지속적인 기초 연구 강화, 기초 소프트웨어 등 핵심 기술 개발에 역량 집중, AI 분야를 중심으로 한 과학연구 패러다임의 변혁 촉진이 각 영역의 과학기술을 혁신하고 돌파구를 마련했다는 평가다.

여기서 분출된 혁신과 활력은 산업의 새로운 트랙을 열었다.

'14차 5개년 계획' 기간 중국 AI 기업 수와 산업 규모는 꾸준히 성장했다. 딥시크(DeepSeek·深度求索), 알리바바의 퉁이첸원(通義千問) 등 중국산 파운데이션 모델은 글로벌 오픈소스의 혁신 생태를 견인하고 AI 휴대전화 등 단말기 제품은 보급에 속도를 올리고 있다. 과학기술과 산업 혁신이 심층적으로 융합되면서 광범위한 응용 시나리오 속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시장 공간을 창출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데이터 요소가 순환되면서 잠재력이 꾸준히 방출되고 있다.

중국은 데이터 자원이 풍부하고 완비된 산업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디지털 경제 영역에서 에너지를 축적하며 강한 성장 동력을 발산하고 있다. 지난해 중국의 데이터 기업 수는 40만 개를 돌파했고, 데이터 산업 규모는 5조8천600억 위안(약 1천166조1천400억원)에 달했다. 이는 '13차 5개년(2016~2020년) 계획' 말 대비 무려 117% 늘어난 수치다. 현재 중국은 총 400여 개의 AI 분야 국가급 전정특신(專精特新, 전문화·정밀화·특색화·참신화) '작은 거인(小巨人·강소기업)' 기업을 육성했다.

9월 19일 '제22회 중국-아세안박람회' AI 특별관에서 펼쳐진 휴머노이드 로봇과 관람객의 '복싱' 대결. (사진/신화통신)

AI는 다수의 산업에 '뿌리를 내리며' 신질생산력을 촉진하는 핵심 엔진이 됐다.

농업 분야에선 중국산 농업 파운데이션 모델 '완샹겅윈(萬象耕耘)'이 4천만 개 이상의 농업 전문 지식을 기반으로 토양의 습도를 모니터링하고 기상 예보를 발령해 봄·가을 농사를 뒷받침하고 있다.

민생 분야를 살펴보면 상하이 시샹(熙香) AI 식당은 3천 개 이상의 메뉴를 내놓으며 스마트 알고리즘을 통해 맛과 조리량을 조절해 수많은 가정의 '입맛'을 책임지고 있다.

공업 일선에선 안후이(安徽) 링양(羚羊)공업인터넷 플랫폼이 공업 파운데이션 모델 3.0을 출시해 중소기업의 '연구·생산·공급·판매·서비스·경영'의 디지털화 전환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14차 5개년 계획'이 시행된 이후 중국에는 이미 3만5천 개 기초급, 7천여 개 선진급, 230여 개 탁월급 스마트 공장이 건설됐다.

앞으로 '15차 5개년(2026~2030년) 계획' 기간 정책 호재가 계속해서 나오고 기술 세대교체가 빨라지면서 중국 AI는 특허와 산업 우위를 기반으로 고품질 발전 속에서 더 안정적이고 더 빠르게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농협
한화
신한금융지주
sk
키움증권
기업은행
kb금융그룹
우리은행
바이오로직스
국민카드
LG
부광약품
KB국민은행_2
농협
GC녹십자
롯데카드
쿠팡
부영그룹
동국제약
포스코
신한라이프
동아쏘시오홀딩스
씨티
한화
HD한국조선해양
KB국민은행_3
LG
KB증권
롯데케미칼
하이닉스
하나금융그룹
신한라이프
KB손해보험
하나카드
KB국민은행_1
하나증권
신한카드
미래에셋자산운용
삼성화재
KB국민은행_4
삼성증권
빙그레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