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LB 미국 자회사 엘레바 테라퓨틱스는 오는 17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유럽암학회(ESMO 2025)에서 발표할 예정인 리보+캄렐 병용요법 글로벌 임상3상(CARES-310)의 사후 탐색(post-hoc exploratory) 결과에 대한 초록이 공개됐다고 13일 밝혔다.
공개된 초록에 따르면 리보+캄렐 병용요법은 절제 불가능한 간세포암(HCC) 환자 중 '간외 전이'와 '대혈관 침범'이 있는 환자에서도 전체생존기간(mOS)과 무진행생존기간(mPFS) 모두 유의하게 연장시켰다.
간외 전이는 진행성 간세포암의 지표로서 예후가 불량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혈관 침범'은 재발 위험 증가와 전체 생존기간 감소와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
간외 전이가 있는 환자군에서 리보+캄렐 병용요법의 mOS는 23.5개월로 소라페닙 투여군의 13.0개월보다 10개월 이상 연장됐다. mPFS 역시 5.6개월 vs 3.6개월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혈관 침범 환자군에서도 mPFS가 5.5개월 vs 3.0개월로 유의하게 개선됐다.
이상반응(TRAEs) 또한 간외 전이와 대혈관 침범 여부와 관계없이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며 리보+캄렐 병용군에서 가장 흔한 3~4등급 이상반응은 간 효소(AST) 상승, 소라페닙군에서는 수족증후군이었다.
한용해 HLB그룹 최고기술책임자(CTO)는 “리보+캄렐 병용요법이 고위험 환자에서도 안전성을 유지하며 생존기간을 유의하게 연장했다”며 “이번 결과는 진행성 간암 치료 전반에서 본 요법의 1차 치료제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근거”라고 말했다.

JW중외제약은 이상지질혈증 치료제 ‘리바로젯’을 복용한 환자 중 당뇨병을 동반한 환자군에서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 수치가 유의하게 개선됐다고 13일 밝혔다.
리바로젯은 피타바스타틴과 에제티미브를 결합한 2제 복합제로 두 성분을 조합한 국내 최초 개량신약이다.
임수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연구팀은 이상지질혈증 환자 1400명을 대상으로 장기 복용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는 ‘VICTORY Study’를 진행 중이며 중간 결과를 대한당뇨병학회 추계 국제학술대회(ICDM 2025)에서 공개했다.
이번 분석에는 국내 환자 824명이 참여했으며 당뇨병 환자군의 LDL-C 중간값은 134→66㎎/dL, 비당뇨병 환자군은 159→76㎎/dL로 개선됐다.
또한 sd-LDL-C 수치도 각각 41.45→23.62㎎/dL, 47.00→25.54㎎/dL로 감소했으며 공복혈당 변화는 없어 혈당 안전성이 확인됐다.
임 교수는 “리바로젯은 LDL-C를 강력히 낮추면서도 혈당 안정성을 유지해 당뇨병 환자의 새로운 치료 옵션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JW중외제약 관계자는 “리바로젯은 당뇨병 환자들의 치료 부담을 줄이고 안전한 이상지질혈증 관리에 기여할 수 있는 의약품”이라며 “앞으로도 환자 맞춤형 치료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확보해 의료 현장에서의 신뢰를 더욱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대원제약은 오는 20일부터 24일까지 5일간 전국의 보건의료전문가를 대상으로 온라인 종합 학술 심포지엄 ‘D-Talks AGORA WEEK’를 개최한다고 13일 밝혔다.
디톡스는 2022년 개설된 대원제약의 의료 정보 교류 플랫폼으로 ‘건강한 디지털 습관 D-Talks‘를 슬로건으로 연간 200회 이상의 온라인 심포지엄을 운영하고 있다.
AGORA WEEK는 디톡스를 통해 상·하반기 두 차례 진행되는 종합 학술대회로 개원가 진료에 도움이 되는 질환 교육과 각 분야 전문가와의 질의응답도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이번 하반기 AGORA WEEK는 ‘선생님들의 질문에 전문가가 답하다‘라는 슬로건으로 모든 강의에서 Q&A 세션이 진행된다.
첫날인 20일에는 전호욱 가톨릭의대 류마티스내과 교수가 좌장을 맡는다. ‘류마티스 질환의 진단 및 치료‘를 주제로 인제의대 류마티스내과 김정곤 교수, 가톨릭의대 류마티스내과 권의종 교수와 함께 ‘강직 척추염‘과 ‘류마티스 관절염‘에 대해 다룬다.
21일에는 안상현 단국대병원 가정의학과의 전문의가 ‘오늘부터 나도 AI 쓰는 의사’라는 주제로 실제 의료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AI 활용법을 소개한다.
22일에는 오일환 을지의대 소화기내과 교수가 ‘소화기 약물의 모든 것 A to Z‘를 주제로 강연에 나선다.
23일에는 ‘소아 호흡기 질환 진단 및 치료‘를 주제로 소아 호흡기 질환과 소아 천식 등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이 세션은 손명현 연세의대 소아청소년과 교수가 좌장을 맡으며 연자로는 김윤희 연세의대 소아청소년과 교수와 지혜미 차의대 소아청소년과 교수가 참석한다.
마지막 날인 24일에는 김태년 인제의대 내분비대사과 교수가 좌장을 맡아 ‘엠파글리플로진 기반의 SGLT2 억제제의 가치‘와 ‘당뇨병 복합 치료의 임상적 가치‘ 등을 주제로 허창민 인제의대 신장내과 교수와 고정해 인제의대 내분비대사내과 교수와 함께 이야기를 나눈다.
대원제약 관계자는 “임상부터 AI, 진단 및 치료법까지 다양한 주제를 다룬 수준 높은 강의를 준비했다”며 “환자 진료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콘텐츠를 최근 개편된 디톡스를 통해 더욱 편하게 활용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