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믹데일리] 서울 아파트 분양가가 고공행진을 이어가며 추석 이후 청약 시장에 ‘분양가 상한제 광풍’이 예고되고 있다. 공사비 상승과 대출 규제 강화로 신축 분양 단가가 치솟으면서 서울 수요자들의 ‘탈서울’ 행렬도 경기권으로 확산하고 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기준 서울 민간아파트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4648만원으로 전월 대비 3.09%, 전년 대비 8.64% 상승했다. 지난해 11월 이후 9개월 만의 최고 수준이다. 전국(3.34%)과 수도권(6.15%) 평균 상승률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서울의 분양가 부담은 실수요자 감당 한계를 넘어서면서 대출 규제가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와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수도권 분양 단지는 잔금대출 전환 시 최대 6억원까지만 대출이 가능하다. 중도금대출은 허용되지만 잔금 시에는 현금 마련이 필수다.
실제로 최근 송파구 ‘잠실 르엘’ 청약에는 약 10만명이 몰렸지만 4개월 내 13억원의 현금을 마련하지 못해 당첨을 포기하는 사례가 잇따랐다. 강남권 대형 단지 ‘래미안 트리니원’의 84㎡ 분양가는 28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현금 부자만의 리그’라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서울의 집값 부담은 결국 ‘탈서울’로 이어지고 있다. 통계청 인구이동 자료에 따르면 올해 1~7월 서울에서 경기도로 전입한 인구는 16만6636명으로 인천(2만8710명)의 5.8배에 달했다. 순이동자 수 기준으로도 경기 전입이 2만명 이상 늘었다. 광명(6440명), 파주(2975명), 안양(2364명), 양주(1951명) 등 서울 접근성이 좋은 도시가 대표적인 수혜 지역으로 꼽힌다.
수도권 아파트 분양가도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경기 용인 수지구의 리모델링 단지는 평당 5000만원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으며 인접한 분당 재건축 단지의 일반분양가는 7000만원에 육박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부동산 업계는 추석 이후에도 분양가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본다. 정부의 분양가 상한제 적용 확대 방침이 단기적으로 ‘상한제 지정 이전 분양’ 수요를 자극하며 청약 경쟁률을 높일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