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기획·한중교류] '도산서원·백록동서원 학술 교류회' 안동서 열려...중·한 서원 교류 확대 기대
기사 읽기 도구
공유하기
기사 프린트
글씨 크게
글씨 작게
2025.08.23 토요일
흐림 서울 29˚C
흐림 부산 27˚C
맑음 대구 28˚C
흐림 인천 28˚C
흐림 광주 29˚C
구름 대전 29˚C
흐림 울산 30˚C
흐림 강릉 29˚C
구름 제주 30˚C
신화통신

[기획·한중교류] '도산서원·백록동서원 학술 교류회' 안동서 열려...중·한 서원 교류 확대 기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李翔华,陆睿,杜白羽
2025-08-22 18:26:04
지난 16일 오전, '2025년 도산서원·백록동(白鹿洞)서원 학술 교류회' 참가자들이 도산서원에서 알묘례(謁廟禮)를 봉행했다. (사진/신화통신)

(서울=신화통신) '2025년 도산서원·백록동(白鹿洞)서원 학술 교류회'가 최근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서원에서 진행됐다. 이번 행사는 안동시에서 주최하고 도산서원·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백록동서원·난창(南昌)대학에서 주관했다.

난창대학, 백록동서원 연구회, 도산서원, 동양대학교, 국립공주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에서 온 교수, 학생, 학자 30여 명이 한자리에 모여 중국 유학의 한국 내 전승과 발전에 대해 학술 교류를 진행했다.

난창대학 교수와 학생들은 이동채 도산서원 별유사의 지도 아래 알묘례(謁廟禮)를 봉행했다. 조선시대 유학의 거장 퇴계 이황 선생의 17대 종손인 이치억 국립공주대학교 교수는 "백록동 먼 데서 손님이 오셨으니 퇴계 선생께서 기뻐하실 것"이라고 웃으며 말했다.

16일 도산서원에서 단체사진을 찍고 있는 '2025년 도산서원·백록동서원 학술 교류회' 귀빈들. (사진/신화통신)

난창대학 대학원생 위안이보(袁藝博)는 주자학을 연구하는 학자로서 도산서원에서 퇴계 이황을 참배하게 되어 매우 감격스럽다며 "중국과 한국 유학의 원천은 같지만 각자 독특한 빛을 발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이러한 교류 활동이 많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전했다.

16일 한국 측 교수가 난창(南昌)대학 교수와 학생들에게 도산서원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신화통신)

이치억 교수는 "유학 사상이 한국인의 마음과 감정에 깊이 뿌리내린 지 오래"라며 "한국인의 따듯한 정, 도덕을 추구하는 마음, 서로에게 양보하고 배려하는 성품은 모두 유학의 '인의예지(仁義禮智)'에서 나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도산서원은 도산서당과 도산서원으로 구성돼 있다. 도산서당은 퇴계 이황이 직접 짓고 거주하며 학문을 전수했던 곳이고, 도산서원은 이황이 세상을 떠난 후 제자들이 퇴계 선생을 기리기 위해 증축한 사당과 서원이다. 올해는 도산서원이 건립된 지 450주년이 되는 해다.

이동구 도산서원 전 별유사는 한국 서원의 뿌리는 중국 서원이라며 한국 최초의 서원인 경상북도 영주에 있는 백운동서원은 중국의 백록동서원을 벤치마킹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도산서원은 '서원 스테이'와 '온라인 강학'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서원 본래의 강학 기능을 회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면서 "백록동서원 학생들이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에 와서 한국의 유생 생활을 체험하는 것은 매우 뜻깊은 일"이라고 덧붙였다.

16일 한국의 권위 있는 한문학자인 허권수 경상국립대학교 명예교수가 강의를 하고 있다. (사진/신화통신)

이동채 별유사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한국의 서원 9곳도 앞으로 참여해 중국의 우수한 서원과 더 많은 학술 및 문화 교류를 하기 바란다"며 "양국 서원 간 문화적 차이가 있어 각자의 독립성과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서로의 장점을 취하고 단점을 보완해 서원문화가 인류 문화의 공동 초석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하나금융그룹
미래에셋자산운용
한미그룹
부영그룹
메리츠증권
동국제약
kb_3
농협
종근당
삼성자산운용
SK증권
과실비율정보포털
신한은행
우리은행_1
KB금융그룹_3
KB_1
KB
한화
KB금융그룹_2
IBK
kb_2
NH농협
kb
농협
우리은행_2
국민카드
NH농협은행
신한금융
KB금융그룹_1
신한투자증권
롯데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