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믹데일리] 대한민국 대표 AI 기업과 방송사가 미디어 산업의 ‘AI 대전환(AX)’을 위해 손을 잡았다. NC AI와 MBC는 19일 서울 상암동 MBC 사옥에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AI 기반 차세대 미디어 콘텐츠 생태계 구축을 위한 공동 프로젝트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은 국가대표급 AI 기술력과 방송 제작 노하우가 결합하는 첫 실증 사례라는 점에서 업계의 비상한 관심을 끈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NC AI가 보유한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기술을 MBC의 콘텐츠 제작 현장에 직접 접목하는 것이다. NC AI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의 주관사로 한국형 대규모 언어모델(LLM)과 멀티모달 인지 생성 AI 개발을 이끌고 있다. 사실상 대한민국 ‘소버린 AI’ 전략의 핵심 플레이어인 셈이다.
NC AI의 기술이 MBC가 60여 년간 축적해 온 드라마, 예능, 보도 등 방대한 콘텐츠 제작 역량과 만나면 상당한 시너지가 기대된다. 예를 들어 실시간 다국어 AI 더빙과 번역 기술은 K-콘텐츠의 글로벌 유통 속도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텍스트 입력만으로 고품질 3D 애니메이션이나 효과음을 생성하는 멀티모달 AI는 제작 비용과 시간을 크게 절감해 창작의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이번 협력은 단순 기술 제휴를 넘어 AI 기술이 실제 산업 현장에서 어떻게 가치를 창출하는지를 보여주는 ‘본격 실증’의 첫발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그동안 이론과 가능성에 머물렀던 AI 기술이 방송 제작 전반에 적용돼 가시적인 변화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양사는 AI 기반 번역·더빙부터 영상합성, 자동편집, 시청자와의 실시간 소통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에서 AI 혁신을 함께 시도할 계획이다.
이연수 NC AI 대표는 “이번 협력은 NC AI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과 첨단 미디어 AI 기술을 대한민국의 대표 방송사인 MBC 현장에 본격 적용하는 중요한 첫 걸음”이라며 “K-AI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AI 혁신 실현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안형준 MBC 대표이사 역시 “이번 협업은 단지 AI를 통한 일부 업무 개선이 아닌 AI 중심의 미디어·콘텐츠 기업으로의 근본적인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생각한다”며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 K-AI 시대에 함께 발 맞추어 나가겠다”고 전했다.
기술과 콘텐츠 리더십의 결합은 국내 미디어 산업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할 전망이다. 이번 파트너십이 대한민국 AI 산업의 성장 동력을 확충하고 글로벌 K-컬처 확산을 가속하는 핵심 엔진으로 자리 잡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