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믹데일리] 전쟁으로 인한 원재료 값 상승과 중국 기업들의 저가 공세로 인해 중국을 제외한 전 세계 석유·화학 기업이 존망의 갈림길에 처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에틸렌 생산 원가의 80%를 차지하는 석유화학 원료 '나프타'의 가격이 크게 뛰었다. 2020년 4월 1t(톤)당 149 달러(약 20만원)였지만 2022년 최대 1톤당 996 달러(약 139만원)까지 올랐고 현재는 1톤당 500~600 달러(약 70~84만원)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 2023년 영국의 화학산업 전문 매체 케미컬 인더스트리의 보도에 따르면 중국이 에폭시 부문에서 마이너스 이익을 내고 있고 수출보다 중국 내에서 더 높은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위기가 지속되자 국내 석유·화학 빅4 중 하나인 LG화학은 어려워진 사업부를 정리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지난 12일 업계에 따르면 LG화학은 경북 김천공장 전체와 전남 나주공장 일부 설비 철거를 결정했다. 이유는 수익성 저하로 생산 효율 개선을 위함이라고 밝혔다.
또한 LG화학은 지난 2023년 이후 석유·화학 부문에서 총 1조5000억원 규모의 사업정리를 진행한 바 있다.
해외 기업도 이번 위기를 벗어날 수 없었다.
미국의 다국적 석유·화학 기업인 라이온델바젤은 지난해 연매출 403억 달러(약 56조4200억원)로 지난 2022년 연매출 504억5100만 달러(약 70조6314억원)에 비해 20.12% 감소했다.
지난 2월 1일(현지시간) 주식 통합 플랫폼 스타트업 오랜지보드의 기업 평가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 2년간 라이온델바젤의 매출 저하는 수요의 감소로 인한 것이며 유럽과 중국의 수요가 여전히 정상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올해 또다시 하락세를 예상했다.
이 가운데 현지화를 통한 중국 시장 개척이 돌파구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독일 최대 석유·화학 기업 BASF의 경우 중국 시장 개척을 통해 위기에 대응하고 있다.
BASF의 지난해 연매출은 706억1800만 달러(약 98조8652억원)로 지난 2022년 연매출 920억800만 달러(약 128조8112억원)에 비해 23.25% 감소했다.
이에 BASF는 오히려 중국 시장 공략을 위해 지난 2022년 말 중국으로 사업을 영구적으로 이전한다고 발표했고 실제로 중국 각지에 공장을 건설하는 등 실행에 옮겼다.
인건비를 절감함과 동시에 중국 시장에 제품을 바로 판매함으로 수익성을 개선한다는 전략이며 현재는 이러한 전략이 효과를 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BASF의 올해 상반기 매출은 331억7100만 유로(약 49조909억원)로 지난해 상반기 매출 336억6640만 유로(약 49조8035억원)에 비해 1.5%의 낮은 감소율을 보였다.
BASF는 중국에 대한 대대적인 도전으로 매출의 감소세가 완만해졌고 월스트리트 저널은 올해를 "BASF 회복의 첫해"로 전망했다.
마르쿠스 카미드 BASF 최고경영자는 지난 7월 2분기 실적 발표회에서 "화학 제품 생산 관련해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마이너스 성장률"이라며 "내년에는 우리가 중국에 새롭게 확충한 생산 능력 덕분에 중국 시장에서 상당한 성장세를 보게 될 것"라고 중국 시장에 대한 자신감을 표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