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3 목요일
안개 서울 13˚C
맑음 부산 11˚C
맑음 대구 8˚C
흐림 인천 13˚C
흐림 광주 15˚C
맑음 대전 14˚C
흐림 울산 17˚C
맑음 강릉 15˚C
맑음 제주 16˚C
신화통신

[테크] DNA로 데이터 저장? 中, 차세대 데이터 저장 매체 개발에 잰걸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吴蔚,张漫子,梁旭
2025-06-10 15:11:51
2장의 사진을 합성해 저장한 DNA 샘플. (사진/신화통신)

(베이징=신화통신) 최근 톈진(天津)대학 응용수학센터의 우화밍(吳華明) 교수팀은 새로운 DNA 저장 시스템인 HELIX를 개발해 60MB의 의료 영상(시공간 오믹스)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고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

앞서 베이징대학의 장청(張成)과 첸룽(錢瓏) 저장연구팀은 병렬쓰기 전략을 기반으로 한 DNA 데이터 저장 방법을 처음으로 제안했다. 분자 활자 인쇄 방식으로 자이언트 판다 컬러 사진을 DNA에 27만5천비트의 데이터로 저장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중국 국가데이터국이 발표한 '전국 데이터 자원 조사 보고서(2024)'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해 41.06제타바이트(ZB)의 데이터를 생산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25% 늘어난 규모다.

데이터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기존의 저장 방식은 용량 한계, 높은 유지 비용, 짧은 장비 수명 등 여러 문제에 부딪히며 차세대 저장 매체 개발이 절실해졌다.

이에 중국은 지난 2022년 '14차 5개년 계획(2021~2025년)'에서 DNA 저장 기술을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양자 정보, 3세대 반도체 등과 함께 신흥기술로 지정했다. 현재 DNA 저장은 미래 산업의 유망 분야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으며 핵심 도시를 중심으로 산학연이 연계된 다지역 발전 체계를 형성해가고 있다.

그러나 업계 전문가들은 산업화까지는 갈 길이 멀다고 말한다. 장청 베이징대학 컴퓨터학원 부연구원은 "현재 DNA 저장 기술은 비용과 속도 면에서 한계가 있다"며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문제를 언급했다.

첫째, 비용 문제다. 현재 2MB 분량의 DNA 데이터를 합성하는 데 약 7천 달러, 데이터를 읽는 데 약 2천 달러가 소요된다. 1GB 용량의 영화를 DNA 형태로 저장하려면 약 358만 달러의 막대한 비용이 드는 셈이다.

둘째, 속도 문제다. 현재 기술로는 DNA를 합성할 때 염기 하나를 추가하는 데도 여러 단계의 작업이 필요해 일상의 간단한 실시간 데이터 저장 수요를 충족시키기에는 역부족이다.

셋째, 데이터를 읽는 시퀀싱 과정의 전체 정확도가 낮다. 데이터 저장 과정에서 잘못된 수식이 발생할 수 있고, 읽는 과정에서는 시퀀싱 오류로 인해 데이터 복원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같은 이유로 중국 연구진들은 기초 핵심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 새로운 DNA 저장 기술을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DNA 저장 산업화를 추진하고 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db
한국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
하이닉스
SC제일은행
KB국민은행
삼성화재
신한금융지주
신한투자증권
카카오
포스코
교촌
한화
씨티
DB손해보험
스마일게이트
NH
경주시
삼성전자
NH투자증
하나금융그룹
삼성증권
kb금융그룹
우리은행
롯데캐슬
신한은행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