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8 금요일
흐림 서울 27˚C
부산 25˚C
흐림 대구 30˚C
흐림 인천 26˚C
광주 29˚C
흐림 대전 27˚C
흐림 울산 27˚C
흐림 강릉 24˚C
흐림 제주 25˚C
신화통신

[경제 인사이트] 새해 첫 출발 '청신호'...1월 금융 데이터로 본 中 경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向家莹,杨磊,林善传
2025-02-19 13:32:12

(베이징=신화통신) 중국 경제가 올해 순조로운 출발을 알렸다.

최근 발표된 금융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 신규 위안화 대출 규모는 5조1천300억 위안(약 1천157조3천999억원), 사회융자 규모 증가량은 7조600억 위안(1천397조8천800억원)으로 모두 같은 기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월말 사회융자 규모 잔액은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했댜. 광의통화(M2)는 7%, 협의통화(M1)는 0.4% 확대됐다.

지난해 6월 3일 이치제팡(一汽解放)자동차 우시(無錫)디젤엔진공장 후이산(惠山)공장 근로자가 스마트 제조 작업장에서 일하고 있다. (사진/신화통신)

전문가들은 경제 구조 전환의 중요한 시기에 처한 중국이 거시적 조절 방식을 빠르게 최적화하고 있다며 적절하고 완화된 통화 정책이 내수 확대를 더욱 강하게 지원하며 소비가 경제 성장에 대한 기여도를 더욱 높일 것으로 전망했다.

관련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사회융자 규모 증가량은 전년 동월 대비 5천833억 위안(115조4천934억원) 늘었다. 그중 실물 경제에 대한 위안화 대출은 5조2천200억 위안(1천33조5천600억원) 증가해 3천793억 위안(75조1천14억원) 확대됐다. 정부 채권 순융자는 6천933억 위안(137조2천733억원)으로 3천986억 위안(78조9천228억원) 증가했다.

대출금리는 역대 최저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신규 기업 대출(위안화·외화) 및 개인 주택 대출(위안화·외화)의 가중평균금리는 각각 3.4%와 3.1%로 전년 동기 대비 약 0.04%포인트, 0.08%포인트씩 하락했다.

전반적으로 거시 정책이 지속적으로 힘을 발휘함에 따라 융자 수요가 한층 회복될 것으로 기대되며 금융 총량 증가에 견고하고 안정적인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지난해 중앙경제업무회의는 '대대적인 소비 진작, 투자 효익 향상, 전방위적인 국내 수요 확대'를 중점 과제로 삼았다. 그밖에 중앙정부는 양중(兩重·국가 중대 전략 시행, 중점 분야의 안전 능력 구축) 프로젝트 건설을 더욱 강력하게 지원하고 '양신(兩新·대규모 설비 갱신, 소비재 이구환신)' 정책의 확대 시행을 명확히 했다.

건설 중인 국가급 해상 풍력발전 연구∙테스트 검사 기지를 지난해 12월 26일 드론에 담았다. (사진/신화통신)

올해 각지는 중대 프로젝트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인프라 대출 규모가 빠르게 증가해 신용 대출의 안정적 성장을 위한 '밸러스트 스톤' 역할이 한층 두드러지고 있다.

소비 시장도 상당히 주목할 만하다. 춘절(春節·음력설) 기간 중국 전역의 문화관광 소비 열기가 매우 뜨거웠다. 이구환신(以舊換新·중고 제품을 새 제품으로 교환 시 제공되는 혜택) 정책은 가전, 휴대전화 매출을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66%, 182% 끌어올렸다. 소비 관련 신용 대출 수요도 덩달아 상승하고 있다.

원빈(溫彬) 민성(民生)은행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다음 단계에서 거시경제 정책이 역주기 조절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적절한 시기에 정책 강도와 속도를 최적화해 소비를 진작시키고 기대를 안정시키는 데 주력할 것으로 내다봤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sk네트웍스
넷마블
KB
우리카드
kb
미래에셋자산운용
롯데건설
대신
삼성
한국투자증권
kb_5
kb증권
NH투자증
우리은행_2
메리츠증권
KB국민은행_1
이마트_데일리동방
KB손해보험
LG
빙그레
KB국민은행_4
SK하이닉스
하나증권
우리은행_1
sk
KB국민은행_2
하나금융그룹
쿠팡
NH농협
e편한세상
농협
kb_3
CJ
KB국민은행_3
신한라이프
LG생활건강
kb_4
KB_1
셀트론
여신금융협회
동아쏘시오홀딩스
DB그룹
kb_2
SK
LG
삼성증권
롯데카드
위메이드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