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2 일요일
맑음 서울 8˚C
맑음 부산 9˚C
구름 대구 8˚C
흐림 인천 10˚C
흐림 광주 11˚C
구름 대전 9˚C
흐림 울산 11˚C
맑음 강릉 9˚C
흐림 제주 19˚C
ESG

플라스틱 쓰레기 먹는 코끼리의 비극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박경아 편집위원
2023-11-30 06:00:00

스리랑카, 인간·자연생태계 해치는 일회용 플라스틱 규제 나섰다

아쉽게도 우리나라는 시행 유예…소상공인 피해 우려

사진KBS
쓰레기더미에서 먹이 찾는 스리랑카 코끼리들 [사진=KBS]

[이코노믹데일리]얼마 전 스리랑카의 한 쓰레기 산에서 쓰레기를 주워 먹는 코끼리의 모습을 담은 영상이 TV를 통해 방영돼 충격을 주었다. 플라스틱 쓰레기의 폐해는 버려진 어망에 걸려 빠져나오지 못해 죽거나 위에 쓰레기가 가득 차 사망에 이른 바다생물 뿐만이 아니었다. 덩치 큰 코끼리들까지 배고픔을 못이기고 플라스틱 빨대며 쓰레기를 먹는 모습은 참담했다.

소상공인의 영업애로 등 때문에 우리나라는 2022년 11월부터 1년간 계도 기간을 갖고 시행에 들어가기로 한 일회용품 사용 금지를 최근 유보했지만 플라스틱 쓰레기더미의 유해함이 극단에 이른 스리랑카에서는 얼마 전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의 제조 및 판매가 금지됐다.

스리랑카 중앙환경청(CEA)은 지난 10월 1일 모든 무역 및 산업 활동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빨대, 교반기(휘젓는 도구), 컵, 접시, 나이프, 포크, 스푼은 물론 화환 제품 제조 및 판매가 금지된다고 발표했다. 다만 ‘컵’에 음료수 컵은 포함하되 요거트 컵은 포함되지 않는다. 

현지 환경단체의 조사에 따르면 스리랑카인들은 한 달에 4500만개의 요거트 용기를 쓰레기통에 버린다고 한다. 스리랑카인들은 매일 1500만개의 플라스틱 점심 식판과 2000만개의 비닐 쇼핑백을 버리는 것으로도 조사됐다. 또한 2020년 1월 스리랑카 감사원은 매년 약 21만t의 플라스틱과 폴리에틸렌이 버려진다고 보고했다.

스리랑카는 2022년 110만 달러 이상의 플라스틱을 수입했다. 전년 대비 수입이 142% 증가했는데, 이는 그동안 있었던 많은 품목에 대한 수입 제한이 2022년 대부분 해제됐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2023년에도 수입 금지 예상하고 항목은 작년에 많은 양을 수입한 것으로 보고 있다. 수입 제한이 시행되기 전 스리랑카의 연평균 수입액은 약 200만 달러로, 2018년에는 210만 달러, 2019년에는 190만 달러의 수입액을 기록했다. 최근 5년간 최대 공급국은 태국과 중국이다.

대(對)한국 수입은 지난해 2021년 대비 371% 이상 증가하며 한국은 해당 제품의 '6대 공급국'으로 부상했다. 문제는 한국으로부터 수입되는 모든 제품은 지난 10월 1일부터 스리랑카 정부의 수입 제한 품목군에 포함된다는 것이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스리랑카 콜롬보무역관 측은 “향후 요거트 컵 수입도 제한할 예정이지만 워낙 수요가 많아 당장은 힘들어 보인다”며 “한국 기업이 요거트 컵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데 가격이 결정 요인”이라고 조언했다. 이어 스리랑카는 생산자책임제도(EPR)를 도입할 가능성이 있으며, 한국 기업은 플라스틱을 대체할 친환경 제품으로 스리랑카 시장에 새롭게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찾아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하나금융그룹
한국투자증권
KB국민은행
NH
DB손해보험
삼성전자
스마일게이트
SC제일은행
신한금융지주
삼성화재
한화
db
신한은행
신한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
교촌
롯데캐슬
삼성증권
우리은행
씨티
카카오
포스코
NH투자증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